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가출청소년에 대한 여대생의 인식 : 실태조사와의 비교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Perceptions of Runaway Adolescents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Actual Statistics and the Gender Difference of Runaway Adolescents

초록

가출청소년의 실태를 조사한 연구는 국내에 상당수가 존재하나, 가출청소년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가출의 원인과 가출 후 생활 방식, 가출청소년들이 보이는 문제행동 등에 대한 여대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가출청소년 관련 기존의 실태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여대생들의 인식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역시 기존 실태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가출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인식에서의 편향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1에서는 가출청소년의 비율 및 가출의 원인, 가출청소년의 생활방식에 대한 여대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청소년들 가운데 가출을 경험한 비율을 실제보다 과다 추정하였으며, 가출 후 머무는 장소나 생활비 해결 방식에 대해서도 실태와 인식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나타났다. 더불어, 가출청소년의 성별에 따라서도 가출의 원인 및 생활비 해결 방법에 대한 인식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이어, 연구 2에서는 가출청소년들 가운데 음주, 절도, 성매매 등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비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태조사 결과에 비해 연구 참여자들이 예상한 가출청소년들의 문제행동 비율은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행동의 유형에 따라 남녀 가출청소년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드러났다.

keywords
Runaway Adolescents, Gender difference, Perception, Actual statistics, problem behaviors, 가출청소년, 성차, 인식, 실태, 문제행동

Abstract

Research on the current state of runaway adolescents has been conducted in Korea,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people’s perception of them. This study examined people’s perceptions about the cause, lifestyle and problem behavior of runaway adolescents, and compared them with the existing survey data of runaway adolescent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in people’s perception of runaway adolescents, and compared them to the existing data to find any bias in people’s perception about male and female runaway adolescents. In study 1, people’s perceptions about prevalence, cause and lifestyle of runaway adolescents are examined. As a result, participants overestimated the prevalence rate of runaway adolescents. Also, there are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perception and actual statistics with respect to places to stay and living expenses of runaway adolescents. In addition, we found notable difference in people’s perception about male and female runaway adolescents. In study 2, people’s perception about problem behavior such as drinking, theft and prostitution is examined. As a result, participants again overestimated prevalence of problem behavior than actual statistics. Moreover, depending on the type of problem behavior, people’s perception differed by gender of runaway adolescents.

keywords
Runaway Adolescents, Gender difference, Perception, Actual statistics, problem behaviors, 가출청소년, 성차, 인식, 실태, 문제행동

참고문헌

1.

고미애, 홍민하, 김영은, 하주원, 이상민, 김현수 (2016). 가출청소년에서 우울증상과 애착 및 중독문제.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7(3), 181-187.

2.

김영희, 최보영, 이인회 (2013). 학교밖 청소년의 생활실태 및 욕구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4), 1-28.

3.

김재엽, 김준범, 장용언, 한기주 (2016). 가출청소년의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학교폭력의중복피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7(2), 159-186.

4.

김지연, 정소연 (2014). 가출청소년 보호지원실태 및 정책과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연구보고서, 1-391.

5.

김지연, 정소연 (2015). 청소년의 가출횟수 및청소년쉼터 이용경험에 따른 집단 특성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6(4), 207-237.

6.

김지혜 (2005). 가출 청소년의 노동시장 참여와 비행. 한국청소년연구, 16(2), 207-234.

7.

배정환, 이윤호, 심혜인, 이정민 (2013). 청소년가출의 위험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 20(2), 83-112.

8.

서보람, 김광병 (2012). 가출 청소년의 가출팸경험에 대한 연구: 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을 대상으로. 소년보호연구, (18), 1-26.

9.

여성가족부 (2012). 2012년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

10.

여성가족부 (2014). 2014 청소년종합실태조사.

11.

여성가족부 (2016). 2016 청소년백서.

12.

오혜영, 지승희, 박현진 (2011). 학업중단에서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9(2), 125-154.

13.

이세정, 이호준 (2010). 가출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지, 2(2), 13-25.

14.

이해경 (2011). 청소년 가출경험을 예측하는변인들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379-400.

15.

장은비, 최현주, 하규영, 박은혜, 이상민 (2014). 성별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비공식 낙인, 비행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1), 185-205.

16.

정혜원, 박성훈 (2012). 청소녀의 가출 및 성매매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여성연구, 83(2), 199-240.

17.

조진옥, 명소연 (2016). 다시 맞이하는 결정적시기(critical period): 학교밖지원사업에 참여한 취약가정 학교밖 청소년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3(3), 375-406.

18.

차명호, 양종국, 정경용 (2010). 청소년 가출의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분석. 소년보호연구, (15), 165-192.

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5).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Ⅴ: 총괄보고서.

20.

황규정(1998). 청소년이 바라보는「청소년가출」에 대한 인식조사. 치안정책연구, 11, 202-205.

21.

Beharry M. S. (2012). Health Issues in the Homeless Youth Population. Pediatric Annals, 41(4), 154-156.

22.

Dedel K. (2006). Juvenile runaways guide no. 37. Washington, DC: Center for Problem Oriented Policing.

23.

Ferguson K. M., Bender K., Thompson S. J., Maccio E. M., Xie B., & Pollio D. (2011). Social Control Correlates of Arrest Behavior Among Homeless Youth in Five U.S. Cities. Violence and Victims, 26(5), 648-668.

24.

Ge X., Lorenz F., Conger R., Elder G., & Simmons R. (1994). Trajectories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during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30(4), 467-483.

25.

Gore S., Aseltine R. H., & Colten M. E. (1993). Gender, Social-Relationship Involvement, and Depression.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3(2), 101-125.

26.

Moskowitz A., Stein J. A., & Lightfoot M. (2013). The Mediating Roles of Stress and Maladaptive Behaviors on Self-Harm and Suicide Attempts Among Runaway and Homeless Youth.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2(7), 1015-1027.

27.

Safyer A. W., Thompson S. J., Maccio E. M., Zittel-Palamara K. M., & Forehand G. (2004). Adolescents' and Parents' Perceptions of Runaway Behavior: Problems and Solution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1(5), 495-512.

28.

Slesnick N., & Prestopnik J. L. (2004). Perceptions of the Family Environment and Youth Behaviors: Alcohol-Abusing Runaway Adolescents and Their Primary Caretakers. The Family Journ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12(3), 243-253.

29.

Thompson S. J., Bender K., & Kim J. (2011). Family Factor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Runaway Youth: Do Males and Females Differ?.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8(1), 35-48.

30.

Thrane L. E., Yoder K. A., & Chen X. (2011). The Influence of Running Away on the Risk of Female Sexual Assault in the Subsequent Year. Violence and Victims, 26(6), 816-829.

31.

Tucker J. S., Edelen M. O., Ellickson P. L., & Klein D. J. (2011). Running Away From Home: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Risk Factors and Young Adult Outcom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5), 507-518.

32.

통계청 (2016.01.03.검색) 청소년 인구 및구성비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9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