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mediating effect of partner control, including the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influencing on the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9 couples of men and women in 20s who have been in relationship for 3 months or longer and the self-report scale of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dating violence, and partner control was implemented for respective coup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model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experience of men’s family violence exposure has a direc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women and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men through the partner control of men.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women's exposure to family viol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in men and partner control has a direc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men and women. Such a result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would have mutually different influence to the dating violence of men and women and the partner control of the couples would have the reciprocity. This study is limited to applying to couples who hav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exposure because they have conducted general couple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exposure. Despite of such limitations, this study is the first domestic study of dating violence by adult male and female couples using APIM. also, It is meanigful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dating violence have been systematically studied.
강희경 (2007). 대학생의 가족 폭력에 대한 인식과 데이팅 폭력. 청소년학연구, 14(6), 21-41.
강희순, 이은숙 (2014).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 예측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3(4), 288-298.
경찰청 (2017). 연인 간 폭력(데이트폭력). 경찰청 2017.
권석만 (2004).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수경 (2003). 대학생의 이성 친구에 대한 애착과 부모에 대한 애착표상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예정, 김득성 (1999). 데이팅관계에서 폭력집단의 특성과 신체적 폭력 발생의 맥락.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187-211.
김예정, 김득성 (1999a).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I). 대한가정학회지, 37(10), 27-42.
김예정, 김득성 (1999b).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3), 187-202.
김옥수 (2005). 가정폭력 경험과 데이트폭력 허용도가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미 (1996). 미혼 대학생의 혼전 단계에서의 신체적 폭력의 경험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87- 197.
김유정, 서경현 (2009). 폭력적 데이트 관계에서의 충동성과 분노 및 분노조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2), 383-402.
김정란 (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란, 김경신 (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7(8), 73-90.
남현미 (2003). 대학생 데이트성폭력 실태와 가해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노컷뉴스 (2018, 03, 27). 부산데이트폭력 “체포되면서까지 ‘죽일거야’ 협박…끔찍해”.
백경임 (1998). CTS2의 자녀용으로 수정 및 한국 대학생에 대한 타당성 검증. 대한가정학회, 36(2), 77-89.
서경현 (2002). 청소년들의 데이트 폭력 가해 행동에 대한 사회학습적 변인들과 분노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2), 1-15.
서경현 (2009). 이성관계에서 행해지는 데이트 폭력에 관한 연구의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699-727.
서경현 (2011). 데이트 폭력과 가정폭력 경험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청소년학연구, 18(5), 219-243.
서경현, 김봉진, 정구철, 김신섭 (2001). 대학생들의 연애폭력과 예측변인. 여성건강, 2 (1), 75-97.
서경현, 이경순 (2002). 여성들의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이 데이트 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 3(2), 33-53.
서경현, 이영자 (2001). 고등학생들의 연애폭력에 대한 예측변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7(2), 91-106.
서경현, 최수동, 김익현 (2007).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가정폭력이 대학생의 연인관계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153-170.
손정영 (1997). 갈등대처유형척도 (CTS2)의 한국부부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1), 51-87.
손혜진, 전귀연 (2003). 미혼 남녀의 개인적, 관계적, 상황적 변인이 데이팅 폭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43-63.
신혜섭 (2007). 데이트관계에서 신체적 폭력의 예측 요인: 여대생의 보고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9, 55-75.
안귀여루 (2002). 이성교제 폭력행동과 관련된 개인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9, 55-75.
양혜원, 신혜섭 (2006). 남녀 고교생의 이성교제폭력 실태와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17(1), 33-59.
우현진, 장숙희, 권호인 (2017).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극복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3), 315-335.
유선영 (2000). 여대생의 가정폭력 피해와 데이트폭력 피해간의 매개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연, 오경자 (2007). 아동기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433 -450.
장희숙, 조현각 (2001). 대학생 이성교제폭력의 실태와 위험요인들. 한국가족복지학, 8, 179-204.
정혜정 (2003).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3), 73-91.
중부일보 (2016, 10, 24). “여자친구에게 맞았어요”…데이트 폭력 남성도 피해자.
중앙일보 (2018, 05, 09). “피떡된 나를 또…” 광주 데이트폭력 피해자가 SNS에 올린 글.
하예지, 서미경 (2014). 데이트 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79-103.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홍영오 (2017). 성인의 데이트폭력 가해요인. 형사정책연구, 28(2), 321-353.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Englewood Cliffs. New York: Prentice Hall.
Breslin, F. C., Riggs, D. S., O’Leary, K. D., & Arias, I. (1990). Family Precursors: Expected and Actual Consequences of Dating Aggress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5(2), 247-258.
DeMaris, A. (1990). The dynamics of generational transfer in courtship violence: A biracial explor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1), 219-231.
Ehrensaft, M. K, Vivian, D. (1999). Is partner aggression related to appraisals of coercive control by a partner?. Journal of Family Violence, 14(3), 251-266.
Follingstad, D., Wright, S., Lloyd, S., & Sebastian, J. (1991). Sex differences in motivations and effects in dating violence. Family Relations, 40(1), 51-57.
Kenny, D. A. (1996). Models of non-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3(2), 279-294.
Kenny, D. A., Kashy, D. A., & Cook, W. L. (2006). Dyadic data analysis (pp.100-111, 144-150, 170-182). New York: Guilford press.
Laner, M. (1989). Competition and combativeness in courtship: Reports from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4(2), 181-195.
Makepeace, J. (1981). Courtship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Family Relations, 30(1), 97- 102.
Neufeld, J., Mcnamara, J. R., & Etrl, M. (1999). Incidence and prevalance of dating partner abuse and its relationship to dating practices. Journal of International Violence, 14(2), 125-137.
O’ Keefe, M. (1997).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4), 546-568.
Sigelman, C., Berry, C., & Wiles, K. (1984). Violence in college students’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4(6), 530-548.
Stets, J. E. (1991). Psychological aggression 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Violence, 6(1), 97-114.
Stets, J. E. (1992). Interactive processes in dating aggression: A national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1), 165-177.
Stets, J. E. (2012). Domestic violence and Control. Springer Verlag Newyork.
Straus, M., Hamby, S., Boney-McCoy, & Sugarman, D.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2). Journal of Family, 17(3), 283-316.
Tontodonato, P., & Crew, B. K. (1992). Dating violence, social learning theory and gender: A Multivariate analysis. Violence and victims, 7(1), 3-14.
White, J. W., & Koss, M. P. (1991). Courtship violence: Incidence in a national sample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Violence and Victims, 6(4), 247-56.
Walker, L. (1984). The battered woman syndrome. New York: Springer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