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중년 여성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탈중심화, 수용의 매개효과
홍은선(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 민경화(광운대학교) pp.587-611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애착이론과 상위인지적 자기조절 기제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론적 주장을 바탕으로 성인애착이 탈중심화와 수용을 매개로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개별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 38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변인 간 경로를 설정한 연구모형이 탈중심화에서 수용으로 향하는 경로를 설정하지 않은 경쟁모형에 비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애착불안은 수용을 통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애착회피는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불안은 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모두 탈중심화를 통해 수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중심화는 수용을 통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탈중심화와 수용의 이중매개 효과가 드러났다. 이것은 상위인지적 자기조절 기제인 탈중심화와 수용의 인과적 관련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디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ecentering and acceptance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For that purpose, a survey was taken with 389 middle-aged women and it measured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distress, decentering and accepta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the measuring model turned out to fit the data. The research model that set a path among all the variables showed better fitness than the comparative model.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psychological distress attachment anxiety had no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distress,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had direct effects on it. Second, decentering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ird, acceptance had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but acceptance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sychological distress. Fourth, decentering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cceptance. Specifically,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acceptance, as well as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cceptance. Fifth, acceptance had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decenter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Finally, decentering and acceptance had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is suggests a causal relevance of decentering and acceptance. Based on those findings, a plan for reducing distress in middle-aged women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discussed.

중년기여성의 부부 갈등해결전략과 가족구조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유경란(도호쿠대학대학원 교육학연구과) pp.613-633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중년기여성을 대상으로 아내가 인지하는 가족구조와 부부 갈등해결전략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차이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생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부-모-자 3자간의 친밀감  및 세력과 부부 갈등해결전략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구조의 친밀감과 세력 득점에 대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한국은 유교적 가족관에 근거한 부권존중의식의 잔존으로 인해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친밀감이 높은 가족 구조를 이루고 있고, 일본은 가족 개인화 경향 및 가족 내 아내의 경제적 위치의 상승으로 인해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지배력이 강한 가족구조를 이루고 있어, 가족구조에는 한일 차가 있었다. 둘째, 5개 갈등해결전략 득점을 비교한 결과, 갈등해결전략의 선택에는 한일 간의 차이가 있으며 그 배경에는 문화적 자기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주체성 자기가 발달된 한국인은 자기 현시성에 근거하여 주장과 양보를, 대상적 자기가 발달된 일본인은 자기 억제성에 기인하는 회피와 타협을 선호하였다. 또한 갈등해결전략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회피 전략은 한국과 일본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 갈등해결전략의 연구에 있어서 개인주의-집단주의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각 국가의 개별성에 주목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셋째, 국가와 가족구조에 따라 갈등해결전략의 사용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가족구조를 4군집으로 나누어, 국가와 가족구조 군집을 독립변수로 하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양국에 있어서 가족의 높은 친밀감과 아버지의 낮은 세력은 타협과 협조 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양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및 가족구조는 부부의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부부의 친밀하고 평등주의적 관계는 건설적인 갈등해결전략의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Abstract

In this research, relationships between middle-aged-wife-perceived family structure and marit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Japan and South Korea were examined, and their national differences were discussed with a socio-cultur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ntimacy and power between father, mother, and child, and wive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test of intimacy and power showed that family structures in Korea and Japan were characterized by father-centered close adhesion based on Confucian family views that respect father’s power, and by mother’s strong power over children based on individualization in family and increase in wife’s socioeconomic status, respectively. Second, comparison of five conflict resolution showed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probably due to different self-construals; Subjectivity-developed Koreans preferred asserting and yielding with a self-manifesting view, while objectivity-developed Japanese did avoiding and compromising with a self-regulating view. Additionally, Koreans’ and Japanese’ cor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revealed that meaning of yielding differs in the two nations, to leave the necessity of attending to national characteristics beyond the dichotomy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Third, two-way ANOVA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ith nations and four family structures as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family’s high intimacy and father’s weak power were found effective in deriving wife’s compromising and cooperation. Overall, it was concluded that both nations’ socio-cultural backgrounds affected marit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that friendly equalitarian relationships are needed to induce wife’s constructive strategies.

남성중심 직업을 선택한 여성들의 심리사회적인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지웅(계명대학교) pp.635-657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중심 직업을 선택한 여성들이 직장에서 겪는 심리사회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남성중심 직업으로 분류된 경찰관, 소방관, 철강 엔지니어, 공학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네 명의 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분석 결과, 두 개의 중심 이야기가 도출되었는데 첫째는 남성중심 직업에서 여성으로서 겪는 부정적 경험이었으며, 둘째는 남성중심 직업에서 여성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이었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 여성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을 위한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언급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work in male-dominated occupation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our women from the following male-dominated careers: an engineering researcher, a steel engineer, a police officer, and a fire fighter. A narrative inquiry was used to deeply understand and analyze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Based on analyses, two main narratives were derived; the negative experiences of women in male-dominated occupations and the needs for living as women in male-dominated occupations. Regarding adaptation to the workplace, the narratives reveal experiences of gender discrimination, a male-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bsequent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 participants expressed frustration over the lack of adequate alternative measures or policie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at ultimately lead to a passive response. In spite of their frustrations as women working in male-dominated careers,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ed to engage in workplace competition and make an special effort to improve their personal position at work. The participants also provide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to women who wish to choose the male-dominated careers. They emphasize the need to work hard in order to succeed, coupled with aggressiveness, an enterprising spirit, and a willingness to take risks. These findings reveal a need to further strengthen policies to support women entering into male-dominated careers and the further effort required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the workplac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female career counseling,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성인 여성의 성적 공상 인식 및 형태, 기능에 대한 질적 연구
김수현(건양대학교) ; 서선진(건양대학교) ; 송원영(건양대학교) pp.659-681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4
초록보기
초록

성적 공상은 모든 형태의 성적인 생각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감각적, 감정적 또는 생리적인 상태를 변화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이 가진 성적 공상에 대한 경험과 생각, 영향 등에 대해 질적인 방법으로 심층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거주하는 기혼 또는 미혼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성적 공상에 대한 면담참여자의 생각과 경험을 듣기 위해 반구조화 된 면담질문을 사용하였고,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된 면담자료는 전사과정을 거쳐 지속적 비교 분석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과정과 결과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참여자 점검과 연구 상황 및 의사결정 과정을 모두 기록으로 남겼다. 분석결과, 성적 공상의 인식, 성적 공상의 형태, 성적 공상 성과의 3개의 대범주에 대해 7개의 중범주 및 17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성적 공상의 인식은 성적 호기심에 기반을 둔 자기만족적 상상, 자기 자신의 경험과 사회인식을 반영하는 상상, 폐쇄적 상상으로 범주화되었고, 성적 공상의 형태는 막연한 대상과 상황에 대한 공상, 구체적인 대상과 성행위에 대한 공상으로 범주화되었다. 성적 공상의 성과는 성적 결핍의 충족과 내적 갈등의 발현으로 범주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성인 여성의 성적 공상의 인식 및 형태, 성적 공상의 성과에 대한 경험적인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여성이 갖는 성적 공상의 인식과 형태, 성과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그동안 남성 관련 관심 영역으로 치우쳐져 있던 성적 공상 연구를 여성에게도 확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Sexual fantasy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ll forms of sexual thoughts and images, which change our sensory, emotional or physiological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 adult women's sexual fantas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4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2 women living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is study us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about their sexual fantasy.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analyzed through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proces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ll the research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results were recorded. We obtained 7 main themes and 17 sub-themes out of 3 categories of sexual fantasy (cognition, its form, outcome). Cognition of sexual fantasy was categorized as imagination what applying social cognitions and self-experiences, exclusive imagines which are based on the sexual curiosity. forms of sexual fantasy were categorized as fantasy about foggy targets and situations, fantasy about specific target and intercourse. outcome of sexual fantasy was categorized as emerging follows two conditions, which are the gratification of sexual deficiency, the inner conflicts. This study established an empirical basis for the recognition, form, and outcome of the adult women's sexual fantasy. And this study overcame the bias of sexual fantasy research flow which was far biased on those of men. Also,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성인 여성의 성적 공상 인식 및 형태, 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김수현(건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서선진(건양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 송원영(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pp.659-681
초록보기
초록

성적 공상은 모든 형태의 성적인 생각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감각적, 감정적 또는 생리적인 상태를 변화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이 가진 성적 공상에 대한 경험과 생각, 영향 등에 대해 질적인 방법으로 심층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거주하는 기혼 또는 미혼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성적 공상에 대한 면담참여자의 생각과 경험을 듣기 위해 반구조화 된 면담질문을 사용하였고,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된 면담자료는 전사과정을 거쳐 지속적 비교 분석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과정과 결과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참여자 점검과 연구 상황 및 의사결정 과정을 모두 기록으로 남겼다. 분석결과, 성적 공상의 인식, 성적 공상의 형태, 성적 공상 성과의 3개의 대범주에 대해 7개의 중범주 및 17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성적 공상의 인식은 성적 호기심에 기반을 둔 자기만족적 상상, 자기 자신의 경험과 사회인식을 반영하는 상상, 폐쇄적 상상으로 범주화되었고, 성적 공상의 형태는 막연한 대상과 상황에 대한 공상, 구체적인 대상과 성행위에 대한 공상으로 범주화되었다. 성적 공상의 성과는 성적 결핍의 충족과 내적 갈등의 발현으로 범주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성인 여성의 성적 공상의 인식 및 형태, 성적 공상의 성과에 대한 경험적인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여성이 갖는 성적 공상의 인식과 형태, 성과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그동안 남성 관련 관심 영역으로 치우쳐져 있던 성적 공상 연구를 여성에게도 확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Sexual fantasy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ll forms of sexual thoughts and images, which change our sensory, emotional or physiological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oughts and experiences with the adult women's sexual fantas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4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2 women living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is study us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about their sexual fantasy.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analyzed through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proces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ll the research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results were recorded. We obtained 7 main themes and 17 sub-themes out of 3 categories of sexual fantasy (cognition, its form, outcome). Cognition of sexual fantasy was categorized as imagination what applying social cognitions and self-experiences, exclusive imagines which are based on the sexual curiosity. forms of sexual fantasy were categorized as fantasy about foggy targets and situations, fantasy about specific target and intercourse. outcome of sexual fantasy was categorized as emerging follows two conditions, which are the gratification of sexual deficiency, the inner conflicts. This study established an empirical basis for the recognition, form, and outcome of the adult women's sexual fantasy. And this study overcame the bias of sexual fantasy research flow which was far biased on those of men. Also,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중년기 기혼 남녀의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과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조절효과
최승미(광운대학교) ; 김지연(광운대학교) pp.683-702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과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가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리서치 기관에 의뢰하여 기관회원으로 등록된 40~59세 사이 기혼남녀 295명을 대상으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 결혼만족도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여, 수거된 자료를 바탕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년남녀 모두 생활사건 스트레스는 결혼만족도, 정신적 웰빙 전반과 부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 및 하위요인인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웰빙 각각과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가 유의하게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에는 정신적 웰빙의 하위 요인 중 사회적 웰빙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과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가 유의하게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의 기혼남녀 모두에게 스트레스는 정신적 웰빙을 위협하는 주요 변인이나, 남녀 모두 부부관계 경험이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유의하게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 여성 뿐 아니라 남성 역시 중년기의 정신건강에 결혼만족도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of everyday stressors and the mental well-being among married middle-aged ad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295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who are internet users ranging from 40-59 years ol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both men and women respectively. As a result, everyday stressors were negatively related to both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overall mental well-being in middle-aged men and women. For men,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the substantial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stressors and mental well-being, and its sub-factors such a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For women,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the substantial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in mental well-being and its sub-factors of mental well-being except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was the main factor threatening mental well-being of both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marital satisfaction reduced negative impact of stress on mental wellbeing. Consequently, this study implied that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ental health of both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대리외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남희경(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703-723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리외상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외상상담자들의 개별면담 내용과 선행이론 분석을 통해 대리외상의 구성 개념과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정을 거쳐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외상 생존자들을 조력하는 기관에 근무하는 외상 상담자 316명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분석 결과, 개발된 척도가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척도, 외상과 애착 신념 척도, 상담자 소진 질문지, 역전이 행동 척도와 적절한 상관을 나타내어 대리외상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과 상관분석을 한 결과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척도의 예측 타당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대리외상 척도와 경력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초심집단과 비교하여 숙련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긍정적 영향’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vicarious trauma scale(VTS).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preliminary items of the VTS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from trauma counselors and reviewing of existing literature. The experts-contents-validity was confirmed and the final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reasonable fit index for this six factor structure of the vicarious trauma scale. The results from a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dicat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vicarious trauma scale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 Trauma and Attachment Belief Scale, Counselor Burnout Inventory, and Inventory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 predictive validity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cal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relationships between this scale and work experience variable was analyzed. The result indicated that expert group in comparison with novice group experience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ositive effec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외상 상담자의 대리외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남희경(가톨릭대학교) pp.703-7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리외상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외상 상담자들의 개별면담 내용과 선행이론 분석을 통해 대리외상의 구성 개념과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정을 거쳐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외상 생존자들을 조력하는 기관에 근무하는 외상 상담자 316명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분석 결과, 개발된 척도가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척도, 외상과 애착 신념 척도, 상담자 소진 질문지, 역전이 행동 척도와 적절한 상관을 나타내어 대리외상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과 상관분석을 한 결과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척도의 예측 타당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대리외상 척도와 경력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초심집단과 비교하여 숙련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긍정적 영향'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vicarious trauma scale(VTS).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preliminary items of the VTS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from trauma counselors and reviewing of existing literature. The experts-contents-validity was confirmed and the final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reasonable fit index for this six factor structure of the vicarious trauma scale. The results from a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dicat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vicarious trauma scale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 Trauma and Attachment Belief Scale, Counselor Burnout Inventory, and Inventory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 predictive validity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cal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relationships between this scale and work experience variable was analyzed. The result indicated that expert group in comparison with novice group experience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ositive effec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모의 부정적 신체이미지와 외모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이 여대생의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김은하(아주대학교) ; 김현준(아주대학교) ; 기민선(건국대학교) pp.725-748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의 부정적 신체이미지와 딸의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에서 딸의 부정적 신체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딸이 지각하는 모의 외모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모녀 202쌍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딸의 부정적 신체이미지는 모의 부정적 신체이미지와 딸의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딸이 지각하는 모의 외모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은 딸의 부정적 신체이미지와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딸이 모로부터 외모에 대해 부정적 피드백을 많이 받았다고 생각할수록 부정적 신체이미지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는데, 모의 부정적 신체이미지와 딸의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에서 딸의 부정적 신체이미지의 매개효과는 모의 외모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aughters’ negative body image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negative body image and daughters’ abnormal eating behaviors, and if such mediating effect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daughters’ perceived level of maternal negative feedback on appearance among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 total sample of 202 mother-daughter pai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Macr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aughters’ negative body imag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negative body image and daughters’ abnormal eating behaviors. Second, daughter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negative feedback on appearance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aughters’ negative body image and abnormal eating behaviors. That is, as the frequency of maternal negative feedback on appearance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ughters’ negative body image and abnormal eating behaviors increased.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model was supported in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aughters’ negative body 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negative body image and daughters’ abnormal eating behaviors increased as maternal negative feedback increased.

경력단절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유진(계명대학교) ; 손은정(계명대학교) pp.749-768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진로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으며, 경력단절 원인에 따라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된 변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거나 상담을 받기 위해 내방한 여성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배우자 지지는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탄력성은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력단절원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에서 결혼으로 인한 경력단절 집단보다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집단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변인에서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경력단절여성에 대한 연구 및 실제에 주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upport and the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areer-interrupted wome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auses of career interruption. One hundred sixty six women, who had taken courses or had come for advice at the Woman Vocation Organizations of Kyongsa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ed by career self-efficac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ed by career self-efficacy. Third, career-interrupted women for child-birth and nurture had higher scores in all the variables and higher correlation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career-interrupted women for marriag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bout career-interrupted women a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