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한국판 조직배반 척도의 타당화: 조직 내 성폭력 피해를 중심으로
김지은((주)상담사그룹서로오롯) ; 안현의(이화여자대학교) pp.99-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에서 외상경험이 발생했을 때 조직이 피해자를 적절하게 보호하지 않거나 오히려 가해에 가담하는 현상인 조직배반 이론을 국내에 소개하고, 기존에 조직 내 성범죄를 설명할 때 많이 사용되어 온 개념인 그루밍(Grooming)과 가스라이팅(Gaslighting) 개념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직배반 이론은 최근 국내를 포함하여 국제사회 전반에 걸쳐 발생하고 있는 위계를 이용한 성폭력 또는 권력형 성범죄 및 조직 내 성폭력에서, 피해자가 몸담고 있으며 신뢰했던 조직에게서 구조적이고 제도적으로 입는 2차 피해의 양상을 확인하고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로써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심리적 개입의 방향을 설정하고 적절한 보호 조치를 취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전반적인 사회문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해야 하는지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반 이론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조직배반 현상을 측정하고 적절한 개입을 고려할 수 있도록 Smith와 Freyd(2014)이 개발한 조직배반질문지(Institutional Betrayal Questionnaire-2: IBQ-2)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번안하여 한국판 조직배반 척도를 제작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Abstract

Institutional Betrayal Theory is introduced, a phenomenon in which an institution does not adequately protect or rather participate in perpetration when trauma experiences occur, and explained how it differs from the concepts of grooming and gaslighting, which have previously been used to describe sex crimes. Institutional betrayal theory explains what difficulties victims face in recent hierarchical and intra-institutional sexual violence. It suggests that the need to set the direction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victims of sexual violence, seek appropriate protective measures, and suggest how the overall social culture should change. It is examined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titutional Betrayal Questionnaire (K-IBQ). To validate IBQ in Korea, item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item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conducted in a 462 females who have experienced sexual viole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2 factors structure of the K-IBQ and both factors were correlated one another. The K-IBQ factors were adequately related to the social reactions to trauma experience, posttraumatic cognition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pporting good discriminant and criterion valid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