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is study compares parent-child interactions of single mothers with those of typical mothers raising children at the stage of infants and toddlers. Subjects were ten families of single mothers living in two homes for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 program to support single parent families. The control group included ten typical families of mothers at the same age level of the single mothers who had children at the stage of infants and toddlers. Mental health of the mothers were measured by CESD-10 for depression and STAI for anxiety. Parenting variables were checked by the K-PSI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were measured by a mother –child interaction assessment tool. Mothers’ atypical behaviors were measured and classified by AMBIENCE. It was found that children of single mother showed higher levels of avoidance and resistance in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 and lower levels of positive emotion and pursuit of interest than children of the typical mothers. The single mothers showed higher levels of invasion, resignation, and anciety and lower levels of participation, sensitivity, and positive emotion in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than the typical mothers. The single mother showed higher levels of difficulty in mother-child intervention and stress control of children. In terms of intonation and emotional tones in language expression by mothers to their children, the single mother spoke to their children as if they were talking to adults, talked to their children infrequently, and used monotonous intonation. The single mothers also showed threatining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and failed to use cozy intonation and make response to their children’s signals properly. They were more negative and invasive physically and verbally and showed higher levels of behaviors of taking things from their children and keeping distance from their children than the typical mothers.
권희정 (2014). 미혼모성의 경험을 통해 본 근대의 탈모성화 역사. 구술사 연구: 5(2), 37-80.
김만지 (2000). 미혼모의 스트레스 관리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적용.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5(0), 41-70.
김만지 (2002). 미혼모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신 (2011).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비혼모의 출산과 양육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5(1), 27-58.
김윤희 (2001). 어머니 역할만족도와 언어통제유형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미 (2003). 관계중심적 중재가 아동의 포괄적 발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271-285.
김혜영 (2010).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양육경험;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 26(4), 101-131
남미애 (2013).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44(0), 91-125
도미향, 정은미 (2001). 10대 미혼모의 문제와복지대책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10(2), 1-11.
박영혜 (2015). 미혼모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혜경 (2014). 미혼양육모가 경험하는 심리현상. 백석대학교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변호순, 최정균 (2016). 빈곤 미혼모의 경제적어려움과 우울증상, 양육스트레스, 아동학대와 방임이 아동의 사회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53(0), 1-23.
보건복지부 (2016). 제1차 아동정책기본계획(2015〜2019).
보건복지부 (2016). 네이버블로그 위드맘.
배영미 (2001). 청소년미혼모의 개인심리적 특성과 가족체계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배유선 (2014). 발달놀이치료를 활용한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양육미혼모의 정서조절양식, 부모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정애 (2009). 십대여성의 임신과 ‘모성선택’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석 홍 (1990). 미혼모와 혼외자의 법리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손홍숙 (1995). 가정복지면에서 본 미혼모 발생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5), 51-62.
송정희, 신원섭, 연평식, 최명도 (2009).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미혼모의 우울감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 한국임학회지, 98(1), 82-87.
신승렬 (2015). 자녀상호작용행동과 모의 양육효능감 및 놀이신념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 (2013). 내부자료.
안순덕 (1984).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연구보고서: 23(1), 90-143.
양명희 (2008). 학습상황에서 정서의 원천과 정서적 조절 전략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방법학회: 추계학술심포지엄, 61-62.
여성가족부 (2014). 한부모가족지원사업안내지침, 한부모가구 비율.
여성가족부 (2015). 한부모가족지원사업안내지침, 한부모가구 비율.
윤미현 (2000). 10대 미혼모의 임신 및 유아입양 관련요인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미현, 이재연 (2002). 한국 10대 미혼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3), 149-169.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 (2008). 한국판부모 양육스트레스검사-축양형(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3), 363-377.
이미정 (2011). 미혼모의 자녀양육 의지와 현황. 이화젠더법학: 2(2), 79-107.
이명희 (2007). 자녀양육을 결정한 미혼모의 경험.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복숙, 전영주 (2005). 미혼모 생애사 연구. 여성연구논집: 16, 1-32.
이선경 (2014). 미혼양육모의 양육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숙희 (2001). 보호시설 미혼모의 삶에 대한 참여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은주, 최규련 (2014). 시설미혼모의 양육/입양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2), 247-260.
이애령 (2004). 청소년비행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주희 (2010). 첫 자녀 출산 후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제영, 이경숙, 정유경, 신의진 (2011). 산후우울 성향 어머니와 6-8개월 영아의 상호작용 분석.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32(3), 203-220.
임해영, 이혁구 (2013). 입양결정 과정에 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5(3), 53-78.
전영천 (2009). 청소년 약물남용의 위험요인과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성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유경 (2010). 다문화가정과한국가정 모-자 상호작용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상담실에 의뢰된 아동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정경순 (2008). 십대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경험. 아동간호학회지: 14(2), 186-194.
전은희 (2003). 미혼모의 심리적 특성과 사이코드라마 전략. 한국사이코드라마 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6(1), 63-84.
주석진 (2011). 도시 저소득층 가정 자녀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보호요인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 사회복지학회: 36, 93-120.
최경화 (2006). 양육미혼모의 삶의 과정에 관한연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승희 (2003). 청소년 미혼모들의 슬픔 관련요인들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10(4), 1-20.
최윤정 (2008). 가족상담: 한부모 가족 여성가장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9(4), 1835-1850.
최은정 (2012).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놀이신념이 아동의 상호작용에 미치는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지원방안. 제52차 여성정책포럼.
한경님 (2012).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73, 171-190.
한상순 (2002). 한국미혼모 실태 및 예방과 대책: 한국미혼모의 실태 및 미혼모 시설의현황. 서울: 애란원.
한영란, 양순옥 (1997). 미혼모의 임신경험에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11(2), 194-208.
한지현, 이영환 (2005). 모-영아 상호작용 행동평가 척도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41, 291-312.
황란희 (2005). 보호시설 미혼모의 태아애착행위와 상태불안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3), 218-224.
홍봉선, 남미애 (2011).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지원체계구축방안. 청소년학연구: 18(9), 19-52.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Andresen, E. M., Malmgren, J. A., Carter, W. B., & Patrick, D. L. (1994) Screening for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0(2), 77-84.
Aurora, P. J., Kathleen. S. J., & Crystal, A. T. (2013). Single Mothers, Nonresident Fathers, and Preschoolers' Socioemotional Development: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Quality.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39(1), 129-140.
Bowlby, J. (1982). Attachment (2nd ed).New York: Basic Books.(Original work published 1969)
Bronfman, E. T., Parsons, E., & Lyons-Ruth, K. (1999). Atypical Maternal Behavior Instrument for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MBIANCE), Version 2. Unpublished manual, Harvard Medical School, Cam-bridge, MA.
Crowell, J. A., & Feldman, S. S., (1988).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s of relationships and children's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status:A study of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9(5), 1273-1285.
Culp, R., Culp, A., Osofsky, J., & Osofsky, H. (1991). Adolescent and older mothers’interaction patterns with their six-month-old infants. Journal of Adolescence, 14(2), 195-200.
Garcı´a Coll, C., Hoffman, J., Van Houten, L., & Oh, W. (1987). The social context of teenage childbearing: Effects on the infant’ caregiving environ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4), 345-360.
Goldstein, S., & Brooks, R. (Eds.). (2005).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New York Springer.
Lewinsohn, P. M., Seeley, J. R., Roberts, R. E., & Allen, N. B. (1997).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depression among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12(2), 277-287.
Lonja, W., Ralf, S., & Matthias, F. (2014). Long-term efficacy of an-133 -attachment based parental training program for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 f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uboic Health, 22(2), 139-153.
Madigan, S., Morgan, G., and Pederson, D. R. (2006). Unresolved state of mind, disorganized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disrupted interactions of adolescents mothers and their infants. Developmemtal Psychology, 42(2), 293-304.
McGuire, D. K., McGuire, D. E. (2001). Linking parents to play therapy: A practical guide with applications, interventions, and case studies. Philadelphia, PA: Brunner-Routledge.
Miller, A. L. (2000). Mother-infant interaction across situations: Assessing contextual effects on behavior and predicting toddlers socio-emotional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Moran, G., Forbes, L., Evans, E., Tarabulsy, G. M., and Madigan, S. (2008). Both maternal sensitivity and atypical maternal behavior independently predict attachment security and disorganization in adolescent mother-infant relationships. Infant Behavior Development 31(2), 321-325.
Schore, A. N. (2000). Attachment and the regulation of the right brain.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21(1), 23-47.
Stolt, S., Korja, R., Matomäki, J., Lapinleimu, H., Haataja, L., Lehtonen, L. (2014). Early relations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 in very-low-birth-weight children. Early Human Development, 90(5), 219-225.
Thröstur Björgvinsson, Sarah, J. Kertz., Joe, S. Bigda-Peyton,, Katrina, L. McCoy., Idan, M. Aderka. (2013).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ES-D-10 in a psychiatric sample. Assessment, 20(4), 429-436.
Toth, S. L., Rogosch, F. A., Sturge-Apple, M., and Cicchetti, D. (2009). Maternal depressio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representational development: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Child Development, 80(1), 192-208.
Tronick, E. Z., & Weinberg, M. K. (1992). Manual for the face-to-face still-face paradigm. Children's Hospital, Boston, M. A.
Wahn, H. E., & Nissin, E. (2008). Sociodemographic background, lifestyle and psychosocial conditions of Swedish teenage mothers and their perception of health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6(4), 415-423.
Ward, M. J., & Carlson, B. (1995). Associations among adult attachment representations, maternal sensitivity, and infant–other attachment in a sample of adolescent mothers. Child Development, 66(1), 69-79.
Zeanah, C. H., Boris, N. W., Heller, S. S., Hinshaw-Fuselier, S., Larrieu, J. A., Lewis, M., Palomino, R., Rovaris, M., & Valliers, J. (1997). Relationship assessment in infant mental health.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8(2), 182-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