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행동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초록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양육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행동 사이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로써 긍정적인 양육 행동을 높이는 요인을 탐색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이 건강하게 발달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와 병원, 치료기관을 이용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어머니 127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온정적 양육 행동은 감소하고, 거부적 양육 행동과 허용적 양육 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온정적 양육 행동이 증가하고, 거부적 양육 행동과 허용적 양육 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허용적 양육 행동, 양육 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 행동 사이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양육 스트레스와 온정적 양육 행동의 관계에서만 심리적 안녕감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온정적 양육 행동 사이에서만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utistic Spectrum Disorder,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자폐 스펙트럼 장애, 양육 스트레스, 양육 행동,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Participates were 127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who have children receiving treatment from special schools, hospitals, and/or treatment institutes in Seoul and Gyeong-gi do. For the purpose of study, authors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However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jective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Both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yet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jective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partly mediated parenting stress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Third, social support partly mediated parenting stress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The study further discusse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keywords
Autistic Spectrum Disorder,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자폐 스펙트럼 장애, 양육 스트레스, 양육 행동,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참고문헌

1.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2.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5.

3.

김민형, 곽승철, 김기룡 (2015).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행동 간의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조절효과. 자폐성장애연구, 15(2), 49-66.

4.

김상용, 오혜경 (2010). 장애자녀 어머니의 웰빙 연구. 재활복지, 14(1), 139-158.

5.

김세연 (201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30-339.

6.

김수경 (2009).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연수 (1995).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인옥, 이원령 (2011).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7(1), 101-120.

9.

김지혜, 진미경 (201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놀이치료연구, 18(4), 285-305.

10.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및 양육 행동과 아동의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11.

김혜원, 김명소 (2000).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심리적 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12.

김혜자, 정혜숙 (2014). 자폐성 장애 자녀 어머니의 장애수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30(1), 279-316.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김희진, 장영은 (2013).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다중역할의 질과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93-607.

14.

민하영 (2011).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성인애착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 중산층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1-20.

15.

박애선 (2013).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41(9), 143-165.

16.

박애선, 이준상 (2012).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어머니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8(1), 25-44.

17.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2002). 어머니의 성격특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행동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 차이를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3(2), 71-88.

18.

박종엽, 양희택 (2013).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대처양태변화의 재구성. 비판사회정책, 41, 54-94.

19.

배인숙 (1993). 자폐아동의 적응 행동 수준과 그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손영지, 박성연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 성격의 중재효과. 인간발달연구, 18(2), 125-144.

21.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신정이, 황혜원 (2008). 가족소득,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부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0(3), 101-122.

23.

심자형, 이양희 (2005). 전반적 발달장애(PDD)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8, 235-251.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4.

양돈규 (1998).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사회적 지지원의 영향.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지, 4(1), 55-74.

25.

어주경 (1998).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규옥, 한성희, 박혜준 (2010). 장애자녀 양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의 성숙과 변화. 정서․행동장애연구, 26(4), 137-163.

27.

이선형, 이경림, 임춘희 (2009).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4), 57-77.

28.

이숙자, 오수성 (2006).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7(1), 27-45.

29.

이신화 (2014). 자폐성 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애란, 홍선우, 김지수, 주세진 (2010). 자폐성장애 아동 어머니의 삶의 전환과정. 대한간호학회지, 40(6), 808-819.

31.

이인학, 최성열, 송희원 (201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 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학회지, 22(1), 69-81.

32.

이자영, 최웅용 (2012).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 연구, 13(3), 1481-1499.

33.

이종신, 문혁준 (2010). 장애아 어머니의 역할행동 연구: 내외통제성,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3), 5-24.

34.

이지연, 김원경, 정경미 (2009).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9(2), 441-458.

35.

이지현 (2013).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한우 (2002).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특성과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장미선 (2005). 재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만족도.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전찬영, 서미아 (2013). 중증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삶의 극복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240-249.

39.

정현주 (2008).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스트레스가 자폐성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미치는영향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7(3), 47-74.

40.

차혜경 (2008).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 끝없는 긴장의 재구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최경화 (2011). 장애아 어머니의 대처전략 유형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담론 201, 14(4), 41-74.

42.

한경임, 송미승, 박철수 (2003). 장애 아동 어머니의 자녀 양육 경험. 정서․행동장애연구, 19(3), 55-66.

43.

한미애, 장기연, 곽내화 (2011). 긴장의 연속:일반초등학교에 장애아동을 입학시킨 어머니들의 일 년간의 경험과 변화.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3), 35-50.

44.

한석우 (2011).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돌봄자기효능감과 어머니의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6(2) 145-161.

45.

한선혜, 박승호 (2015). 자폐성 장애아동을 둔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자폐성 장애연구, 15(1), 87-120.

46.

홍세희 (2001). 임상심리학 이론의 경험적 검증을 위한 최신 연구방법론: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매개모형과 잠재평균모형의 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 3월 워크샵 자료집.

4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5). DSM-5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대표역자 권준수).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3에 출판)

48.

Beckman, P. J. (1991). Comparison of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5(5), 585-595.

49.

Bengt S. (2002). Family system and coping behaviors: A comparison betwee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d parents with non-autistic children. Autism, 6(4), 397-409.

50.

Benjamin, Z., Connie, Z., & Paul, L.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Mental Health, Stress and Coping Support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3(8), 1946-1955.

51.

Benson, P. R. (2006). The impact of symptom severity on depressed mood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ASD: The mediating role of stress proliferatio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6(5), 685-695.

52.

Benson, P. R., Fisher, G. A., Diana, A., Simon, L., Gamache, G., Tessler, R. C., & McDermeit, M. (1996). A state network of family support services: The Massachusetts Family Support Demonstration Project.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9(1), 27-39.

53.

Benson, P. R., & Karlof, K. L. (2009). Anger, stress proliferation, and depressed mood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ASD: A longitudinal replicatio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9(2), 350-362.

54.

Bishop, S. L., Richler, J., Cain, A. C., & Lord, C. (2007). Predictors of perceived negative impact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12(6), 450-461.

55.

Brei, N. G., Schwarz G. N., Klein-Tasman B. P. (2015). Predictors of parenting stress in children referred for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tic evaluation.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27(5). 617-635.

56.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57.

Cutrona, C. E. (1986).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social support: A micro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 201-208.

58.

Davis, N. O., & Carter, A. S. (2008). Parenting stress in mothers and fathers of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sociations with child characteristic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8(7), 1278-1291.

59.

Dumas, J. E., Wolf, L. C., Fisman, S. N., & Culligan, A. (1991). Parenting stress, child behavior problems and dysphoria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down syndrome, behavior disorders and normal development. Exceptionality, 2(2), 97-110.

60.

Eisenhower, A. S., Baker, B. L., Blacher, J. (2005).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syndrome specificity, behaviour problems and maternal well-being.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9(9), 657-671.

61.

Ekas, N. V., Lickenbrock, D. M., & Whitman, T. L. (2010). Optimism,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0(10), 1274-1284.

62.

Fleming, R., Baum, A., Gisriel, M. M., & Gatchel, R. J. (1982). Mediating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on stress at Three Mile Island. Journal of Human Stress, 8(3), 14-22.

63.

Holbert, R. L., & Stephenson, M. T. (200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e communication studies, 1995-2000.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8(4), 531-551.

64.

Huang, C., Yen, H., Tseng, M., Tung, L., Chen, Y., & Chen. K. (2014). Impacts of Autistic Behavior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n Parenting Stress in Caregiver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4(6), 1383-90.

65.

Koegel, R. L., Schreibman, L., Loos, L. M., Dirlich-Wilhelm, H., Dunlap, G., Robbins, F. R., & Plienis, A. J. (1992). Consistent stress profile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2(2), 205-216.

66.

Leann, E. S., Jan, S. G., & Marsha, M. S. (2011).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at Mid-Life Among Mothers of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2(9), 1818-26.

67.

Lin, N., Ye, X., & Ensel, W. (1999). Social support and depresed mood: A structural analysi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0(4), 344-359.

68.

Osborne, L. A., & Reed, P. (2010). Stress and self-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condition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4(3), 405-414.

69.

Osborne, L. N., & Rhodes, J. E. (2001). The role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the adjustment of sexually victimized pregnant and parenting minority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6), 833-849.

70.

Park, S, Y., Glidden, L, M., Shin, J, Y. (2010).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cognitive delays in vietnam.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23(1), 38-51.

71.

Phetrasuwan, S., & Miles, M. S. (2009).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4(3), 157-165.

72.

Pottie, C. G., Ingram K. M. (2008). Daily stress, coping, and well-being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A multilevel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6), 855-864.

73.

Ryan, R., Deci, E.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66.

74.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75.

Sharpley, C. F., Bitsika, V., Efremidis. B. (1997). Influence of gender, parental health and perceived expertise of assistance up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ability, 22(1), 19-28.

76.

Shin, J. Y. (2002). Social suppor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ental Retardation, 40(2), 103-118.

77.

Smith, T. (1999). Outcome of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Clinical Psychology:Science and Practice, 6(1), 33-49.

78.

Stuart, M., & McGrew, J. H. (2009). Caregiver burden after receiving a diagnosis of an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3(1), 86-97.

79.

Ullman, S. E. (1996). Social reactions, coping strategies, and self-blame attributions in adjustment to sexual assault.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4), 505-526.

80.

Weiss, M. J. (2002). Hardiness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stress in mothers of typical children, children with autism an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utism, 6(1), 115-130.

81.

Winnie W. S., & Yvonne T. Y. (2010). Internalization of stigma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Hong Kong. Social Science & Medicine, 70(12), 2045-2051.

82.

Wolf, L. C., Noh, S., Fisman, S. N., & Speechley, M. (1989). Brief report: Psychological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19(1), 157-16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