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소수자의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Sexual Minor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초록

성소수자에 대한 한국 문화의 낮은 수용성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조장하고, 이는 성소수자 개인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절에 대한 기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Deitz(2015)의 연구 결과를 국내 성소수자들을 대상으로 반복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20대 동성애자, 양성애자, 범성애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은 거부민감성과 정적 상관을, 거부민감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거부민감성의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부에 대한 기대의 간접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던 Deitz(2015)의 연구와 일관된 결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차별 경험이 국내 성소수자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이 해외 선행 연구와 동일하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소수자 개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차별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임상 및 상담 현장의 접근법을 논하였다. 또한, 연구 설계 및 표본 추출에 관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성소수자,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심리적 안녕감, 거부민감성, 매개효과

Abstract

The low acceptance of sexual minorities in Korean culture promote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them, which can negatively affect their mental health. Therefore, we attempted to replicate Deitz (2015), which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expecting rejection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58 Korean gay, lesbian, bisexual and pansexual in their twen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ereas rejection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significant, but that the direct effect of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o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found in Deitz (2015), which showed only the indirect effect of expecting rejection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chanism of how discrimination experience affects mental health is the same in cultures with different acceptance levels of sexual minoriti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or clinic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could help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mental health of sexual minoritie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present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n terms of research design and sampling.

keywords
sexual minorities,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rejection sensitivity, mediation effec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