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여대생의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강지영(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심혜원(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pp.277-2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SNS를 사용하고 있는 20대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여자 대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SNS 중독경향성의 전체 값에 대한 상관은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부분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SNS 사용률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20대 여대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적 요인과 영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토대로, 여자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높더라도 주로 사용하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확인해 거부민감성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로 인한 부정적 정서를 적절히 조율할 수 있는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획득하는 것이 SNS 중독경향성을 낮추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proneness. For this,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388 female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using S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Lastly, it was discovered tha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quentially double-mediated the relationship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interpersonal factors and effects that affect the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o account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SNS usage in Korea. Second,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double-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impa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t seems that it is helpful to reduce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at obtaining a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at can properly coordinate maladaptive emotion caused by rejection sensitivity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by identifying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자발적 비혼 여성이 ‘단독 출산’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질적연구: 2030 여성청년을 중심으로
이세민(연세대학교) pp.297-3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 비혼을 선택한 20대 중반에서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사회적 편견 그리고 내적 갈등 속에서 ‘단독 출산’을 바라보는 관점과 사회적 상황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체험을 분석하였으며 단독 출산의 관점에 대한 경험과 현상을 특징짓는 본질적 주제를 찾는 것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발적 비혼 여성들은 비혼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을 경험하였지만 변화의 기대를 가지고 있다. 둘째, 비혼 여성들은 부부 출산만 허용되어지는 현실에 좌절감을 경험하였다. 셋째, 비혼 여성들은 출산에 대해 여성의 주체성 관점에서 접근한다. 넷째, 비혼 여성들은 출산이 결혼의 결과라는 한국사회의 출산·육아 시스템의 변화를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비혼 여성들은 단독 출산에 대한 스스로의 편견과 지지에 대한 양가성의 혼란을 경험하면서도 새로운 삶의 가치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발적 비혼 여성의 단독 출산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여성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의미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 of view on ‘Single MotherS by Choice’among 20-30s voluntary single womens.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developed by van Man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0-30s voluntary single women have experienced negative social perceptions of non-marriage, but have expectations for change. Second, they experienced frustration with the reality that only married couples were allowed to give childbirth. Third, they approach childbirth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subjectivity. Fourth, they demand a change in the childbirth and childcare system in Korean society that childbirth is the result of marriage. Finally, they are creating new values of life while experiencing confusion of their own prejudice and support for single mothers by choice.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20-30s voluntary single women. It helps to understand their views on single mothers by choice, wome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subjectivity.

20대 여성의 성차별 피해경험, 울분,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의 관계
어진아(이화여자대학교) ;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pp.315-33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에 주목하여,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성차별 피해경험, 울분,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성인 여성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사이트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24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성차별 피해경험은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에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차별 피해경험과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울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여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여성이라는 성별에 따른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 반복된 경험은 그 자체로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을 예측하지는 못하지만, 증가된 울분을 통해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에 기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상에서 성차별 피해를 경험한 20대 여성의 잠재적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회의 불공정함에 대한 복합적 감정인 울분을 효과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bitterment in the relations between victimiza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cyber violence of women in their 20s.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online websit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commonly used by female adults. The self-report data of 249 participants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victimiza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yber violence;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embittermen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cyber violence. In other words, although womens’ experience of receiving unfair treatment due to their gender status did not predict the perpetration of cyber violence by itself, it contributed to the perpetration of cyber violence through increased embitterment.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와 그릿의 매개된 조절효과
김명순(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 남지은(이화여자대학교) pp.331-35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와 그릿(Grit)의 매개된 조절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자녀를 둔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288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은 그릿,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과 모두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그릿은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을, 사회적지지는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 수준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이 낮아지는데, 그릿이 평균이거나 낮을수록 일-가정 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그릿이 평균보다 높은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갈등이 가족의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사 등의 사회적지지의 경우는 일-가정 갈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높은 일-가정 갈등을 경험하는 자녀를 둔 직장여성의 경우에 그릿을 높여 삶의 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개입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장내 가족친화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일-가정 갈등과 그릿의 상호작용이 상사 등의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예상되어 직장 내에서 일-가정 갈등 완화를 위한 상담서비스와 직장교육프로그램의 보급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grit through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Data from 288 working mothers were analyzed via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v.3.5). First, work-family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grit,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Gr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social support. Third, grit moderated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the interactio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grit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s work-family conflicts affect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Specifically, the study revealed that grit, a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working mothers, can help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high work-family conflict. Interventions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grit and family social support of working mother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