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진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가장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the Identity Change of Household-heading Middle-aged Women in Photo Therapy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가장이 자신의 정체성을 자각하고 변화해가는 과정 자체를 세밀하게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중년여성가장들이 삶의 역할 속에서, 관계 속에서 자신을 규정하는 방식과 여성성과 모성이 정체성으로 조합되어져가는 주관적이고 세밀한 경험의 세계를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방법론을 통해 탐구하였다. 또한 정체성 탐구의 유용한 도구인 사진치료를 통해 중년여성가장의 정체성 변화과정을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러티브의 탐구 공간인 3차원적 공간 내에서의 참여자들의 공통경험은 첫째, 상황의 차원에서는 ‘돌봄의 부재’, ‘통제의 재현’, ‘단절과 고립’, ‘양육 책임’이었고, 둘째, 시간성의 차원에서는 ‘도피’, ‘침체’, ‘모성회귀’, ‘성숙’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상호작용의 차원에서는 ‘순응’, ‘거부’, ‘주도’, ‘상호의존’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무력한 딸’, ‘착한 아내’, ‘독한 엄마’, ‘가족의 구심점’으로 이어지는 역할상의 참여자들의 정체성 변화과정과 맞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진치료의 경험은 참여자들의 정체성 변화과정에서 미해결과제를 발견하고 변화를 확인하며, 자기수용을 촉진하여 결국 관점의 재구성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 또한 제시하였다.

keywords
household-heading middle-aged women, identify, change, photo therapy, narrative inquiry, 중년여성가장, 정체성, 변화, 사진치료, 내러티브 탐구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a detailed inquiry into the process itself in which middle-aged female heads of families realized their own identities and they changed. Hence, through the narrative methodology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this study made an inquiry into the method of defining themselves within the relationship and within the role in the life of middle-aged female heads of families and the subjective and detailed realm of experience where femininity and motherhood were mixed into identity. Besides, through photo therapy, useful tool of identity inquiry, an inquiry was intended to be made an inquiry into the process identity change of middle-aged heads of families through visual image.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3-dimensional space, narrative inquiry space, the participants' common experiences we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in the situation(place) dimension, they were 'absence of care', 'reappearance of control', 'severance and isolation', and 'responsibility for rearing'. Second, in continuity(temporality) dimension, it was shown that they were 'escape', ‘depression', maternal regression', and 'maturity'. Third, in the interaction dimension, it was deduced that they were 'adaptation', 'refusal', 'leading' and 'interdependence.' It was shown that these analysis results were in gear with the process of change in participants' identities from the viewpoint of role connected to 'helpless daughter', 'good-natured wife', 'tough mother', and 'centrality of family.' Besides, it was shown that photo therapy experience resulted in reframing the viewpoint by finding unfinished problem, checking a change, and accelerating self-acceptance in the process of change in participants' identit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se study results were also presented.

keywords
household-heading middle-aged women, identify, change, photo therapy, narrative inquiry, 중년여성가장, 정체성, 변화, 사진치료,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1.

강기정, 정은미 (2008). 여성가장의 부모효능감증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발. 부모교육연구, 5(1), 117-133

2.

고선경 (2006). 사진매체의 특성을 통한 다중적자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석사논문.

3.

권선림 외(2012). 부부의 심리적 독립, 자기분화,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영향. 동서정신과학, 15(1), 27-42.

4.

김경선, 성승연 (2012). 독서치료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삶의 인식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75-516.

5.

김경신, 김정란 (2001).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4), 105-120.

6.

김민화, 김준형 (2013). 사진치료 프로그램이대학생의 자기의식과 삶의 목적수준에 미치는 효과. 인간발달연구, 20(3), 39-55.

7.

김숙남, 최순옥, 신경일, 이정지 (2002). 여성가장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생의 의미수준. KJWHN(여성건강간호학회지), 8(2), 190-200.

8.

김영석 (2014). 내러티브 탐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질적 연구방법론 워크숍 자료집.

9.

김영희, 한경혜 (1996).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263-276.

10.

김오남 (2004).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안녕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단일호), 85-118.

11.

김애순, 윤진 (1993). SESSION 6: 중년기의 위기: 중년기 위기감: 그 시기확인 및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 관계가 중년기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논문집, 1993(단일호), 247-260.

12.

김춘경 (2010). 중년기 우울 여성의 우울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1(4), 1783-1806.

13.

노영주, 한경혜 (2000). 50대 중년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pp. 1-22.

14.

박민정 (2006).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이야기만들기, 의미구성, 커뮤니케이션의 해석학적 순환, 아시아교육연구, 7(4), pp. 27-47.

15.

박아청 (1994). Marcia 의 아이덴티티 지위면접을 활용한 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3(1), 167-185.

16.

박아청 (1996).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1), 140-162.

17.

박아청 (2000). 성인기의 자아 정체감 형성에관한 일고찰. 社會科學論叢, 19(2), 47-61.

18.

박아청 (2001). 여성의 정체감 형성에 대한Erikson이론의 재검토. 인간발달연구, 8(2), 49-64.

19.

변외진, 김춘경 (2007).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55-276.

20.

서봉연 (1975). 자아정체감형성에 관한 심리학적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慶北大學校大學院.

21.

성정현 (1998). 성역할 태도와 이혼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22.

송다영, 김유나 (2008). 여성가장 가족의 빈곤문제와 성인지적 탈빈곤 정책. 한국가족복지학, 22(단일호), 131-159.

23.

송순민 (2001). 중년기 여성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대상관계의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4.

신현정 (2009). 아동상담자의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41-53.

25.

신현정. (2008). 아동상담에서 아동의 변화과정과 변화요인: 치료놀이 (Theraplay) 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4(3), 323-347.

26.

염지숙 (2003).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27.

이경희 (2005). 중년여성의 자아분화와 자아정체성과의 발달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경혜 (1997).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발달에관한 연구경향과 전망에 관한 일고찰. 아동교육, 6(2), 143-153.

29.

이경혜, 김언주 (2001). 중년여성의 역할적응에따른 자아정체감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학회지, 15(2), 157-176.

30.

이복희 (2008). 취업 및 미취업 중년기 기혼여성의 가계경제수준, 자아존중감, 역할적응 및자아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이복희, 박아청, 이경혜 (2010). 중년기 취업여성의 가계경제수준, 자아존중감, 역할적응 및 자아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4(1), 103-120.

32.

이옥희, 이지연 (2012). 중년기 생성감(Generativity)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3(2), 665-688.

33.

이소영, 옥선화 (2002). 자녀의 정서적 지원과모-자녀간 의사소통 특성 지각에 따른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감.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7), 53-68.

34.

이재림, 옥선화 (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5), 49-63.

35.

이주연, 하상희 (2012) 부모 애착이 남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독립과 이성관계태도의 매개 경로 분석. 상담학연구 13(6), 2821-2837.

36.

이연경 (2004). 유방절제술을 받은 중년여성의미술치료 경험.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조규영, 박성옥, 정광조 (2013). 중년여성의 한국화 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9(3), 205-234.

38.

조용환 (2002).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39.

진미정, 김은정 (2005).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사회복지연구, 27(단일호), 163-188.

40.

최원희 (2006).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2), 141-150.

41.

한경혜, 노영주 (2000). 50 대 중년 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1-22.

42.

홍미선 (2011). 투사적 기법을 중심으로 한 사진치료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문화기획 석사논문.

43.

홍영숙 (2014). 내러티브 질적연구의 이해와실제.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미출간 워크숍 자료집.

44.

Bach, Hedy (2001). The Place of the Photograph in Visual Narrative Research. Afterimage. Vol. 29Issue 3.

45.

Barber ,Harmon (2002). In Search of the Sources of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The Role of Parental Separation Anxiety and Parental Maladaptive Perfectioni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6(4), 539–559

46.

Barone, T., & Eisner, E. W. (Eds.). (1997, 2011). Arts based research. Sage.

47.

Barthes ,Roland (1980). Camera Lucida.; 조광희& 한정식 역(1998). 카메라 루시다. 열화당.

48.

Barthes, R., & Howard, R. (2010). Camera lucida:Reflections on photography. New York: Hill and Wang.

49.

Blos, Peter. (1967) The second individuation process of adolescence. Th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22, 162.

50.

Cavanaugh, J. C., 김수정, 심응철, 송길연, 이지연, 양돈규, . . . 이효영 (2012). 성인발달과 노화. 서울: 시그마 프레스.

51.

Clandinin & Connelly (2000). Narrative Inquiry. Jossey-Bass Publishers San Francisco.

52.

Clandinin & Connelly.,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박민정 (2006).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학사

53.

Clandinin, D. J. (Ed.). (2006).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54.

Cornelison, F. S., and Arsenian, J. (1980). A study of the response of psychotic patients to photographic self-image experience. Psychiatric Quarterly, 34(1), 1-8

55.

Dignan, M. H. (1965). Ego identity and mater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 476.

56.

Duval, S., & Wicklund, R. A. (1972). A theory of objective self awareness. New York,: Academic Press.

57.

Minuchin, S. (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Harvard University Press.

58.

Freeman, M., & Brockmeier, J. (2001). Narrative integrity: Autobiographical identity and the meaning of the “good life.”. Narrative and identity: Studies in autobiography, self and culture, 75-99.

59.

Fryrear, J.L & Krauss, D.A (1983), Photography in mental Health(135-150), Springfield, IL:Charles C.Thomas.

60.

Hayes, Steven C.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relational frame theory, and the third wave of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 Behavior therapy 35(4), 639-665.

61.

Hong, Y. S. (2009). A Narrative Inquiry Into Three Korean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Returnee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62.

Labov, W. (1982). Speech actions and reactions in personal narrative. Analyzing discourse: Text and talk, 219-247.

63.

Levinson, Daniel J. (1996). 김애순 역 (2004). The Seasons of Woman's Life. 여자가 겪는 인생의사계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64.

Maxwell., Joseph A. (2009). 이명선, 김춘미, 고문희 공역. 질적 연구설계: 상호 작용적 접근. 서울 군자출판사

65.

Patton, M. Q. (1990, 2005). Qualitative research. John Wiley & Sons, Ltd.

66.

Polkinghorne Donald E. (1988).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강현석,이영효, 최인자, 김소희, 홍은숙, 강웅경 역 (2009).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학지사.

67.

Ryan, J., & Molesey, E. (2012). Photography as a Tool of Awareness.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44(1), 92.

68.

Simkin, James S., and Gary M. Yontef. (1984)“Gestalt therapy.” Current psychotherapies. 279-319.

69.

Seidman, Irving (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3rd), 박혜준.이승연 옮김 (2009). 질적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서울: 학지사.

70.

Weiser, J. (1999). PhotoTherapy Techniques. 심영섭, 김준형, 이명신 공역 (2012). 사진치료기법. 학지사

71.

Weiser, J. (2005). Photography as nonverbal Communication in Cross Cultural Psychology, Cross Cultural Perspective in Nonverbal Communication

72.

Zakem, B. (1977). Photographs help patients focus on their problems. Psychology Today, 11(4), 2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