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plore the possible selves(hoped for selves, feared selves) of women who are compatible with childcare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13 women who has the youngest child under the age of two, worked for more than 40 hours a week and kept working more than 3 years. We analyzed them in a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3 domains, 7 categories and 26 subcategories were deducted, The 3 domains and 7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 Hoped for self ' (try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try for limitation acceptance), ' feared self '(failur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failure of limitation acceptance), ‘modifying factor of possible self(nurturing factor, reconciliation support factor, individual internal factor). To look at possible self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most hoped for/feared self, highly feasible/improbable self, hoped for/feared self at different times were identified and explained for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강준만 (2009). 어머니 수난사. 서울: 인물과 사상사.
김경화 (2013).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성별과관련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5(4), 60-90.
김성천, 탁진국 (2010). 역할과부하 및 일-가정갈등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35-49.
김인선, 이동명 (2009). 조직의 지원환경이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산업관계연구, 19(2), 67-94.
김정환, 이선이 (2014). 한국 30대 고학력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6(3), 71-104.
김효선, 김옥선 (2010). 다중역할의 상호향상효과. 경영학연구, 39(2), 375-407.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류임량 (2009).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전이에 대한 연령계층별 차이 연구. 페미니즘연구, 9(2), 119-156.
박양주, 우영희 (2012). 국내 교육공학분야의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적용에 대한방법론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28(2), 263-287.
세계일보 (2017). 다가온 인구절벽...50년 뒤 한국 일할 사람 없다. 2017. 1. 1.
송지은, 한경혜 (2007). 직업, 가족 및 일-가족전이가 취업자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한국과 미국의 비교. 가족과 문화, 19, 61-92.
원숙연 (2004). 여성정책의 실질적 기능화: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원숙연, 박지원 (2009).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미치는 영향. 여성학논집, 26, 3-32.
여성․문화네트워크 (2014). 2014 워킹맘고통지수.
유성경, 임지숙, 손은영 (2016). 한국 맞벌이여성들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7(6), 475-498.
유영주 (2001). 건강가족연구. 서울: 교문사.
윤소영, 윤 주 (2008). 가족여가 활성화를 위한정책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수연 (2014).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 여가스포츠 참여 활동 및 활성화 방안.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102-113.
이영지 (2011).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요인이 근로자의 태도 및 행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혜정, 유규창 (2011). 일가정 양립제도와 여성근로자의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여성연구, 80(1), 37-79.
장미경, 조혜경, 이숙경 (2007). 맞벌이 여성의주부 역할에 관한 체험 연구. 질적연구, 8(1), 39-54.
장영은, 박정윤, 이승미, 권보라 (2011). 유자녀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63-72.
장재윤, 김혜숙 (2003).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1), 23-42.
장지연, 박선영, 신동균 (2014). 적극적 복지국가와 여성노동.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전서영, 박정윤, 김양희 (2008). 기혼 남녀의일-가족 갈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9-79.
전혜정 (2016). 부모기 전이 부부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8, 60-87.
정영금 (2006). 맞벌이가정의 일-가족 균형감을통해 본 균형촉진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31-331.
정영금 (2004). 가족친화적 정책을 통한 일-가족 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91-100.
지승희, 오혜영 (2013). 상담 분야의 CQR 연구동향-2001~ 2010 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4), 2327-2349.
차배근, 차경욱 (2013). 사회과학연구방법: 실증연구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효미 (2014).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와 저임금근로의 상태의존성. 한국노동연구원 보고서.
통계청 (2015a). 2015 전국 맞벌이 가구비율.
통계청 (2015b). 2015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2016). 2016 일-가정 양립지표.
한경혜, 김진희 (2003). 일․가족 상호작용에서의 성별 차이. 한국사회학, 37(3), 57-81.
한경혜, 장미나 (2009). 기혼남녀근로자의 일․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85-115.
한경훈, 박소정, 김세현 (2015). 기혼유자녀 직장여성의 수퍼우먼 신드롬 유형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양상 연구. 사회과학연구, 31(2), 25-4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결혼․출산 행태변화와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 보고서.
황수경 (2003). 여성의 직업선택과 고용구조. 한국노동연구원.
황수경 (2004). 기혼여성의 노동공급과 단시간근로.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412-413.
Anderson, T., Liam, R., Garrison, D. R., &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 1-17.
Aryee, S., Srinivas, E. S., & Tan, H. H. (2005). Rhythms of lif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balance in employed par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1), 132.
Barnett, R. C., & Hyde, J. S. (2001). Women, men, work, and family: An expansionist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56(10), 781.
Barreto, M. L., & Frazier, L. D. (2012). Coping With Life Events Through Possible Selves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2(7), 1785-1810.
Berg, C. A., Strough, J., Calderone, K. S., Sansone, C., & Weir, C. (1998). The role of problem definitions in understanding age and context effects on strategies for solving everyday problems. Psychology and aging, 13(1), 29.
Clark, S. C. (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53(6), 747-770.
Ford, M. T., Heinen, B. A., & Langkamer, K. L. (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Frazier, L. D., &Hooker, K. (2006). Possible selves in adult development: Linking theory and research. Possible selves: Research and application, 41-59.
Frazier, L. D., Hooker, K., Johnson, P. M., &Kaus, C. R. (2000). Continuity and change in possible selves in later life: A 5-year longitudinal study.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2(3), 237-243.
Frone, M. R. (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t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p. 143-16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Gilbert, L. A., & Rader, J. I. L. L. (2008). Work, Family and Dual Earner Couple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4, 426-443.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Hill, C. E. (Ed.). (2012).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irchmeyer, C. (2006). The different effects of family on objective career success across gender: A tes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2), 323-346.
Knox, S., Hess, S. A., Petersen, D. A., & Hill, C. E. (1997). A qualitative analysis of client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helpful therapist self-disclosure in long-term 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3), 274.
Martins, L. L., Eddleston, K. A., &Veiga, J. F. (2002).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career satisfa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2), 399-409.
McClelland, C. (2011). An examinat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selves of adolescents:Investigating possible selves and self-esteem in relation to gender and attachment. The Plymouth Student Scientist, 4(2), 104-130.
Manzi, C., Vignoles, V. L., &Regalia, C. (2010). Accommodating a new identity: Possible selves, identity change and well‐being across two life‐transition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6), 970-984.
Markus, H., & Nuris, P. (1986). Possible selves. American Psychologist, 41, 954-969.
O’Brien, K. M. Ganginis Del Pino, HV, Yoo, S.-K., & Cinamon, RG (2014).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Employed mothers in Israe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 461-472.
OECD (2015). Index, O. B. L. Life satisfaction.
Oyserman, D., & James, L. (2009). Possible selves:From content to process.
Oyserman, D., & Markus, H. (1990). Possible selves and Delinqu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12-125.
Sorkin, D. H., &Rook, K. S. (2006). Dealing with negative social exchanges in later life: coping responses, goals, and effectiveness. Psychology and aging, 21(4), 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