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work in male-dominated occupation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our women from the following male-dominated careers: an engineering researcher, a steel engineer, a police officer, and a fire fighter. A narrative inquiry was used to deeply understand and analyze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Based on analyses, two main narratives were derived; the negative experiences of women in male-dominated occupations and the needs for living as women in male-dominated occupations. Regarding adaptation to the workplace, the narratives reveal experiences of gender discrimination, a male-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bsequent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 participants expressed frustration over the lack of adequate alternative measures or policie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at ultimately lead to a passive response. In spite of their frustrations as women working in male-dominated careers,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ed to engage in workplace competition and make an special effort to improve their personal position at work. The participants also provide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to women who wish to choose the male-dominated careers. They emphasize the need to work hard in order to succeed, coupled with aggressiveness, an enterprising spirit, and a willingness to take risks. These findings reveal a need to further strengthen policies to support women entering into male-dominated careers and the further effort required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the workplac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female career counseling,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강이수 (2007). 산업화 이후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일- 가족관계. 페미니즘연구, 7(2), 1-35.
곽선행 (2008). 여성체육인의 커리어 요인과 전문직업적 정체성, 성차별의식 및 직업의식의 관계. 건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공정원, 엄명용 (2016). 근로시장에서 기혼직장여성의 출산계획, 임신, 출산, 육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직접 간접 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1, 149-186.
권경득 (2000). 공직인사상의 여성차별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행정학회, 2000(1). 155- 173.
권호안 (2007). 저 출산․고령화 사회 노동시장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구미영 (2010). 고용상 성차별의 개념과 판단. 산업관계연구, 20(1), 163-187.
구수연, 김동익 (2014). 여학생 공학교육 지원 사업이 공대 여성 졸업생의 취업과 경력 유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학교육학회지, 1(6), 3-11.
김수한, 이재경, 윤은성 (2015). 여성관리자의 멘토 네트워크 형성과 소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16(1), 185- 226.
김영실, 임성문 (2011). 남성중심 직업을 희망하는 여자 대학생들의 직업결정과정: 근거이론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303-329
김혜숙, 안상수, 안영미, 고재홍, 이선이, 최인철 (2005).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 하위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3), 117-133.
남성진 (2014). 공공․민간 사회복지종사자의 유리천장현상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망’으로 살아가기: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민무숙, 이정희 (2005). 공학 분야 전공 여학생들의 교육과 직업경험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5(2), 65-93.
박상희, 김혜숙 (2007). 적대적 및 온정적 성차별주의 남성에 대한 노출이 사회의 공정성과 자기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7(1), 400-401.
신철우 (2004). 여성근로자의 성차별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양의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47, 2783-2803.
손은령 (2002).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상담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415-427.
손은령, 김계현 (2002).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4(1), 121-139.
손진희 (2013). 고학력 전문직여성들의 진로경험: 직장경력 5-10년 여성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1), 501-522.
장 영, 장수덕 (2004). 유리천장(Glass Ceilling):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14, 257-278.
조주현 (2000). 여성정체성의 정치학. 서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2006). 적대적 및 온정적 성차별주의 남성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인식차이. 한국 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6(1), 396-397.
양지웅 (2015). 비전통적 진로를 선택한 남성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인간이해, 36(1), 75-102.
연규진, 양지웅, 이정선, 장애경, 김정기 (2013). 학부생과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이공계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2), 295-316.
이명선 (2015). 2015년 3월25일자 보도 자료. http://economy.hankooki.com/1page/opionion/201503/e2015031220243996930.htm.
이상희, 박서연, 김신우 (2013). 진로선택에서 우 연을 기회로 만든 직장인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인간이해, 34(1), 111- 133.
이윤희 (2014). 정부 조직과 민간 기업에 있어서 여성의 “유리천장”현상 분석. 경북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희정, 김금미 (2010).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623-640.
전복희 (2009). 한국의 여성고용형태와 비전통적 직업의 여성고용확대에 대한 고찰: 항공 관련 직업들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7(1), 143-161.
조경숙 (2007).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조해수 (2014). 2015년 3월 29일 보도자료.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62112.
최윤정, 김계현 (2009). 여성 진로 상담 관점에서 본 다중역할(일-가족) 균형의 구성개념 및 측정에 관한 경험적 연구 고찰. 상담학연구, 10(1), 365-387.
추갑식 (2014). 신규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통합교육과정연구, 8(2), 43-70.
함영이 (2008). 3040 워킹 맘 어디로 튈 것인가? 서울: 해피스토리.
Bedford, A. W., & Landry, S. T. (2010). Nar rative research: Interpreting lived exper ience. In C. J. Sheperies, J. S. Young, & M. H. Daniels (Eds.), Counseling research: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me thods (pp. 151-172).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Byrne, E. M. (1993). Women and science: The snark syndrome. London, UK: The Falmer Press.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Floge, L., & Merrill, D. (1989). Tokenism reconsidered: Male nurses and female physicians in a hospital setting. Social Forces, 64(4), 925-947.
Granovetter, M. (1974).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racts and Career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eikes, J. (1992). When men are in the min ority: The case of men in nursing. The Sociological Quarterly, 32(3), 389-401.
Kanter, R. M. (1977). Skewed sex ratios and responses to token wome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2(5), 965-990.
Perrone, K. M., Webb, L. K., Wright, S. L., Jackson, Z. V., & Ksiazak, T. M. (2006).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to work and family roles and life satisfaction am ong gifted adult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8, 253-268.
Ragins, B. R. (1989), Barriers to mentoring: the female manager's dilemma. Human Relations, 42, 1-22.
Russell, J. A. (2005). Work performance and careers. In S. D. Brown & R. W. L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 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pp. 203-224). New York, NY: Wiley.
Willams, C. L. (1993). Doing women’s work: Men in nontraditional occupations. Lond on, UK: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