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메뉴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Gender Differences in the Moderation Effects of Career Stres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ous types of career stre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Gender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effects are also examined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574 college students(male 306, female 268). Results showed gender difference existed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ous types of career stress. For male participants, employment pressure and external conflic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sigh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female participants, external conflic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s well as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ddition, internal conflic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ounseling practices were discussed.

keywords
career motiv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stress, gender difference,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 진로스트레스, 성차

Reference

1.

강명희, 윤성혜, 김도희, 류다현(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진로동기 간의 구조관계 규명, 진로교육연구, 29(2), 27-48.

2.

강민철, 이아라, 신미라(2011). 진로스트레스, 회피대처방식, 자아존중감의 관계: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5), 1663-1682.

3.

강영숙(2016).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진로소명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강현희(2015). 폴리텍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탄력성의매개 효과. 진로교육연구, 28(1), 59-78.

5.

강희순 (2010).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9(3), 83-104.

6.

김명옥, 박영숙(2012).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9(11), 69-90.

7.

김미경(2014). 전문대학생 진로탄력성 척도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민정, 양현정 (2015).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진로준비유형 탐색, 한국 심리학회지: 학교, 16(1), 95-110.

9.

김보경 (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셀프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보경, 정철영 (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식한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49-71.

11.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김봉환 (2010). 여대생의 적응유연성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3(4), 93-111.

13.

김봉환, 김계현(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 상담과 심리치료, 9(1), 311-333.

14.

김지연, 이기학 (2014).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영향: 성취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진로교육연구, 27(3), 1-25.

15.

김진희. (2015). 진로정체성, 진로통찰력과 진로탄력성이 대학생의 취업 의지에 미치는효과.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10(1), 47-56.

16.

박정희, 김홍석 (2009).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1), 125-144.

17.

박희락 (2009)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를통한 진로태도성숙의 예측.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서유진(2007). 진로장애와 낙관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손은령, 손진희 (2005).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및 준비행동 - 사회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99-417.

20.

신혜진(2016).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진로동기의 영향력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2), 349-373.

21.

신혜진, 김창대(2002).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Coping Strategy Indicator)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19-935.

22.

안윤정, 서지윤 (2013). 대학생의 일희망과 진로동기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11), 55-81.

23.

안윤정, 문윤경 (2014). 대학생의 진로동기와변화인식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7(3), 135-161.

24.

오영교(2017). 잠재계층 분석방법을 적용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유형분석. 전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25.

우영지, 이기학(2010). 성별에 따른 진로포부와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547-559.

26.

유현실(2013)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검토와 성인 진로사암에 대한 시사점. 상담학연구, 14(1), 423-439.

27.

이동혁 (2011). 진로의사결정에서의 진로장벽의 역할: 예측변인 또는 조절변인. 상담학연구, 12(1). 59-80.

28.

이명숙(2002)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상희(2005) 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의식성숙의 관계-진로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상희 (2012).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3(3), 1461-1479.

31.

이상희 서유란(2012). 한국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진로정체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대한 성차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0(1), 37-53.

32.

이종원(2015)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3.

이재창 박미진, 김진희(200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상담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2), 111-127.

34.

이제경, (2004).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심리적 특성 및 개인배경 변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5.

이지혜 (201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성숙도와의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39-59.

36.

이현림, 김순미, 천미숙, 최숙경 (2008). 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 진로스트레스, 진로발달 및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진로교육연구, 21(4), 59-80.

37.

이현주(2010).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및 애착과남녀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3(1), 41-59.

38.

이현주(2011).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진로탐색활동의 인과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5(3), 257-280.

39.

장이슬 송병국(2015).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2(7), 363-392.

40.

조정아(2000). 대졸여성의 노동경험과 직업의식신화. 노동과 페미니즘.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1.

최보영, 김보람, 김아름, 장선희, 정선화, 이상민 (2011) 우연의 영향력에 대한 지각의차이가 진로스트레스, 진로미결정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5), 1873-1891.

42.

최해림(1986). 한국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 인지행동적 상담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황지영 박재황 (2010).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34, 73-101.

44.

홍지선, 계은경 (2016). 여성 진로장벽에 관한연구동향과 향후과제: 진로발달단계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3), 225-250.

45.

Abu-Tineh A. M. (2011).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areer resilience among faculty members at Qatar Un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25(6), 635–650.

4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7.

Day, R., & Allen, T. D.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ith protégé career suc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 72-91

48.

Dietrich, J., & Kracke, B. (2009). Career-specific parental behaviors in adolescents’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5(2), 109-119.

49.

Dyer, J. G., & McGuinness, T. M. (1996).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0(5), 276-282.

50.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Harvard University Press.

51.

Gordon, K. A.(1995). The self-concept and motivational patterns of resilient African-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Black Psychology, 21, 239-255.

52.

Guay, F., Ratelle, C. F., Senécal, C., Larose, S., & Deschênes, A. (2006). Distinguishing developmental from chronic career indecision:Self-efficacy, autonomy,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4(2), 235-251.

53.

Hardin, E. E., Varghese, F. V., Tran, U. V., & Carlson, A. Z. (2006). Anxiety and career exploration: gender differences in the role of self-construa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9, 346-358.

54.

Hayes, A. F. (2013). PROCESS SPSS Macro [Computer software and manual].

55.

Heppner, M. J., & Fu, C. C. (2011). The gendered context of vocational selfconstruction. In P. J. Hartung, & L. M. Subich (Eds.), Developing self in work and career:Concepts, cases, and contexts (pp. 177-19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al Association.

56.

Leong, F. T., & Chou, E. L. (1994). The role of ethnic identity and acculturation in the vocational behavior of Asian American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4, 155-172

57.

London, M. (1983).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 620-630.

58.

London, M. (1993).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motivation, empowerment and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6, 55-69.

59.

London, M. (1997).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4, 25-38.

60.

London, M., & Mone, E. M. (1987). Career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workpla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61.

Lopes, T. (2006).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career motivation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graduate students by age and gender.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62.

Noe, R. A., Noe, A. W., & Bachhuber, J. A. (1990). An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es of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3), 340-356.

63.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64.

Werner, E. E. (1993). Risk, resilience, and recovery: Perspectives from the Kauai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 and Psychology, 5, 503-515.

65.

Werner, J. M., & DeSimone, R. L. (2011). Human resource development. Cengage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