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인터넷 여성운동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성적 정체감 및 자아정체감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CQR-M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changes in sexual identity and ego identity through women’s online human rights community : Focused on CQR-M

초록

최근 몇 년간 한국사회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여성혐오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달하였으며 낮은 여성인권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2015년에 이러한 사회적 차별에 대응하는 여성들의 대중적인 온라인 커뮤니티가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까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그 세력을 이어가고 있다. 커뮤니티의 회원들은 인터넷 상에서 가치관을 공유하고 오프라인에서의 시위를 통해 의견을 표현하면서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이러한 활동은 2세대 여성운동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온라인상의 여성인권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는 매우 단편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커뮤니티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가입동기와 활동 후의 정체감 변화에 대해 합의적-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변화의 분야를 분류하고,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Key words: Internet, low female human rights, women's online human rights community, consensual –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인터넷, 여성인권 커뮤니티 이용, 성적 정체감, 자아정체감, CQR-M분석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women's hatred through the Internet has reached a serious level in Korean society, and concerns about low female human rights are increasing. As a result, in 2015, a popular online community of women responding to such social discrimination has begun to emerge, and It has been continuing its change and development until now. Members of the community shared their values on the Internet and expressed their opinions through offline demonstrations which had a great social impact and this activity is defined as a second generation women's movement.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women's online human rights community is very fragmented because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m ye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nge of identity after the activity was investigated through consensual –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field of change was classified and its meaning was discussed.

keywords
Key words: Internet, low female human rights, women's online human rights community, consensual –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인터넷, 여성인권 커뮤니티 이용, 성적 정체감, 자아정체감, CQR-M분석

참고문헌

1.

김서영 (2016.7.8). “페미니즘 전위 ‘메갈리아’ 1년…‘혐오’를 ‘혐오’로 지우려 한 그녀들은유죄인가”. 경향신문.

2.

김수아 (2008). 온라인 글쓰기에서의 자기 서사와 정체성 구성. 한국언론학보, 52(5), 56-82.

3.

김수아 (2015).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15(2), 279-317.

4.

김아령 (2007). 페미니스트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225-1240.

5.

김희강 (2006). 서구 페미니즘 이론의 동향과쟁점, 글로벌 맥락에서의 한국 페미니즘에 미치는 의미. 21세기정치학회보, 16(2), 27-50.

6.

류진희 (2015). 한국 사회와 성; “촛불 소녀”에서 “메갈리안” 까지, 2000 년대 여성 혐오와 인종화를 둘러싸고. 사이間SAI, 19(1), 41-66.

7.

박홍주 (2008). 한국 여성운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성찰과 소통, 여성운동 새로 쓰기. 여성학논집, 25(1), 211-218.

8.

서두원 (2012). 젠더 제도화의 결과와 한국 여성운동의 동학. 아세아연구, 55(1), 162-192.

9.

안권순, 한건환 (2002). 청년기의 개인 특성,성 역할 정체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3(2), 73-102.

10.

양성은 (2005). 지방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71-180.

11.

여정희 (2003). 여대생이 경험한 여성의 의미. 대한간호학회지, 33(1), 34-41.

12.

오김숙이 (2010). 한국 여성운동과 차이 문제:2000년대 새로운 ‘여성주의운동’을 중심으로. 여성이론, 22(1), 106-129.

13.

유민석 (2015). 혐오발언에 기생하기: 메갈리아의 반란적인 발화. 여성이론, 33(1), 126-152.

14.

윤 덕, 탁진국, 이상희 (2009). 공학계 여대생과 인문계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성,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497-514.

15.

윤명희 (2013). 소셜네트워크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의 복합적 수행. 페미니즘 연구, 13(1). 131-169.

16.

윤보라 (2013). 일베와 여성 혐오. 진보평론, 57(1), 33-56.

17.

윤지영 (2015).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한국여성철학, 24(1), 5-79.

18.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9.

이나영 (2016). 여성혐오와 젠더차별, 페미니즘; 강남역 10번 출구를 중심으로. 문화와사회, 22(1), 147-186.

20.

이다혜 (2012). 대학 내 여성주의 운동과 정체성 형성: 2010년대 대학생 활동가의 경험을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21.

이 솔 (2011). 20-30대 여성들의 정치 참여경험을 통해 본 여성주체성에 관한 연구:온라인 ‘여성 삼국’ 커뮤니티 회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2.

임윤서, 안윤정 (2016). 여대생의 자기성찰에서드러난 ‘여성으로서 일’의 의미 탐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2), 195-228.

23.

차경희 (2017).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활동가들의 여성주의 정체성 형성과정.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4.

천혜정 (2003). 한국 여대생의 성 정체감 내면화 과정. 대한가정학회지, 41(9), 149-161.

25.

Adams, G. R., & Shea, J. A. (1979).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status, locus of control, and ego develop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8(1), 81-89.

26.

Bartky, S. L. (1975). Toward a phenomenology of feminist consciousness. Social Theory and Practice, 3(4), 425-439.

27.

Baym, N. K. (1998). The emergence of on-line community. cybersociety, 2(1), 35-68.

28.

Berzonsky, M. D., Cieciuch, J., Duriez, B., & Soenens, B. (2011). The how and what of identity formation: Associations between identity styles and value orienta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2), 295-299.

29.

Blustein, D. L., Devenis, L. E., & Kidney, B. A. (1989).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2), 196-202.

30.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Norton.

31.

Forrest, L., & Mikolaitis, N. (1986). The relational component of identity: An expansion of career development theor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35(2), 76-88.

32.

Gianakos, I. (1995). The relation of sex role identity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6(2), 131-143.

33.

Giddens, A. (1991). 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Stanford University Press.

34.

Grisso, A. D., & Weiss, D. (2005). Girl wide web:girls, the internet, and the negotiation of identity. 32-49. New york: Peter Lang.

35.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36.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37.

Holland, J. (2006). Misogyny: The world's oldest prejudice. New York: Running Press Book Pub.

38.

Jones, G. S. (1997). Virtual culture: Identity and communication in cybersociety. London: Sage.

39.

Marcia, J. E. (1980). Identity in adolescence.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9(11), 159-187.

40.

Merskin, D. (2005). Girl wide web: Girls, the Internet, and the negotiation of identity, 51-67. New york: Peter Lang.

41.

Nussbaum, M. C. (2012). The new religious intolerance. Harvard University Press.

42.

Ueno, C. (2012).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서울: 은행나무

43.

“The best and worst place to be a working woman”, The Economist, 2016. 3.19.

44.

“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16” World Economic Forum. 2016.10.2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