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유자녀 직장 여성의 다중역할수행 대처전략에 대한 개념도 연구
우영지(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173-194 https://doi.org/10.18205/kpa.2016.21.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자녀 직장여성들이 일과 가정에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대처전략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8세 미만의 자녀를 1명 이상 둔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1단계에서 총 35명이 다중역할 대처전략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1단계에 참여했던 참가자 중 10명이 1단계에서 추출된 95개의 핵심문장을 분류하고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행동근거-긴장근거’, ‘개인적-사회적’ 차원을 두 축으로 하여 6개의 개념적 전략의 군집(1) 엄마로서의 관계 맺기 전략, 2) 구조적 역할 재정립 전략, 3) 인지적 재구조화 전략, 4) 사회적 지지추구 전략, 5) 자녀 양육 및 교육 전략, 6) 가족 중심 역할수행 전략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유자녀 직장여성들의 대처전략 사용에 관한 함의와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nceptual structure on multiple-role strategies of working mothers through a concept mapping method. Primary sentences for the idea about multiple-role strategies extracted by 35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under age 18. Key sentences were extracted based on their responses, then 10 participants among 35 sorted them and rated importance of each key sentences.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wo dimensions, time/action based - strain based and personal-social axis were found. Also, six types of multiple-role coping strategies were grouped: 1) networking as a mother, 2) structural role redefinition, 3)cognitive restructuring, 4) seeking social support, 5) parenting and educating, and 6) family-role focused coping. We discussed researc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results.

여대생의 자기성찰에서 드러난 ‘여성으로서 일'의 의미 탐색에 관한 질적 연구
임윤서(동국대학교) ; 안윤정(동국대학교) pp.195-228 https://doi.org/10.18205/kpa.2016.21.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성으로서 자신에게 일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서울의 남녀공학과 여대 여학생 총 238명을 대상으로 관련 성찰보고서를 토대로 CQR-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여성으로서의 일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4개 영역, 10개 범주, 31개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이 인식하는 진로장벽 중에 내적장벽은 ‘여성성에 대한 부정’, ‘비전통적 진로선택의 어려움’, ‘다중역할의 부담’, ‘낮은 자기효능감’ 등 4개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 영역 중 외적장벽은 ‘여전히 존재하는 아들선호’, ‘남녀공학 대학에서 관습화된 성차별 문화’, ‘학교 밖의 일상화된 성차별’, ‘안정성 신화에 가려진 성별화된 직종’ 등 4개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둘째, 의미있는 타인의 영역은 ‘당당하지만 여유없는 직장인 어머니’, ‘헌신적이지만 상실감을 느끼는 전업주부 어머니’, ‘진로단절 극복 후 생기를 얻은 어머니’ 등 3개의 하위범주로, ‘긍정과 지지의 아버지’, ‘부정과 강요의 아버지’ 등의 2개 하위범주로 나누었다. 부모 외 직업가계도는 ‘특정 직업군의 영향’, ‘여성 가족구성원의 경험’ 등의 2개 하위범주로, 사회적 관계는 ‘남자친구와의 관계’, ‘선배 또는 친구의 일상적 영향’, ‘롤 모델의 상징적 영향’ 등 3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참여활동경험 영역 중에 일경험은 ‘조직문화 위계와 규율인식’, ‘다양한 인간관계속 갈등과 대처’, ‘직무에 대한 적성과 흥미의 고려’, ‘고된 노동을 통한 현실인식’ 등 4개의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일경험과 일 이외에 다양한 경험은 ‘다른 세계로의 호기심과 인식확장’, ‘새로운 잠재력 발견’, ‘결핍을 통한 방황과 성장’ 등 3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었다. 넷째, 성찰이후의 계획 영역의 지향하는 성역할 결정은 ‘육아에 집중하는 가정지향’, ‘독신을 고려하는 일지향’, ‘힘들지만 포기할 수 없는 일·가정 양립’ 등 3개의 하위범주로, 진로선택을 위한 활동은 ‘개별화된 자기계발의 노력’, ‘구체적 직종탐색’, ‘전공을 벗어난 열린 진로모색’ 등 3개의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여대생들이 ‘여성으로서의 일’의 의미는 남학생과 다르며, 어떻게 왜 다르게 구성하는지 우리사회의 성차별적 맥락과 현실적인 분석을 통해 여대생의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논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work as a woman’, this study has analyzed 238 women’s self-examining report from Seoul’s both co-ed and women's university by using CQR-M. As a FUS(female university student) analyzing the meaning of oneself as a woman, I have broken down the results into 4 areas. First area indicates the barriers that career-pursuing FUSs face. The internal barriers related to their career as a woman is recognized as four sub-categories; general denial of femininity, the difficulty of non-traditional career choices, the burden of multiple roles and low self-efficacy for oneself. The external barriers are also recognized into several. Such as, still-existing son preferences, generalized gender inequality in co-ed university, institutionalized gender inequality outside of school, gender specified jobs with veiled stability, etc. Second area is significant others the FUSs are shown as father, mother, and others. Under the category of father, it is divided into supportive and optimistic father or pessimistic and forcing father. Under the category of mother, it is divided into three; out-going yet busy working mothers, devoted yet depressed mothers, and the mothers with overcoming career discontinuity. The others that give influence includes certain employees, and female family members other than mother, relationships with partners, friends, and role models. Third area is the experience of FUSs, which falls into two sub-categories: work-related, and non-work related. The work related experiences is again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situations, situations that required to follow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ts rules, handling complex relationships, taking under consideration of one self’s interest, and realization of the reality after hard labor. Non-work related experiences FUSs have had are subdivided into three, which are as follows. Interest and curiosity to different worlds and expansion of perception, discoveries of hidden talents, overcoming personal crisis and following maturity after the crisis. Last area is the desiring female’s role in the future has divided into three, which are family-oriented motherly female, work-oriented independent female, and female who seeks the combination of both work and family despite the difficulties. The choices that one would make for better building of one self’s career included differentiated effort for self-development, specific research on desiring jobs, job opportuniti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current major. This analysis suggests diverse career issues concerning FUSs can be utilized for their career counseling.

여대생의 자기성찰에서 드러난 '여성으로서 일'의 의미 탐색에 관한 질적 연구
임윤서(동국대학교) ; 안윤정(동국대학교) pp.195-2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성으로서 자신에게 일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서울의 남녀공학과 여대 여학생 총 238명을 대상으로 관련 성찰보고서를 토대로 CQR-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여성으로서의 일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4개 영역, 10개 범주, 31개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이 인식하는 진로장벽 중에 내적장벽은 '여성성에 대한 부정', '비전통적 진로선택의 어려움', '다중역할의 부담', '낮은 자기효능감' 등 4개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 영역 중 외적장벽은 '여전히 존재하는 아들선호', '남녀공학 대학에서 관습화된 성차별 문화', '학교 밖의 일상화된 성차별', '안정성 신화에 가려진 성별화된 직종' 등 4개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둘째, 의미있는 타인의 영역은 '당당하지만 여유없는 직장인 어머니', '헌신적이지만 상실감을 느끼는 전업주부 어머니', '진로단절 극복 후 생기를 얻은 어머니' 등 3개의 하위범주로, '긍정과 지지의 아버지', '부정과 강요의 아버지' 등의 2개 하위범주로 나누었다. 부모 외 직업가계도는 '특정 직업군의 영향', '여성 가족구성원의 경험' 등의 2개 하위범주로, 사회적 관계는 '남자친구와의 관계', '선배 또는 친구의 일상적 영향', '롤 모델의 상징적 영향' 등 3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참여활동경험 영역 중에 일경험은 '조직문화 위계와 규율인식', '다양한 인간관계속 갈등과 대처', '직무에 대한 적성과 흥미의 고려', '고된 노동을 통한 현실인식' 등 4개의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일경험과 일 이외에 다양한 경험은 '다른 세계로의 호기심과 인식확장', '새로운 잠재력 발견', '결핍을 통한 방황과 성장' 등 3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었다. 넷째, 성찰이후의 계획 영역의 지향하는 성역할 결정은 '육아에 집중하는 가정지향', '독신을 고려하는 일지향', '힘들지만 포기할 수 없는 일·가정 양립' 등 3개의 하위범주로, 진로선택을 위한 활동은 '개별화된 자기계발의 노력', '구체적 직종탐색', '전공을 벗어난 열린 진로모색' 등 3개의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여대생들이 '여성으로서의 일'의 의미는 남학생과 다르며, 어떻게 왜 다르게 구성하는지 우리사회의 성차별적 맥락과 현실적인 분석을 통해 여대생의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논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work as a woman', this study has analyzed 238 women's self-examining report from Seoul's both co-ed and women's university by using CQR-M. As a FUS(female university student) analyzing the meaning of oneself as a woman, I have broken down the results into 4 areas. First area indicates the barriers that career-pursuing FUSs face. The internal barriers related to their career as a woman is recognized as four sub-categories; general denial of femininity, the difficulty of non-traditional career choices, the burden of multiple roles and low self-efficacy for oneself. The external barriers are also recognized into several. Such as, still-existing son preferences, generalized gender inequality in co-ed university, institutionalized gender inequality outside of school, gender specified jobs with veiled stability, etc. Second area is significant others the FUSs are shown as father, mother, and others. Under the category of father, it is divided into supportive and optimistic father or pessimistic and forcing father. Under the category of mother, it is divided into three; out-going yet busy working mothers, devoted yet depressed mothers, and the mothers with overcoming career discontinuity. The others that give influence includes certain employees, and female family members other than mother, relationships with partners, friends, and role models. Third area is the experience of FUSs, which falls into two sub-categories: work-related, and non-work related. The work related experiences is again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situations, situations that required to follow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ts rules, handling complex relationships, taking under consideration of one self's interest, and realization of the reality after hard labor. Non-work related experiences FUSs have had are subdivided into three, which are as follows. Interest and curiosity to different worlds and expansion of perception, discoveries of hidden talents, overcoming personal crisis and following maturity after the crisis. Last area is the desiring female's role in the future has divided into three, which are family-oriented motherly female, work-oriented independent female, and female who seeks the combination of both work and family despite the difficulties. The choices that one would make for better building of one self's career included differentiated effort for self-development, specific research on desiring jobs, job opportuniti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current major. This analysis suggests diverse career issues concerning FUSs can be utilized for their career counseling.

어머니의 원가족 기능성, 성인애착, 공동양육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이미나(가천대학교) ; 차기주(가천대학교) ; 정미라(가천대학교) pp.229-251 https://doi.org/10.18205/kpa.2016.21.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가 인식하는 원가족 기능성, 성인애착, 공동양육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원가족 기능성은 성인애착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동양육에 대한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어머니의 성인애착은 부부공동양육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공동양육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성인애착은 어머니의 원가족 기능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공동양육은 어머니의 원가족 기능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성인애착은 어머니의 원가족 기능성과 어머니의 공동양육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어머니의 공동양육은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erceptions on the early experiences of the family-of-origin and adult attachment, and cooperations in parenting in the current family (co-parenting), and children’s levels of social competences. For the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mothers of children of 4 and 5 years, who lived in Kyeonggi province (n=251). The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ults revealed that first, maternal early experiences in the family-of-origi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dult attachment, while having no direct effects on co-parenting. Maternal adult attachmen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co-parenting, and the adult attachment and co-parenting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respectively. Second, mothers’ adult attach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w mothers perceived experiences in the family-of-origin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s, and co-parenting mediated the impact of the family-of-origin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s. Next, the effects of the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on co-parenting were mediated by maternal adult attachment, while maternal adult attachment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s through co-parent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expecially focusing on the ways to improve children’s social competences.

한국판 배우자 학대 척도 타당화 연구
김영애(계명대학교) pp.253-273 https://doi.org/10.18205/kpa.2016.21.2.004
초록보기
초록

배우자에 의해 행해지는 학대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일 뿐 아니라 배우자 학대를 목격한 자녀들의 부적응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Hudson과 McIntosh(1981)가 개발한 Index of Spouse Abuse(ISA)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ISA는 여성 배우자가 남성 배우자에 대해 평가하도록 개발되었으나, 남, 녀 배우자 모두에게 활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였다. 참가자들은 Torres 등(2010)이 제안한 것처럼, 배우자 학대의 준거와 일치하는 법적으로 결혼, 이혼, 또는 동거 중인 일반인 469명이었다(남자 173명, 여자 296명).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심리적 학대, 신체적 학대, 그리고 통제행동의 3요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배우자학대 척도와 개념적으로 관련된 갈등 관리 척도와 우울 간의 상관, ANOVA 및 ANCOVA(공변인: 연령)를 통해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한국판 배우자 학대 척도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3요인구조를 보였으며 내적합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높은 구성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향후 연구 방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Index of Spouse Abuse(Hudson & McIntosh, 1981). The ISA was originally developed to ask female partner about her male spouse however, in this study neutral expressions were adapted to apply to all male and female partners. Participants were 469 individuals(173 males and 296 females) out of legally married couple, former spouse and living in the state which was following the criteria of spouse abuse proposed by Torres, etc. (2010).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ot only the three factor structure of psychological abuse, physical abuse and control behavior was extracted but the fit of this model was also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test or ANOVA and ANCOVA(covariate: age)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CTS and BDI scor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sychological, physical abuse, and control behavior of K-ISA. The results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In conclusion, K-ISA was found to be a reliable and valid scale of measuring three abusive factors in Korean popula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discussed in relation to future studies.

취업여성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표현의 조절효과
손강숙(중앙승가대학교) ; 정소미(동국대학교) pp.275-293 https://doi.org/10.18205/kpa.2016.21.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자기표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의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에 상용직으로 재직 중인 사무직 취업여성 72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 자기표현 척도, 직무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직무만족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표현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표현과 직무만족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은 조절변인으로써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취업여성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표현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자기표현의 수준에 따라 직무만족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및 교육과 같은 방법을 통해 자기표현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self-expression between employed women’s non-ado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job satisfact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Job Satisfaction Scale(JSS), and Self Expression Scale(SES) were completed by a sample consisting of 726 employed women working as regular office workers in private enterpris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 of the measured variabl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n-ado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non-ado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 express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 ex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Second, employed women’s self-expression between non-ado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expression, by considering together employed women’s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Moreover, it is significant that needs for interventions to increase self-expression through methods such as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employed women are proposed.

수감자 아내들의 삶
이동훈(성균관대학교) ; 전지열(이화여자대학교) ; 김주연(성균관대학교) pp.295-325 https://doi.org/10.18205/kpa.2016.21.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남편이 수감된 아내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주거지원 서비스를 받는 13명의 출소자 아내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접근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 (1990)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151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은 “청천벽력과도 같은 소식에 넋이 나감”, “감옥 수발에 지침”이 나타났으며, 현상으로는 “죽음과 같은 극한 일상 살아내기”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고립무원 속 분투”, “혼인파탄의 위기”, “가족에게조차 말하기 어려운 깊은 고통”, “사회․경제적 지위 하락”, “부모인생 유전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은 “여러 의지처를 찾음”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가족 십자가 매기”, “도구적 몰입”, “남은 가족과의 연대”가 나타났으며, 결과는 “자기 실존 이어가기”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남편을 대신한 자리에서 전투같은 삶을 살아가지만 가족 수용과 자기성찰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상정했다. 최종적으로 남편의 교도소 수감과 관련된 아내의 경험을 통해 수감자 아내들에게 필요한 도움들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 of offenders’ wives during their husbands’ incarceration. 13 ex- offenders’ wives who received housing support by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were interviewed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In open coding, 151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emerged from the data. In axial coding, central phenomenon was ‘living in the throes of a kind of dying’. Intervention condition was ‘searching for help’. Strategies were ‘carrying of the cross for family’, ‘instrumental activities to overcome’, and ‘family solidarity’. Consequence was ‘hold self- consciousness’. In selective coding, main theme was ‘living like in a war zone, but there was much introspection and loving for the family’. Based upon the research outcomes, the needs for ex-offenders’ families resiliency was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