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성격특성과 커플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과 다름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임아영(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훈진(서울대학교) pp.123-1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커플관계에서 서로의 다름을 수용하는 태도와 Big 5 성격특성, 갈등해결전략, 커플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성격특성과 커플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과 다름 수용 태도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커플 교제 경험이 있는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를 비롯한 자기보고식 척도들(성격 5요인, 갈등해결전략, 커플관계 만족도)을 실시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커플관계 다름 수용 태도는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긍정적 갈등해결전략 및 커플관계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신경증 및 부정적 갈등해결전략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다름 수용 태도는 갈등해결전략보다 커플관계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특성이 커플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격특성에 따라서 다름 수용 태도와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유의하였는데, 남성의 경우 성격특성과 다름 수용 태도의 상관이 여성에 비해 높고, 신경증을 중심으로 성격특성이 커플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으며, 성격특성과 커플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다름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가 두드러졌다. 반면, 여성의 경우,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acceptance for difference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Acceptance for Differences in Couple Relationships Scale (ADCRS) and other self-reporting scales were administered to 300 adults. The ADC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penness,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an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uroticism and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ADCRS showed a stronger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mediation roles of acceptance for difference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in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personality traits. Also, the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on coupl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for differences were stronger in men than in wome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have been discussed.

데이트폭력 피해자가 겪는 대인관계문제의 보호요인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역할
신수연(대구대학교) ; 김근향(대구대학교) pp.151-16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회복탄력성이 보호요인으로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데이트폭력(심리적, 신체적, 성적)과 대인관계문제(공격형, 고립형, 순응형)를 유형별로 세분하였다. 그리고 데이트폭력을 겪은 성인 남녀 121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데이트폭력 피해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심리적 폭력은 모든 유형의 대인관계문제, 신체적 폭력은 공격형 및 순응형 대인관계문제, 성적 폭력은 고립형, 순응형 대인관계문제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모든 유형의 대인관계문제는 회복탄력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성적 폭력과 순응형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만 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은 논의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ating violence victim exper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to verify whether resilience has a moderating effect as a protective factor. For this purpose, dating violence(psychological, physical, sexual) and interpersonal problem(aggressive, detached, compliant) were subdivided by type. And by analyzing the data of 121 adult men and women who experienced dating viol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xperiences of dating viol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se relationship was verified. As a result, psychological viol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ypes of interpersonal problems, physical violence was with aggressive and compliant interpersonal problems, and sexual violence was with detached and compliant interpersonal problems. All types of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dating violence and compliant type interpersonal problem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성소수자의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혜경(성신여자대학교) ; 고현(성신여자대학교) ; 박예진(성신여자대학교) pp.165-184
초록보기
초록

성소수자에 대한 한국 문화의 낮은 수용성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조장하고, 이는 성소수자 개인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절에 대한 기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Deitz(2015)의 연구 결과를 국내 성소수자들을 대상으로 반복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20대 동성애자, 양성애자, 범성애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은 거부민감성과 정적 상관을, 거부민감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거부민감성의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부에 대한 기대의 간접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던 Deitz(2015)의 연구와 일관된 결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차별 경험이 국내 성소수자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이 해외 선행 연구와 동일하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소수자 개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차별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임상 및 상담 현장의 접근법을 논하였다. 또한, 연구 설계 및 표본 추출에 관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low acceptance of sexual minorities in Korean culture promote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them, which can negatively affect their mental health. Therefore, we attempted to replicate Deitz (2015), which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expecting rejection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58 Korean gay, lesbian, bisexual and pansexual in their twen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ereas rejection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significant, but that the direct effect of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found in Deitz (2015), which showed only the indirect effect of expecting rejection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chanism of how discrimination experience affects mental health is the same in cultures with different acceptance levels of sexual minoriti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or clinic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could help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mental health of sexual minoritie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present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n terms of research design and sampling.

한국판 성적 이미지 기반 학대 통념 수용 척도(K-SIAMA)의 타당화
송원영(건양대학교) pp.185-20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Powell 등(2019)이 개발한 성적 이미지 기반 학대 통념 수용 척도(SIAMA)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K-SIAMA로 타당화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21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16개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조사에서는 32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판과 동일한 최소화/변명과 비난의 두 가지 요인에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강간통념척도, 온라인용 성중독 척도, 갈등책략척도와의 상관을 통해 적절한 수렴-변별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이미지기반 성폭력 가해 경험 유무에 따라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K-SIAMA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반분신뢰도,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신뢰로운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이 척도는 향후 우리나라의 디지털 성범죄를 비롯한 온라인상에서의 성폭력 관련 연구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후속 연구 제안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K-SIAMA by translating the Sexual Image-Based Abuse Myth Acceptance (SIAMA) scale developed by Powell et al. (2019) into Korean and verify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study 1, data from 215 people were collecte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16 items were confirmed. In study 2,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on 321 people showed a good fitness in the two factors as the original version; minimization/excuse and blame. Appropriat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with the Rape Myth Scale, Online-version Sex Addiction Scale, and Conflict Tactic Scale-2. Also,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committed image-based sexual viol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K-SIAMA.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alf-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K-SIAMA was confirmed to be a reliable measure. This scale can be widely used in future research on online sexual violence, including digital sex crimes in Korea.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여성근로자의 직무자율성,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의 및 소진과의 관계에서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 검증 : 생산직과 사무직의 비교
지윤희(이화여자대학교) pp.201-22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직무자율성,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관계구조 모형에서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19세 이상의 여성근로자 371명으로, 이 중 사무직 여성근로자는 244명이었고 생산직 여성근로자는 127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근로자의 직무자율성,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의 및 소진과의 관계에서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모형에 대한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무직 여성근로자 집단과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의 직무자율성, 사회적지지, 주도적 성격과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관계구조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대한 이해와 이들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의 상담 및 교육적 접근에서 가지는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the relation of job autonomy, social support,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among female workers. Furthermore, the structural relations were compared between female office workers and labor workers. Survey data from 371 female workers over the age of 19, out of them, 244 were office workers and 127 were labor worker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 of job autonomy, social support,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were significanttly moderated by proac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the structural model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female workers in Korea are discussed.

청년기 여성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들의 지지에 의해 조절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김가영(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지연(한국외국어대학교) pp.225-2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의 우울을 설명하는 사회맥락적 요인에 주목하여,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우울에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청년기 여성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의 관계에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를 여성들의 지지가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참여자들은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 통제감 척도,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 여성들의 지지 척도가 포함된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총 271명의 응답자료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for SPSS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기 여성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우울의 관계를 통제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청년기 여성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통제감, 우울의 관계에서 여성들의 지지 변인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청년기 여성의 우울에 대한 상담 개입 전략을 논의하였으며,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young women’s belief in the just world(BJW) on their depression, focusing on contextual factors understanding women's depression. Specifically, this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depression, and further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women’s support in the mediation model. A total of 271 young women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Belief in a Just World Scale (K-BJWS), Mastery Scale, Hopelessness Depression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Women’s Suppor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ense of control has been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the just world and depression. Second, women’s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s findings and strategie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Last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중국 거주 가족의 귀국 후 재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청소년 자녀 어머니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미영(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pp.243-27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 어머니의 역할을 중심으로 중국 거주 가족의 귀국 후 재적응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중국 상하이에서 2년 이상 거주한 후 한국 거주 기간이 3년 미만인 청소년 자녀를 둔 귀국 가족 내 어머니 3명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여, 연구참여자의 중국에서의 거주와 귀국 후 재적응 과정의 경험을 이해하고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해외 거주지에서 가족응집력이 강화되는 경험을 하였고, 귀국 후 자녀교육 경험을 통해 한국 교육에 대한 혼란과 문제의식을 느끼게 되었으며, 더 나은 교육과 최선의 어머니 역할을 고민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개인적 성장을 경험하였으며, 그들이 해외 거주지에서 강화시킨 가족응집력은 귀국 후 재적응의 긍정적인 자원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귀국 가족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여성상담 및 가족상담 서비스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daptation experiences of families living in China after returning home, focusing on the parental roles of mothers of adolescent childre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ree mothers from returning families who had adolescent children who lived in Shanghai, China for more than two years and had lived in Korea for less than three years. The research method used narrative inquir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meaning of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s of residing in China and re-adaptation after returning hom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trengthening of family cohesion in overseas residence. After returning home, through the experience of educating their children, they felt the confusion and problematic awareness of Korean education, and thought about better education and the role of parents. They experienced personal growth in the process, and the strengthened family cohesion while living abroad became a positive resource for readjustment after returning home. This study will be able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returning families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women's counseling and family counseling services and educational program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