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martphone addiction levels and gender influ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current study analyzed data through two-way ANOVA on 407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re were four main results. First, a risk group and a general user group were 7.1% and 54.0% each in male students and 8.9% and 30.0% in female students. Second, male students compared female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 on pride in academic self-efficacy. But, female students compared male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 on cognitive regul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levels and gender were found in academic self-efficacy. Specifically, female students adjusted more in pride when smartphone addiction levels were low, wheres mal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de regardless of smartphone addiction level.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levels and gender were not found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강희양, 박창호 (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63-580.
권재환, 김경희 (2013).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35, 31-57.
김미경 (2003).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 성취와의 상관 연구: 국어, 수학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김선남, 나미수 (2008). 휴대폰 이용에서의 성차 연구. 언론과학연구, 8(3), 165-200.
김세영 (2006).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인터넷 활용 유형, 자기 통제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김여란, 김현숙 (2015). 초등학교 고학년생의스마트폰 사용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8(3), 200-210.
김은경 (2006).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사용 수준에 따른 자기통제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차이.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영 (2003).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중독현황 조사. 강북 인터넷 중독예방상담센터.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 (2002). 인터넷중독 예방 상담 및 예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김형지, 김정환, 정세훈 (2012).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4), 55-93.
김희민 (2015). 남녀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문두식 (2015).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아존중감 매개변인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래창조과학부 (2014). 2013년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미래창조과학부 (2017). 2016년 인터넷 과의존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박수빈 (2012).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은 (2016).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자아탄성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혜진 (2013). 청소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용과 중독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애정 (2013).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사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은하 (2012). 스마트폰 중독과 예방에 대한 인식연구: 스마트폰 이용자와의 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원영, 오경자 (1999).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임상심리학회 하계 연차대회발표 논문집, 127-132.
안도희, 김지아, 황숙영 (2005).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변인탐색: 유능감,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및 학교환경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구, 19(4), 1199-1217.
양혜경 (2014). 개인적, 환경적, 매체 특성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광수 (2015).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공감과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초당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현희 (2013). 중․고등학교의 스마트폰 중독에관련된 예측 변인의 탐색: 가족의사소통과부모애착을 중심으로. 서울사이버대학교석사학위논문.
용상화 (2013).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및 학교생활적응의관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우정연 (200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학업적자기효능감, 대인관계문제 및 학교적응에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계원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나나 (2014). 인천 일부 지역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식행동과 식품 섭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보경, 이재창 (2003).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가상 공간에서의 자기효능감이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1(2), 47-56.
이석범, 이경규, 백기청, 김현우, 신수경 (2001). 중․고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불안, 우울, 자기효능감의 연관성. 신경정신의학, 40(6), 1174-1184.
이연수, 원세정 (2013). 초등학생의 휴대전화이용 수준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과의관계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9(2), 271-278.
이정윤, 이상희 (2004). 청소년의 음란물중독과우울, 외로움, 충동성, 감각추구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2(2), 145-155.
임유진 (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재명, 유지열, 장세정, 이정환, 유재민 (2013). 모바일인터넷이용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임정은 (2012). 일부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건강행동간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요섭, 김수경, 박은정 (2008). 아버지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차이. 청소년학연구, 15(2), 257-275.
정명진 (2013).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동조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미경 (2005).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18(3), 155-181.
최동원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면의 질,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429-437.
최선우, 김승현 (2015).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65-383.
최은숙 (2006). 중소도시 거주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의 원인과 실태: 포천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허정경 (2003).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된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2012).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65-375.
황승일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hiffs, NJ: Prentice-Hall.
Bandura, A., & Schunk, D. H. (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3), 586-598.
Bratter, T. E., & Forrest, G. G. (1985). Alcoholism and substance abuse: Strategies for clinical intervention. Simon and Schuster.
Chou, C., & Tsai, M. J. (2007). Gender differences in Taiwan high school students’ computer game play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1), 812-824.
Griffiths, M. D., & Hunt, N. (1995). Computer game playing in adolescence: Prevalence and demographic indicators. Journal of Community &Applied Social Psychology, 5(3), 189-193.
Hatterer, L. J. (1994). Addictive Process, Encyclopedia of Psych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Kline, R. B. (2010),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이현숙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5년에 출판).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Mischel, W. (1973). Toward a cognitive social learning reconceptualization of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80(4), 252-283.
Schunk, D. H. (1982). Effects of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on children's perceive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4), 548-556.
Schunk, D. H. (1983). Ability versus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Differential effects o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6), 848-856.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van Deursen, A. J., Bolle, C. L., Hegner, S. M., & Kommers, P. A. (2015).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5, 41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