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정보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보격차요인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effecting factors of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by career-interrupted women: focus on information gap factors

초록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정보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중요한 직업정보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개인 간 정보격차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난 다양한 요인들(정보추구욕구, 정보처리전략, 사회적 네트워크, 인터넷 정보능력)이 직업정보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력단절여성 375명으로, 여성취업지원관련 기관 11곳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직업정보인지도와 정보격차요인 측정을 위해 정보격차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구성한 질문지로,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문항내적합치도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격차요인이 직업정보인지도를 설명하는 양은 30.3%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3.500, p<.001). 개별 정보격차요인의 영향력은 인터넷 정보능력(β=.309, p<.001)이 직업정보인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정보처리전략(β=.179, p<.01), 정보추구욕구(β=.146, p<.01), 제도적 네트워크(β=.102, p<.05)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적 네트워크는 직업정보인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취업배경 변인에 따른 정보격차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학력, 소득, 경력기간, 취업준비기간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정보인지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와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경력단절여성 간 직업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areer-interrupted women, information gap factors,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경력단절여성, 정보격차요인, 직업정보인지도

Abstract

This study aims at confirm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of women whose careers have been interrupted and getting the implications for the way to improve their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that is important to reemployment. This study examine whether various factors that precedent studies show can cause individual information gap such as desire for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y, social network, internet information literacy have a signigicant influence on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are 375 career-interrupted women and participated through 11 institute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women. Research tool is questionnaires that measure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gap factors. Researcher constructed them in reference of information gap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search tool were verified each by factor analysis and interitem consisten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30.3% explained by the information gap factors.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33.500, p<.001).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individual information gap factors,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most affected by internet information literacy(β=.309, p<.001), followed by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y(β=.179, p<.01), desire for information seeking(β=.146, p<.01) and institutional network(β=.102, p<.05). On the other hand, individual network do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by analyzing difference of information gap factors from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employment background variables, it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income, period of work experience and preparation period for employment. As a result,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 to enhanc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by career-interrupted women and suggested implication to reduce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gap among career-interrupted women.

keywords
career-interrupted women, information gap factors,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경력단절여성, 정보격차요인, 직업정보인지도

참고문헌

1.

고삼석 (2011). 디지털 미디어 디바이드. 서울:나담, 53-139.

2.

곽혜정 (2011). 실업자의 직업정보인지 수준이 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직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경민 (2015). 심리적 구직준비특성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문조, 김종길 (2002).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제고. 한국사회학, 34(4), 123-155.

5.

김병숙 (2007). 직업정보론(제2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6.

김병숙, 전종남 (2004).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유형 및 직업정보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17(1), 20-38.

7.

김종향 (2011).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8(2), 47-70.

8.

박가열 (2003).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보고서.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9.

박선희 (2004). 직업정보매체별 실업자의 직업정보인지도 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정은 (1997). 컴퓨터 리터러시 수준 격차의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의 정보추구동기화와동료 집단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석사학위논문.

11.

박정주 (2010).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한 대학생의 직업정보인지도에 관한 종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29(2), 289-303.

12.

서진완 (2000). 정보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의 개념을 이용한 지역주민의 정보화수준측정. 한국행정학보, 34(1), 309- 325.

13.

심재철, 정윤식, 유종원, 이의정, 권혁남, 박성연, 박응서 (1998). 미디어 이미지와 정보처리전략에 따른 지식습득: 지방자치제와환경이슈 지식격차에 대한 4개 도시 비교연구. 언론과사회, 20호, 44-71.

14.

여성가족부 (2010).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10-’14). 여성가족부.

15.

오은진, 박성정, 민현주, 김난주, 송창용, 김지현 (2008).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연구. 여성부.

16.

윤혜경 (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직업교육 프로그램중장년 참여자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4(1), 83-112.

17.

이경상 (2001). 취업시장에서의 개인적 연결망의특성과 직업성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박사학위논문.

18.

이동우 (2002). 정보격차의 발생변인 연구: 정보격차의 인지적 측면과 활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호규 (2009). 정보 격차 논의에 대한 비판적고찰: 집단수준에서 개인 수준의 논의로. 한국언론학보, 53(6), 6-25.

20.

이효남 (2002). 국내외 컴퓨터 보조 직업지도시스템(Computer-Assisted Career Guidance System)에 관한 분석. 고용동향분석, 141-166.

21.

임은미, 장선숙 (2004). 인터넷 활용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의 즉시적 효과와 지속적효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8(4), 139-154.

22.

장서영 (2008a).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교육의개선방향. e-고용이슈, 11(2), 40-51.

23.

장서영 (2008b).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74(1), 79-104.

24.

장서영, 은혜경, 오민홍 (2009). 경력단절여성재취업 유망직업 선정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12(1), 163-187.

25.

장서영, 장원섭, 안선영, 서영주, 이정섭 (2006). 고등교육기관을 활용한 고학력 경력차단 여성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6.

장지현, 김민영, 장원섭 (2010). 경력단절여성의 구직경로가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78(1), 31-76.

27.

정숙경 (2003). 기혼여성의 인터넷 이용과 정보 불평등: ‘차별’과 ‘배제’. 한국여성학, 19(2), 177-208.

28.

조윤성, 홍아정 (2012).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연결망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15(3), 77-101.

29.

황여정 (2007).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및 진로정보인지수준 영향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7(1), 131-158.

30.

Ancona, D. H., & Caldwell, D. F. (1992). Bridging the boundary: External activity and performance in organizational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7(4), 634-665.

31.

Atkin, C. K., Galloway, J., & Nayman, O. B. (1976). News Media Exposure, Political Knowledge and Campaign Interest. Journal Quarterly, 53(2), 231-237.

32.

Bodden, J. (1970). Cognitive complexity as a factor of appropriate vocational choic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17(4), 364-368.

33.

Breaugh, J., & Mann, R. (1984). Recruiting Source Effects: A Test of Two Alternative Explanation, Journal of Psychology, 57(4), 261-267.

34.

Fredin, E. S., Monnett, T. H., & Kosicki, G. M. (1994). Knowledge gaps, social locators, and media schemata: gaps reverse gaps, and gaps of disaffection.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1(1) 176-190.

35.

Galloway, J. J. (1977). The Analysis and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Effects Gaps. Communication Research, 4(4), 363-386.

36.

Haase, A., Reed, C., Winer, J., & Bodden, J. (1979). Effect of positive, negative, and mixed occupational information on cognitive and affective complex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5(3), 294-302.

37.

Hanson, S., & Pratt, G. (1991). Job Search and the Occupational Segregation of Wome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1(2), 229-253.

38.

Hasan BOZGEYĠKLĠ, & Hüseyin DOĞAN (2010). The effect of computer assisted career group guidance on the self-efficacy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student.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2), 77-86.

39.

Katzman, N. (1972).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Promises and prosp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24(4), 47-58.

40.

Kosicki, G. M., McLeod, J. M., & Amor, D. L. (1988). Processing strategies for mass media information: Selecting, intergrating and making sense of political news. Voting and Media Division of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Chicago: Paper presented Elections, 26-30.

41.

Lee, S. H., & Brinton, M. C. (1996). Elite Education and Social Capital: The Case of South Korea. Sociology of Education, 69(3), 177-192.

42.

Lovrich, N., & J. Pierce. (1984). Knowledge gap Phenomena: Effects of Situation-Specific and Transsituational Factors. Communication Research, 11(3), 415-434.

43.

McLeod, D. M., & E. M. Perse. (1994).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public affairs knowledge. Journalism Quarterly, 71(2), 433-442.

44.

Osborn. D., & LoFrisco, B. (2012). How do career center use Social Networking Sit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60(3), 263-272.

45.

Peterson, G. W., Sampson, J. P. Jr., & Reardon, R. C. (1991). Career development service: A cognitive approach. Pacific Grove, CA:Books/Cole.

46.

Remenyi, A., & Fraser, B. (1977). Effects of occupational information on occupational percep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1), 53-68.

47.

Shim, J. C. (1997). The metacognitive approach in masscommunication studies.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4, 81-120.

48.

Stigler, G. J. (1961).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9(3), 213-225.

49.

Tichenor, P. T., Donohue, G. A., & Olien, C. N. (1970). Mass media flow and differential growth of knowledge. Public Opinion Quarterly, 34(1), 159-17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