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abandonment sche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For this purpose, 409 unmarried men and women with dating experiences were surveyed. They receiv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Short Form(CTQ-SF), Conflict Tactics Scale-2(CTS-2), Young Schema Questionnaire(YSQ) and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30(RAQ-30). SPSS 19.0 and Amos 22.0 were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Main statistical analyses were t-test, Cohen's d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in gender differences between emotional abuse and abandonment schema.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because the effect size was small. Also, gender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hildhood trauma,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abandonment schema, relationship addi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abandonment sche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were found to be dual medi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suggested.
강효진, 박기환 (2013). 데이트 폭력피해의 위험요인 및 관계지속요인. 한국범죄심리학연구, 9(3), 27-54.
구성열 (2010). 아동기 외상경험이 데이트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심리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란 (2002). 대학생 교우관계의 사례분석: 대상관계이론의 유기불안 관점에서.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보라, 정혜정 (2009).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경험과 자아존중감 및 데이팅 폭력의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49-75
김예정, 김득성 (1993). 지속적인 이성교제에서의 갈등표출행동: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2), 127-139.
김옥수 (2005). 가정폭력 경험과 데이트폭력 허용도가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정, 김진숙 (2010).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이 우울수준과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양가성 및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605-630.
김은주 (1997). 성폭력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조사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란 (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 행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란, 김경신 (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폭력과 대처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7(8), 73-90
김지현 (2015). 초기부적응도식과 이성관계만족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찰청 (2016). http://www.police.go.kr/portal/bbs/view.do?bbsId=B0000011&nttId=18111&menuNo=200067.
류병관 (2014). 데이트폭력에 있어 피해자 보호방안. 법학연구, 22(3), 95.
박경민 (2015). 남녀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에 대한 허용도 차이 -가해자, 피해자 입장 전환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연주 (2008). 성인의 애착과 낮은 자존감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주현 (2006). 대학생의 인구 통계적 변수, 데이트 관련변수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데이트 폭력 경험의 차이.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경현 (2008). 공격적 데이트 폭력 피해여성의 분노 및 분노표현, 정신병적 경향성, 중독성과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2), 21-39.
서경현 (2009). 이성관계에서 행해지는 데이트폭력에 관한 연구의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699-727.
서경현, 안귀여루 (2007).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개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77-96.
서경현, 이경순(2002). 여대생의 음주와 데이트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에 대한 탐색. 대한여성건강학회: 여성건강, 4(2), 29-48.
신혜섭, 양혜원 (2005). 청소년 초기의 이성친구에 대한 신체적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변인. 청소년학연구, 12(1), 299-323.
심현진 (2013).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학생의 사회불안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남경, 이영순 (2010). 부모-자녀결합 형태와분리개별화 및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연차학술대회 학술논문집 포스터발표 논문, 604-608.
오남경, 이영순 (2015) 유기불안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4), 905-929.
우상우 (2014).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이론적 모형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선영 (2000). 여대생의 가정폭력 피해와 이성교제폭력 피해간의 매개요인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설아, 박기환 (2013). 유기 도식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1), 1-17.
이수지 (2013). 여자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간의 관계: 초기 부적응 도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현 (2009). 여대생의 대인불안, 대인관계유형, 낭만적 애착유형과 관계중독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혜, 이초롱, 현명호 (2009). 데이트 폭력관계를 유지시키는 요인으로서 용서: 투자모델에 더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2), 385-403.
이정은 (2007). 폭력적 데이트 관계 지속에 관한투자모델의 타당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화 (2007). 데이트폭력의 심리적 후유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하람 (2016). 유기불안이 관계중독에 미치는영향: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원 (2016). 미혼여성의 데이트 폭력 경험과대인관계 문제, 우울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화영 (2014).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여성의 관계 중단 과정에 대한 연구. 성공희대학교시민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하라 (2014). 지각된 부모의 부부갈등이 이성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시온 (2015). 관계중독, 자기 및 타인용서가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호 (2001). 한국판 도식질문지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77-192.
조현정 (2014).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초기 성인기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1), 33-53.
주지현 (2014). 부모애착, 이성관계 집착 및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차미영 (2010).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주진 (2015). 데이트 폭력 경험과 초기 부적응도식 및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미정 (2009). 아동기 학대경험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경, 송원영 (2014). 여대생의 가정폭력경험이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명시적 암묵적 성 고정관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4), 433-446
최지현 (2005). 아동기 가정폭력경험이 대학생의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하예지, 서미경 (2014).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79-103.
한진주 (2007). 어린 시절 경험과 관계중독의패턴연구: 에니어그램과 대상관계 이론적접근. 에니어그램 연구, 4(2), 135-161.
홍세희 (2001).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9
홍혜인 (2015). 성장글쓰기가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기본 세계관과 친밀감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세희 (2006). 섭식절제, 유기도식 수준 및 유기 단서의 식역하 노출이 섭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llen. J. G. (1995). Coping with trauma: A guide to self-understand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Antonio, T., & Hokoda, A. (2009). Gender Variations in dating violence an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among Mexican adolescents. Violence and Victims, 24(4), 533-545.
Archibald, D. Hart. (1997). Healing Life's Hidden Addictions. 윤귀남 역(1997). 숨겨진 중독. 서울: 참미디어.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2), 226.
Berstein, D. P., & Fink, L. (1998).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Bollen, K. A., & Stine, R. A. (1992). Bootstrapping goodness-of-fit measur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05-229.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Bruce, L., & Nellie, L., (2002). Christian counselling and family therapy. 정동섭, 정성준 역(2005). 기독교 상담과 가족치료. 서울: 예수전도단.
Calvete, E., Corral, S., & Estévez, A. (2005). Desarrollo de un inventario para evaluar el abuso psicológico en las relaciones de pareja [Development of an inventory to assess psychological abuse among people living together]. Clínica y Salud, 16(3), 203.
Campbell, J. C., & Kendall-Tackett, K. A. (2005). Intimate partner violence: Implications for wome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Handbook of women, stress and trauma, 123-14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A computer program. Lawrence Erlbaum.
Cornelius, T. L., Shorey, R. C., & Beebe, S. M. (2010). Self-reported communication variables and dating violence: Using Gottman’s marital communication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Family Violence, 25(4), 439-448.
Courtois, C. A. (2004). Complex trauma, complex reactions: Assessment and treatment.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1(4), 412-425.
Cukor, D., & Mcginn, L. K. (2006). History of child abuse and severity of adult depression: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schema.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15(3), 19-34.
Descutner, C. J., & Thelen, M. H. (199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ear-of Intimacy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2), 218-225.
Gamache, D. (1991). Domination and control: The social context of dating violence, In BarrieLevy (Eds.), Datingviolence, WA: SealPress.
Gelles, R. J., & Straus, M. A. (1990). Intimate violence: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buse in the American famil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Gray, H. M., & Foshee, V. (1997). Adolescent dating violence differences between one-sided and mutually violent profil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1), 126-141.
Halpern, H. M. (1994). Finally Getting It Right. New York: NY: Bantam Books.
Herman, J. L. (1992). Complex PTSD: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and repeate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5(3), 377-391.
Hines, D. A., & Malley-Morrison, K. (2001). Effect of emotional abuse against men in intimate relationships. Manuscript in preparation.
Levy, B. (1990). Abusive teen dating relationship: An emerging issue for the 1990s. Response Victim. Women Child, 13(1), 3-12.
Lilly, M. M., Howell, K. H., & Graham-Bermann, S. (2015). World assumptions, religiosity and PTSD in survivor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21(1), 87-104.
Makepeace, J. M. (1981). Courtship violence among colleage students. Family Relations, 30, 97-102.
Martin, G. (1994). When Good Things Become Addictions, 임금선 역 (1994). 좋은 것도 중독이 될 수 있다. 서울: 생명의 말씀사.
Muris, P. (2006). Maladaptive schemas in non-clinical adolescents: Relations to perceived parental rearing behavior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sychological symptom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3(6), 405-413.
Overbeek, G., Vollebergh, W., Engels, R. C., & Meeus, W. (2003). Young adults’ relationship transitions and the incidence of mental disord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8(12), 669-676.
Pearson, J. (1991). Relationship dependent women:Their views on symptoms and recovery. Virginia Counselors Journal, 19, 3-13.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
Schaeffer, B., & Mcelhny, K. (1997). Is it love or is it addiction? Center City, Minnesota: Hazelden.
Straus, M., Hamby, S., Boney-McCoy, & Sugarman, D.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2). Journal of Family, 17(3), 283-316.
Susan, P. (2011). Addiction to Love. Random house, Inc. New York.
Walker, E. A., Torkelson, N., Katon, W. J., & Koss, M. P. (1993). The prevalence rate of sexual trauma in a primary care clinic. The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Practice / American Board of Family Practice, 6(5), 465-471.
Whiteman, T., & Petersen, R. (2004). Victim of love?: How you can break the cycle of bad relationships. 김인화 역(2004). 사랑이라는 이름의 중독. 국제제자훈련원. 75-100, 150-151.
Yehuda, R., Halligan, S. L., & Grossman, R. (2001). Childhood trauma and risk for PTSD:relationship to intergenerational effects of trauma, parental PTSD and cortoisol excre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7, 733-753.
Young, J. E. (1990).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s: A schema-focused approach. Sarasota, FL:Professional Resource Press.
Zinner, J. (1976). The Implications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for Marital Interaction. In H. Grunebaum & J. Christ(Eds.), Contemporary Marriage: Structure, Dynamics, and Therapy. Boston: Little, Br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