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Woman wanting the Graduation from marriag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iddle - aged women who visited the counseling center with having main issue, graduating the marriage life.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articipants (4 main participants, 2 assistant participant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26 common semantic units experienced by four participants in the main study, eight components and two key meanings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phenomena common to the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those who did not want divorce but did not want to live together. The second is that despite the desire of 'freedom', it does not want 'liberty given' or 'freedom to win on its own'. The third participant was the 'most economically independent', 'I can not get money from my husband if I get divorced', and 'I have a sick child' because of the biggest reason to choose julong. Finally, all participants thought that 'graduating the marriage life' was actually 'impossi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counseling intervention to the counselors who consulted them by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thought and psychological nature of middle - aged women who wanted to graduating on the marriage life.

keywords
중년여성, 졸혼(卒婚), 현상학적 연구., Middle-aged, marriage graduation, Phenomenological studies

Reference

1.

권오재 (2017). 결혼의 계층화와 전통적 성 정체성의 고착: 부모 자산이 성인 자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2.

강유진 (2017). 성인남녀의 비혼유형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8(2), 241-256.

3.

김기화, 양성은 (2016). 자녀가 경험한 부모이혼과 부자가족으로의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4(1), 83-96.

4.

김병수 (2017). 졸혼을 하지 못하는 이유. 인물과 사상, (229), 171-179.

5.

김소진 (2009).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에 대한생애사 연구. 한국노년학, 29(3), 1087-1105.

6.

김수정, 김은지 (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한국사회학, 41(2), 147-174.

7.

김안호, 채종훈 (2006). 한국과 일본의 고령자소득보장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동서경제연구, 18, 43-67.

8.

김완섭 (1995). 창녀론, 천마.

9.

김주현, 송민경, 이현주 (2010). 기러기 아빠의분거가족 결정과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1(4), 107-133.

10.

김혜순 (2008).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한국사회학, 42(2), 36-71.

11.

김혜영, 변화순, 윤홍식 (2008). 여성의 이혼과빈곤-직업과 소득의 변화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 37-63.

12.

박정수, 정유경 (2017). 대형마트 식품판촉방법에 대한 싱글소비자의 인식. 호텔경영학연구, 26(3), 85-99.

13.

박혜경 (2008). 중산층 기혼여성의 경험 세계를 통해 본 가사노동의 성격과 가사노동가치인식. 페미니즘 연구, 8(2), 159-196.

14.

박 훈, 윤현경 (2017). 황혼이혼과 사별의 과세문제. 서울법학, 25(1), 377-428.

15.

배주희 (2015). 문화의 문 (文): 도시에서 사는법; 스몰웨딩, 우리만의 결혼식을 꿈꾸다. 도시문제, 50(562), 70-71.

16.

송민영 (2016). 기혼여성의 결혼행태와 정책적함의. 보건복지포럼, 68-80.

17.

성미애, 최연실, 최새은, 이재림 (2017). 부모-비혼 성인자녀 관계의 재조명.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139-158.

18.

성정현, 송다영, 한정원 (2003). 이혼가족 및사별가족 아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가족복지학, 11, 9-34.

19.

송미강 (2016). 이혼가정의 ‘부모따돌림증후군’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7(3), 59-103.

20.

신아름, 최샛별 (2014). 한국사회 새로운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13-214.

21.

엄명용, 김효순 (2011). 미혼 남녀의 향후 일․가정 양립 방안, 부부 성역할 태도, 저출산 문제에 대한 견해 간 관계 탐색 연구. 한국인구학, 34(3), 179-209.

22.

아사희 (2014). 강남 여성의 낭만적 사랑의 시대. 실천문학, 338-348.

23.

이재경, 김보화 (2015). 2, 30 대 비혼 여성의결혼 전망과 의미. 한국여성학, 31(4), 41-85.

24.

이영재 (2008). 21 세기 초 한국의 혼인제도와혼례관행. 실천민속학연구, (12), 5-42.

25.

정의솔 (2014). 가족규범과 기혼이반. 여/성이론, (30), 120-132.

26.

조성구 (2017). 이혼수업: 이혼법정에서 살아남는 최선의 전략. 베가북스.

27.

조은희 (2009). 사실혼ㆍ동거 가족의 법률문제와 해결방안. 법학연구, 12(2), 103-146.

28.

최양숙 (2006). 부부분거경험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본 기러기가족 현상. 가족과 문화, 18(2), 37-65.

29.

Becker, G. S. (1981). Altruism in the Family and Selfishness in the Market Place. Economica, 48(189), 1-15.

30.

Ferree, M. M. (1991).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wo-earner marriages: Dimensions of vari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Family Issues, 12(2), 158-180.

31.

Hall, P. A. (1993).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 the case of economic policymaking in Britain. Comparative politics, 275-296.

32.

Horney, M. J., & McElroy, M. B. (1988). The household allocation problem: empirical results from a bargaining model.

33.

Lundberg, S., & Pollak, R. A. (2015). The evolving role of marriage: 1950-2010. The Future of Children, 25(2), 29-50.

34.

Merriam, S. B.(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20-35.

35.

Patton, M. Q. (2002). Two decades of developments in qualitative inquiry: A personal, experiential perspective. Qualitative social work, 1(3), 261-283.

36.

van Manen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lbany.

37.

van Manen (1997). From meaning to method. Qualitative health research, 7(3), 345-369.

38.

杉山由美子(2014). 距離をおいたほうが長続きする!?" 卒婚" を選んだ妻たち, 10年後の現実は(特集夫にも子どもにも縛られない, 私の老後). 婦人公論, 99(16), 32-35.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