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Identity of a Wild Goose Mother based upon Her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identity of a middle-aged Korean wild goose mother, after her reunion with the family members in South Korea, her homeland. Focusing on her autobiographical narratives, we collected the data for this study that included her memories from the past, educational analysis counseling, diaries, e-mails, memos, and SNS records.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narration inquiry space consisting of time, space, and interaction, her variou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by their themes. Then,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was reconstructed by each them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hanges in the identity of the wild goose mother appeared mainly due to her role in the family relationship; to be more specific, her life changed from an ‘incompetent mother’ to an ‘arbitrator among the family members’; and after the reunion, her recognition of her identity changed from ‘not being able to do anything with the sense of loss’ to ‘being reborn as her own self’. In the process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s, in which she wrote her own story, recollected her experiences, and found their meaning, she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renew her perspective toward her own life. Through these reflection, she was able to find the following new meaning of her life based on her changed identity: first, in the process of identity changes, her extreme adherence to her children gradually changes to psychological independence; second, accepting a victim-like feeling that made her deny her past life and recognize herself to be useless, she realized that every feeling she experienced was caused by her own choice; third, a process of ‘transition-recovery’ appeared through the process of ‘despair-learning’; and fourth, it seems too early to arrive at a conclusion, as the family is still separated and the identity as a wild geese family is still ongoing. Focusing on major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f her identity changes in terms of counseling studies and what they indicate.

keywords
기러기 엄마, 재결합, 중년 여성, 정체성 변화,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Wild Goose Mother, Family Reunion, Middle-aged Women, Identity Change, Autobiographical Narratives

Reference

1.

강유진 (2009). 기러기 가족의 초국적 적응전략 및 가족 경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학회지, 20(2), 205-221.

2.

김경신, 김정란 (2001).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성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4), 105-120.

3.

김경화 (2010). 재미 기러기 어머니의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211-239.

4.

김계순 (2018). 중년여성 만학도의 성장욕구와 의미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선미 (2007). 재미 국제 장기분거가족 전업주부의 일상적 삶과 정체성 유지에 관한 연구; ‘기러기 엄마’되기 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 171-189.

6.

김선미 (2009). ‘기러기 엄마로 살기’ : 일상생활의 구성 그리고 관계 맺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41-59.

7.

김성숙 (2006). 기러기 아빠의 생활변화와 적응문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41-158.

8.

김양호, 김태현 (2009). 장기분거 가족에 대한일 연구: 기러기 가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297-326.

9.

김양희, 장온정 (2004). 장기분거 가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기러기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23.

10.

김영희, 최명선, 이지항 (2005). 뉴질랜드 거주기러기 어머니의 생활실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11), 141-152.

11.

김주현, 송민경, 이현주 (2010). 기러기아빠의 분거가족 결정과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1(4), 107-133.

12.

김춘경 (2010). 중년기 우울 여성의 우울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1(4), 1783-1806.

13.

김희정, 최연실 (2012). 자녀 해외유학 ‘기러기가족’의 가족구조 분석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의 관점을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13(6), 2965-2986.

14.

변외진, 김춘경 (2007).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55-276.

15.

백지연 (2015). 중년여성가장의 정체성 변화-사진작업을 활용한 내러티브 탐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백지연 (2016). 사진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가장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555-585.

17.

양미진, 손재환, 김인규 (2014). 기러기 가족의 성공적 적응요인 연구. 교육종합연구, 12(4), 143-164.

18.

유준호, 홍은주 (2012). 조기유학에 의한 분거가족의 부모역할 및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4(1), 39-60.

19.

윤영미, 차명호 (2018). 자살유가족의 자전적 내러티브를 통한 상담학적 함의와 과제. 상담학 연구, 19(4), 109-123.

20.

이경혜, 김언주 (2001). 중년여성의 역할적응에 따른 자아정체감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5(2), 157-176.

21.

이남주 (2006) 중년기여성의 위기감과 대처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2), 227-237

22.

이두휴 (2008). 기러기 아빠의 교육적 희망과 갈등 연구. 교육문제연구, 32, 21-46.

23.

이복희 (2008). 취업 및 미취업 중년기 기혼여성의 가계경제수준, 자아존중감, 역할적응 및 자아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이복희, 박아청, 이경혜 (2010) 중년기 취업여성의 가계경제수, 자아존중감, 역할적응 및 자아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4(1), 103-120.

25.

이옥희, 이지연 (2012). 중년기 생성감(Generativity)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3(2), 665-688

26.

이주연, 하상희 (2012). 부모 애착이 남녀 대학생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독립과 이성 관계 태도의 매개 경로 분석. 상담학연구, 13(6), 2821-2837.

27.

장영림 (2013). 중년기여성의 삶의 잘 간의 관계에서 생산성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장휘숙 (2013). 전생애 발달심리학. 서울: 박영사.

29.

조 은 (2004). 세계화의 최첨단에 선 한국의 가족-신글로벌 모자녀 가족 사례연구. 경제와 사회, 겨울호(통권 64), 148-171.

30.

정은숙 (2009)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아정체감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은숙 (2010). 기러기 가족의 분거와 순차적이민을 통한 재결합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족관계의 변화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3), 91-115.

32.

조인효, 김미선 (2014). LA에 거주하는 한국 기러기 엄마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 25(4). 309-341.

33.

조인효, 심은정 (2014). 재미 기러기엄마의 경험과 성장: 관계문화적 상담의 관점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3), 273-299.

34.

조혜자 (2002). 비본질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자아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3), 115-130.

35.

차영란, 김기범, 전경숙 (2007).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속의 사회적 역할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99-313.

36.

최양숙 (2005). 비동거가족경험-“기러기 아빠”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최양숙 (2006). 부부분거경험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본 기러기가족 현상. 가족과 문화, 18(2), 37-65.

38.

최양숙 (2008). 자녀의 조기 유학으로 인한 분거가족에서 나타나는 사회심리적 기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67-98.

39.

최원희 (2006).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2), 141-150.

40.

태유월, 구자경 (2014). 군인가족 중년여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역할적응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15(1), 519-534.

41.

Adelmann, P., Antonucci, T., Crohan, S., & Cpleman, L. (1989). Empty nest, cohort, and employment in the well-being of midlife women. Sex Roles, 20, 173-189.

42.

Barnett, R., & Barucch, G. (1985). Women’s involvement in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al distress. J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135-145.

43.

Butler, J., & Ciarrochi, J. (2007).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quality Life Res, 16(4), 607-615.

44.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45.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7).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박 민정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전은 2000년 출판).

46.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47.

Freeman, M., & Brockmeier, J. (2001). Narrative integrity: Autobiographical identity and the meaning of the “good life”. Narrative and Identity: Studies in autobiography, Self and Culture, 75-99.

48.

Hayes, Steven C.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relational frame theory, and the third wave of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 Behavior therapy 35(4), 639-665.

49.

McAdams, D. P., & de St. Aubin, E. (1992). A theory of generativity and its assessment through self-report, behavioral acts, and narrative themes in autobi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6), 1003-1015.

50.

McAdams, D. P. (2004). Generativity and the narrative ecology of family life. In M. W. Pratt & B. H. Fiese (Eds.), Family stories and the life course, 235-257.

51.

Peterson, B. E. (2006). Generativity and successful parenting: an analysis of young adult outcomes. Journal of Personality, 74, 847-869.

52.

Peterson, B. E., & Duncan, L. E. (2007). Midlife women’s generativity and authoritarianism marriage, motherhood, and 10 years of aging. psychology and Aging, 22(3), 411-419.

53.

Rubinstein, R. (1994). Generativity as pragmatic spirituality. In L. E. Thomas and S. Eisenhandler (Eds.) Aging and the Religious Dimension. Weatport, Ct: Greenwood Press.

54.

Shober, M. M. (1993). Psychsocial Development in Women: Childfree Versus Childbearing Women.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4, 10, 3902.

55.

Steinberg, L., & Silverberg, S. B. (1987). Influences on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middle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2, 751-760.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