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국내 임신갈등 상담 현황과 상담자 경험의 현상학적 이해
김나라(KU마음건강연구소) ; 김신향(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25
초록보기
초록

임신과 출산, 육아는 여성의 삶에 근본적이고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다. 2019년 4월에 낙태죄 불합치 판결 이후 임신갈등 상담의 도입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내에서도 해외 선진 사례들에 대한 고찰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국내의 임신․출산 상담 사업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확장 또는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 및 민간 기관에서 임신 및 임신중단 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상담실무자 29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조사(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여 상담자 및 여성 당사자의 경험을 파악하고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임신갈등 상황과 관련된 상담을 담당하는 임신․출산 상담 실무자들은 ‘전문성의 지속적 함양의 어려움’, ‘가치관 충돌의 어려움, ‘연계와 협력의 어려움’을 공통적으로 경험하였으며, 상담 시 주호소 문제로 ‘의사결정과 결정 적용의 어려움’, ‘제도 내 사각지대에 놓임’, ‘익명성이 보장되는 전문적 도움 요구’, ‘합법적이고 전문적인 도움을 받지 못함’의 주제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현재 진행 중인 임신상담 체계를 지원하고 기관별 개입과 연계를 조력하며,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교육방식을 개발, 운영할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 are events that can have a fundamental and significant impact on a woman's life. Since the abortion conviction was unconstitutional in April 2019, as demand and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of pregnancy conflict counseling increased, considerations of advanced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order to apply this to the domestic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pregnancy and childbirth counseling programs and to expand or supplement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29 counselors who are counseling for pregnancy and pregnancy termination at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n Korea, and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was us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ounselors and wome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pregnancy and childbirth counseling practitioners commonly experience “difficulty in continuing cultivation of expertise”, “difficulty in conflicting values”, and “difficulty in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Women who use the counseling system seem to have experienced “difficulty in making decisions and applying them”, “blind spots within the system”, “request for professional help to ensure anonymity”, and “lack of legal and professional help”. In view of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ational integrated center that will support the ongoing pregnancy counseling system, assist with institutional intervention and linkage, and develop and operate systematic and practical education methods.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eparing a new system.

대학생의 데이팅 앱 사용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
임은정(광운대학교) ; 최승미(광운대학교) pp.27-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데이팅 앱의 주 사용자로 알려진 20대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데이팅 앱 사용 동기 및 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데이팅 앱 사용 경험이 있는 20대 성인(N=319)을 대상으로, 데이팅 앱 사용실태 및 사용동기를 살펴보았으며, 기본심리욕구, 성태도 등의 심리적 요인이 데이팅 앱 사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 응답자의 약 25%가 지속적으로 데이팅 앱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팅 앱 사용동기로는 ‘사랑’, ‘자존감 향상’, ‘성’, ‘재미’등의 하위 동기들이 추출되었으며,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데이팅 앱 사용동기 ‘사랑’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은 기본심리욕구 만족/좌절, 쾌락적 성태도와 성책임감이였고, 데이팅 앱 사용동기 ‘자존감 향상’의 경우 기본심리욕구 만족, 성책임감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데이팅 앱 사용동기 ‘성’에 대한 유의한 설명량을 보인 변인으로는 기본심리욕구 만족/좌절, 허용적 성태도 및 성책임감이였으며, 데이팅 앱 사용동기 ‘재미’는 기본심리욕구 만족/좌절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대의 데이팅 앱 사용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using dating apps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m, focusing on young people in their 20s(n=319), who are known as the main users of dating app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using dating apps and the motivations for using them, and examin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exual attitudes on the motivation to use the apps. The study found that about 25% of all respondents continue to use dating apps. As for the motivations to use dating apps, the sub-factors such as ‘love’, ‘self-esteem improvement’, ‘sex’ and ‘fun’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sychological factors predicting ‘love’ for dating app use motivation were basic psychological desire satisfaction/disapproval, hedonic sexual attitude and sexual responsibility, and they showed significant explanation. And psychological factors predicting ‘self-esteem improvement’ for dating app use motivation were basic psychological desire satisfaction and sexual responsibility that showed significant explanation. The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explanatory amount on the ‘sex’ motivation for using dating apps were basic psychological desire satisfaction/disapproval, permissive sexual attitude and sexual responsibility. The ‘fun’ motivation for using dating app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disapprov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use of dating apps in their 20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소년원의 성별에 따른 재입원 요인 연구 : 성격, 관계, 소년원 내 징계를 중심으로
성현준(경기대학교) pp.51-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년원생이 재입원에 미치는 경로를 이해하고, 재입원 예방을 위한 개입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성별에 따라 대인관계, 성격, 소년원 내 징계가 재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소년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140명(남자 청소년 : 70명, 여자 청소년 : 70명)을 대상으로 PAI-A, 사회적 배제(또래관계 배제 경험), 아동기 피학대 경험, 범죄 및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최초입원과 재입원 소년원생은 성별에 따라 성격특성이 구분되었다. 남자 소년원생의 경우 외현화(초조성과 자기중심성)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여자 소년원생의 경우 내현화와 외현화가 혼합된 유형으로(활동수준, 정신병적 경험, 부정적 관계) 재입원을 예측하는 성격특성이 구분되었다. 둘째, 대인관계가 성별에 따른 성격특성과 소년원 내 징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남자 소년원생의 대인관계는 성격특성과 소년원 내 징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자 소년원생의 경우 대인관계가 성격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 여 소년원생의 모형적합도는 준수하였고, 성격특성과 소년원 내 징계가 소년원 재입원에 유의한 경로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관계적 요인은 여자 소년원생만 유의한 경로를 나타냈다. 특히 또래관계 배제 경험은 성격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소년원 재입원에 간접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소년원 재입원에 있어 성별에 따라 상이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성격특성과 소년원 내 징계는 재입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각 성별에 따라 소년원 내 필요한 처우 제공의 시사점과 회복적 정의를 통한 소년원생의 긍정적 사회복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Abstract

Aiming at understanding the paths that lead juveniles re-detained and exploring intervention plans for preventing the re-detained, this study verifies the gender-specific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sonality,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on re-deta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To conduct the study, information of PAI-A, ostracism experiences, childhood abuse experiences, crimes and demographic statistics of 140 people(male adolescents: 70, female adolescents: 70) living in juveniles Academic was collected. To summarize the main findings, first, personality traits were classified by gender for juveniles in their first detainment and re-detained. In the case of male juveniles, the personality traits that predict re-detained were classified as externalizing(irritability and egocentricity) factors while the female juveniles' cases were classified as a mixture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ing(activity level, psychotic experiences, negative relationships).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by gend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male juveniles did not affect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however, in case of female juveni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ity traits.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ath analysis, the model suitability of male and female juveniles in detention centers was satisfactory, and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were a significant pathway for re-detained to juvenile centers. However, as for the relational factor, only female juveniles showed a significant path. In particular, ostracism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ity traits and indirect effect on re-detained to juvenile center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in the case of re-detained to juvenile centers. And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personality traits and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are closely related factors to re-detaine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lications of providing necessary gender-specific treatment in juvenile centers and the importances of positive rehabilitation to the society for juveniles through restorative definition.

여대생의 월경 전 증후군 경험과 월경태도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조현정(대구대학교 재활심리전공) ; 박중규(대구대학교) pp.83-9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월경 전 증후군 경험과 월경태도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 소재 여대생 251명을 대상으로 월경 전 증후군, 월경 태도, 비합리적 신념을 설문조사하였고, 총 251부의 설문지 중에서 인구통계학적 항목 중 극단적인 나이를 갖는 여대생 3명과 설문지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2명을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총 24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경 전 증후군 경험과 월경태도, 비합리적 신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여대생의 월경 전 증후군 경험은 월경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증후군 경험의 하위요인 가운데 행동변화, 집중력, 자율신경계 반응이 전체 설명량의 22.4%를 차지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이었다. 셋째, 여대생의 월경 전 증후군 경험과 월경태도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월경 전 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 비합리적 신념이라는 요인을 구체화시켰으며, 월경 전 증후군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된 요소들을 이어주는 연구가 되었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rra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female students’ premenstrual syndrome (PMS) and menstrual Attitudes. In this study 251 femal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have been surveyed, but out of the 251 participants, 3 were of extreme age in comparison to the other participants and two students’ answers were unreliable. After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total of 246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PMS experience, menstrual attitudes, and irrational beliefs. Second, PMS experience of the subject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menstrual attitudes. Among the subfactors of PMS experience, behavior change, concentration, autonomic nerve system response accounted for 22.4%, therefore becoming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Third, irrational belief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MS and menstrual attitudes of the subjects. This study shows that out of all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MS experience, irrational beliefs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inally, discussion of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proposal of further investigations are describ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