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tate of north korean female refuses focused on escape length of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repatriation experience to the North Korea : analysis of BPSI-NKR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period of refugee experience both in the course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during transit through third countries has a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symptom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The sample comprised female refugees from North Korea in the Settlement Support Center, commonly known as Hanawon and were stratified by the length of time in exile. We assessed the women's mental health status at two time points in their beginning of Hanawon program and right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using the Brief Psychological State Inventory for North Korean Refugees (BPSI-NKR), which is well developed and valid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at the length of time in transit through third countries and psychological symptom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depression, alcohol problem and family issue. The comparison between short-term group that arrived in South Korea within one year (n=153) and long-term group that arrived in the South with more than 7 years in exile (n=2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degree of psychological improvement and stability on symptoms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depression, somatization, anger, psychosis and alcohol problem.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long-term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the short-term group. The forcible repatriation experience back to North Korea affects significantly on somatization. However, the identity of the variables between forcible repatriation experience and the duration of refugee situation was not relevant, nor was any interaction.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e point that the period of stay in transit countries affects psychological symptoms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However,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which were not considered other risk factors such as occupation, residence area, personal experience in third countries within our findings.

keywords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period of staying, trauma, repatriation to the North Korea, psychological symptoms, BPSI-NKR, 탈북여성. 체류기간, 외상, 북송, 심리적 증상, BPSI-NKR

Reference

1.

강성록 (2000). 탈북자의 외상 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차연 (2005). 재중 탈북여성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61-80.

3.

김순옥 (2010). 탈북자의 외상경험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승현 (2013).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프로그램 효과검증: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여성, 18(4), 533-548

5.

김연희 (2006).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알코올 문제 예측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2(4), 149-180.

6.

김영자 (2000). 중국 내 탈북여성들의 인권실태와 정책제안. 제2회 북한 인권․난민문제 국제회의 발표자료.

7.

김태국 (2009).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의도적 반추에 따른 외상후 성장과 문화적응. 대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태현, 노치영 (2003). 북한이탈 여성들의 삶 이야기 2; 생존전략을 중심으로 한 중국 생활체험. 대한가정학회지, 41(12), 229-243.

9.

김현경 (2007).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김현경, 엄진섭, 전우택 (2008).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사회복지 연구, 39, 29-56

11.

김현아, 전명남 (2003).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 2

12.

김희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003-1022.

13.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1-20.

14.

문숙제, 김지희, 이명근 (2000). 북한 여성들의 탈북 동기와 생활 실태; 중국 연변지역의 탈북 여성들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5), 137-152

15.

박철옥 (2007).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백영옥 (2002). 중국내 탈북여성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보, 6(1), 241-264.

17.

서주연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손의정 (2010). 북한이탈주민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따른 심리적 증상.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신현균, 임지영, 김희경 (2009). 북한이탈주민용 간이심리상태검사 매뉴얼. 통일부.

20.

유정자 (2006).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윤여상 (2004). 재외탈북자 실태 현황과 대안을 중심으로. 제 7기 북한 인권 난민문제 아카데미 발표논문

22.

이경희, 배성우 (2006).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일정책연구, 15(2), 1-28.

23.

이숙영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과 남한내 결혼 만족도와의 관계; 북한, 탈북과정, 남한 적응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숙영 (2014).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 : 중국 체류시 결혼 경험이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5.

이종아 (2004).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전우택 (2004).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이 경제적 자생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부 연구용역보고서.

27.

조상혁 (2002). 중국내 북한이탈주민의 인권문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조영아 (2005). 북한이탈 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29.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30.

조원선 (2006).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응을 위한 기독교상담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한인영 (2001).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 78-94.

32.

채정민 (2003). 북한 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형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최빛내, 김희경 (2011).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95-212

34.

한인영 (2001).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 사회복지학회, 11, 78-94.

35.

홍창형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Carlson, E. B., & Rosser-Hogan, R. (1991). Trauma experiences, postttraumatic stress, dissociation, and depression in Cambodian refugee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8(11), 1548-1551

37.

Carlson, E. B., & Rosser-Hogan, R. (1993). Mental Health status of Cambodian refugees ten years after leaving their homes. Am Jorthopsychiat, 63(2) pp.223-231

38.

Chung, R. C., & Kagawa-Singer, M. (1993). Predictors of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Southeast Asian refuge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6(5), 631-639.

39.

Hauff, E & Vaglum, P. (1995). Organized violence and the stress of exile; Predictors of mental Health in a community cobort of vietnamese refugees three years after resettlement.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6, 360-367

40.

Hinton, W. L., Tiet, Q., Tran, C. G., & Chesney, M. (1997).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refugees from Vietnam: A longitudinal study of new arrival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5(1), 39-45.

41.

Kim, Hyun Kyoung. (2012). A Study on the Perceived Growth after Adversity among North Korean Women Refugee :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Method.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42.

Lee, Y., Lee, M. K, Chun. K. H., Lee, K. Y., & Yoon, J. S. (2001). Trauma 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3), 225-229.

43.

Silove, D., Sinnerbrink, I., Field, A., Manicavasagar, V., & Steel, Z. (1997). Anxiety, Depression and PTSD in Asylum-seekers; associations with pre-migration trauma and post-migration stressor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0(4), 351-357.

44.

Steel, Z., Silove, D., Phan, T., & Bauman, A., (2002). Long term effect of psychological trauma on the mental health of Vietnamese refugees resettled in Australia; a population-based study. The Lancet, 360(5), 1056-1062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