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메뉴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Interrupted Women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mong career resilienc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on career interrupted women. For this, survey on career resilienc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as been conducted among 243 women nationwide whose career has been interrupted. The surv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resilience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l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career resilienc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l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have turned out to have double mediating effects. The study has showed a variety of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women with career discontinuation.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Career Interrupted Women, career resilienc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경력단절여성, 진로탄력성, 정서조절 능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Reference

1.

통계청 (2016a). 여성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경제활동인구연보. 사회․복지

2.

통계청 (2016b). 일․가정 양립 지표. 보도자료.

3.

통계청 (2016c).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보도자료.

4.

강남욱, 김장회 (2016). 진로탄력성에 관한 연구동향 고찰. 인문학논총, 41, 181 20 8.

5.

국지연 (2011). 실직자들의 자아존중감이 정서적 어려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학연구, 24(2), 1-28.

6.

권선경, 이지연, 장진이 (2015). 학업적 열등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6(3), 87-106.

7.

권해수 (2014).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성격 5 요인, 역기능적 진로사고, 정서지능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35(2), 45-64.

8.

권희경 (2010). 경력 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87-98

9.

김경은, 김승천 (2016).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심리내적 특성 차이: 완벽주의, 정서조절 전략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37(1), 21-40.

10.

김난주 (2016).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산업관계연구, 2 6(2), 1-27.

11.

김미경 (2013). 전문대학생 진로탄력성 척도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민정 (2013). 여성 경제활동 증가의 긍정적 효과-출산율과 경제성장률 제고 가능. 한국경제주평, 539(단일호), 1-14.

13.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봉환, 김계현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15.

김성진 (2015). 여성경제활동 양상의 변화 (2000~2013). 정치정보연구, 18(2), 223-248.

16.

김소연 (2016). 고학력 경력단절 기혼여성이 지각한 자아개념과 신체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수리, 이수림, 유정이 (2015). 직업 경력단절 기혼 여성에 대한 질적 연구: 30대 여성의 경력단절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75-99.

18.

김수정, 송성화, 조민경 (2013).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진로교육연구, 26(4), 85-107.

19.

김종운, 박성실 (2014).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1), 279-300.

20.

김주영 (2010). 여성의 경력단절과 노동시장 재진입. 노동리뷰, (65)8, 36-50.

21.

김지경 (2003).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단절 및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제 3 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22.

김지경 (2004).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Family and Environ ment Research, 42(3), 91-104.

23.

김지연, 이기학 (2014).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Journal, 27(3), 1-25.

24.

김진하 (2016). 취업 상태 변화에 관한 동태적 연구. 한국경제연구, 34(3), 127-166.

25.

김희동, 남수미 (2016). 비인문계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탄력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유니테크(Uni- Tech) 통합교육과정참여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교육종합연구, 14(2), 53 -80.

26.

문지연 (2013). 기혼여성의 육아와 취업에 대한 갈등과 해결방안 탐구. 미래교육학연구, 26, 29-55.

27.

박고운, 이기학 (2007). 진로결정자율성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409 -422.

28.

박성미 (2010).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165-179.

29.

박수미 (2003).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19(1), 43-80.

30.

박용두, 이기학 (2007).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1041-1056.

31.

박원주 (2016).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7), 117-141.

32.

박정열, 손영미 (2015). 일상재구성법을 통한 경력단절여성의 일상생활과 정서경험분석. 여가학연구, 12(2), 89-120.

33.

박효진, 은선경 (2012).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의 일-가족양립 정책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7(1), 5-29.

34.

서미경 (2009). 중고령 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신윤정 (2014).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8), 243- 263.

36.

손영미, 박정열 (2016).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예측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165-184.

37.

엄경애, 양성은 (2011).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1), 21-40.

38.

오은진, 박성정, 민현주, 김난주, 송창용, 김지현 (2009). 경력단절연성의 재취업 성공요인 및 경로분석. 서울: 여성가족부.

39.

우수경 (2016).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책략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257-275.

40.

유나현, 이기학 (2005). 애착, 심리적 독립, 정서지능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51-466.

41.

유정이, 김수리, 이수림 (2016). 30대 대졸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931-964

42.

유지현 (2013).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량,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7(3), 715-738.

43.

유현실 (2013).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성인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 상담학연구, 14(1), 423-439.

44.

윤미례, 김태일 (2016). 출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상황, 유형과 영향 요인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2), 153-185.

45.

윤혜경 (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1), 83-112.

46.

은혜경, 김창대 (2011).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진로유연성 탐색: 재취업 성공 기혼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2), 651-671.

47.

은혜선 (2016년 10월 8일). [Weekly BIZ} “여성 경제 활동 참여가 저상장 돌파구”. 조선일보http://biz.chosun.com/site/data /html_dir/2016/10/07/2016100701548.html.

48.

이은정 (2012).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긍정정서와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50.

이하늘, 이 숙 (2012).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지지와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경로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2), 65-74.

51.

이희정 (2009).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자역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이희정, 김금미 (2010). 진로상담: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623- 640.

53.

임은주 (2012).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지지 인식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임주영, 윤경자 (2013).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학생활만족도 및 성취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113-130

55.

임지윤, 도승이 (2014). 중등 교사의 정서조절이 교사 직무스트레스, 소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고개발, 10(1), 105- 126.

56.

장서영 (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74(1), 79-104.

57.

장이슬, 송병국 (2015).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2(7), 363-392.

58.

장지연. (2007). 여성노동과 가족-평등한 노동을 위한 패러다임. 한국여성민우회 발간자료, 11-45.

59.

장지현, 김민영, 장원섭 (2010). 경력단절 여성의 구직경로가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78(1), 31-76.

60.

장진이 (2016).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정서조절 어려움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7(2), 121-139.

61.

전미리, 김봉환 (2015). 대학생의 성격 5 요인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445-461.

62.

전주연, 송병국 (2014).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3), 171- 200.

63.

정성미 (2006). 여성 재취업 고용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노동리뷰, 15(3), 39-50.

64.

정승헌, 김금미 (2010). 진로상담: 정서지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739-753.

65.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1015-1038.

66.

조익재 (2016). 경력단절여성의 양육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주영주, 고경이, 정유진 (2015).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8(3), 65-83.

68.

진미화, 조옥귀 (2009). 중학생의 휴대폰 문자메시지 사용, 정서조절양식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교육이론과 실천, 19(단일호), 49-77.

69.

최유진, 손은정 (2016). 경력단절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4), 749-768.

70.

최은영 (2016). 기혼여성의 취업과 자녀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여성경제연구 12(1), 51-70

71.

최재천 (2014). 의존성․회피성 성격특성이 청소년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을 매개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최지현 (2009).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허미연 (2010). 여성인적자원개발기관과 취업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4.

홍아정 (2012). 경력단절 여성의 감성지능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5(3), 35-61

75.

홍초롱 (2016). 성인학습자가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6.

황지영, 박재황 (2015).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34(5), 73-101.

77.

Aldao, A., Nolen-Hoeksema, S., & Schweizer, S. (2010).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across psychopathology: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2), 217-237.

78.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7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80.

Betz, N. E., &Hackett, G. (1981).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 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5), 399.

81.

Bimrose, J., &Hearne, L. (2012). Resilience and career adaptability: Qualitative studies of adult career counsel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1(3), 338-344.

82.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pp. 39-101).

83.

Brown, C., George-Curran, R., &Smith, M. L. (2003).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career commitment and decision-making proces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4), 379-392.

84.

Emmerling, R. J., &Cherniss, C. (2003).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areer choice proces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2), 153-167.

85.

Gratz, K. L.,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86.

Hartung, P. J., Porfeli, E. J., & Vondracek, F. W. (2005). Child vocational development: A review and reconside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3), 385-419.

87.

Kidd, J. M. (1998). Emotion: An absent presence in career the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2(3), 275-288.

88.

Krumboltz, J. D. (2009). The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7(2), 135-154.

89.

Lent, R. W., Brown, S. D.,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90.

London, M. (1983).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Academy of manage ment review, 8(4), 620-630.

91.

Mayer, J. D., Caruso, D. R., & Salovey, P. (1999).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Intelligence, 27(4), 267-298.

92.

Mayer, J. D., & Salovey, P. (1993). The intellig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telligence, 17(4), 433-442.

93.

Ocansey, F. (2000). Career Compromise and Adjustment Among Non-Professional Graduate Teachers. Ife Psychologia, 8(2), 84-95.

94.

Oecd, P. (2015). OECD employment outlook. Oecd.

95.

Pecjak, S., & Kosir, K. (2007). Personality, motivational factors and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making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Psihologijsketeme, 16(1), 141-158.

96.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L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97.

Stier, H., & Yaish, M. (2008). The determinants of women's employment dynamics: The case of Israeli wome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4(3), 363-377.

98.

Tang, M., Fouad, N. A., &Smith, P. L. (1999). Asian Americans' career choices: A path model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1), 142-157.

99.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 behavior, 22(1), 63-81.

100.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25-52.

101.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