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데이트폭력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젠더감수성의 역할: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수정(경북대학교) ; 김은영(경북대학교) pp.0-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는 데이트폭력의 예방 및 개입안을 탐색하기 위해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데이트폭력성 사이에서 거부민감성과 젠더감수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대전, 경북, 대구, 울산에 소재한 9개의 대학교를 대상으로 대학생 400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390개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2.0과 PROCESS macro v3.4를 활용하였다. 먼저, 거부민감성은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데이트폭력성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거부민감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데이트폭력성이 증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데이트폭력성의 관계에서 젠더감수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데이트폭력성을 높이지만, 젠더감수성이 높을수록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데이트폭력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데이트폭력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데이트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거부민감성과 젠더감수성을 통한 효과적인 개입안을 제시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nd date violence, in an attempt to prevent and intervene in the recent surge in date violence.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00 college students at nin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Daejeon, Gyeongbuk, Daegu, and Ulsan; 390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PSS Statistics 22.0 and PROCESS macro v3.4 were utilized for analysi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nd date violence. The mo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the higher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higher the date violence.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nd date violence. The mor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s, the higher the date violence, but the higher the gender sensitivity, the weaker the positive effect of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date violence. These findings that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date violence can serve as basic data to prevent date violence, while suggesting effective intervention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코로나 대유행이 한국인의 부정정서, 불안, 직무소진,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효과
정다송(성균관대학교) ; 이동훈(성균관대학교) ; 김예진(성균관대학교) ; 황희훈(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남슬기(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pp.23-5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동안 성별 및 연령 집단에 따라 심리적 디스트레스, 코로나로 인한 비일상성 경험, 건강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코로나로 인한 비일상성 경험과 건강행동이 심리적 디스트레스(부정정서, 불안, 직무소진,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실시된 2021년 2월 19일~3월 3일까지 성인 1,4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20/30대 여성은, ‘양육어려움’이 부정정서, 직무소진에, ‘전자매체로 수면습관 변화’가 부정정서, 불안, 신체화에, ‘정신건강관리 필요성’이 부정정서, 직무소진, 신체화에 영향을 미쳤다. 20/30대 남성은, ‘대중교통이용 꺼림칙함’이 직무소진에, ‘외출제약으로 심리적 어려움’이 부정정서에, ‘음주증가’가 직무소진, 신체화에, ‘전자매체로 수면습관 변화’가 불안, 직무소진, 신체화에, ‘예방행동’이 부정정서에, ‘정신건강관리 필요성’이 부정정서, 신체화에 영향을 미쳤다. 40대 이상 여성은, ‘대중교통이용 꺼림칙함’이 부정정서에, ‘외출제약으로 심리적 어려움’이 부정정서, 불안에, ‘수입 감소’가 부정정서, 직무소진, 신체화에, ‘전자매체로 수면습관 변화’가 부정정서, 불안, 직무소진, 신체화에, ‘정신건강관리 필요성’이 부정정서, 불안, 직무소진, 신체화에 영향을 미쳤다. 40대 이상 남성은, ‘대중교통이용 꺼림칙함’이 부정정서, 직무소진에, ‘양육어려움’이 직무소진에, ‘전자매체로 수면습관 변화’가 부정정서, 불안, 직무소진, 신체화에, ‘음주증가’가 불안, 신체화에, ‘정신건강관리 필요성’이 직무소진, 신체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distress, non-dailiness, health behavior, and the influences of non-dailiness, health behavior on negative-affect, anxiety, burnout, somatization among gender and age groups during COVID-19.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434 participants between February 19, 2021 and March 3. According to multiple-regression analysis, for women in 20/30s ‘parenting-difficulties’ predicted negative-affect, burnout, ‘social media-induced sleep problems' predicted negative-affect, anxiety, somatization, ‘the need for mental health care' predicted negative-affect, burnout, somatization. For men in 20/30s, ‘reluctance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predicted burnout, ‘activity-constraints' predicted negative-affect, ‘alcohol-assumption' predicted burnout, somatization, ‘social media-induced sleep problems' predicted anxiety, burnout, somatization, ‘preventive behaviors' predicted negative-affect, and ‘the need for mental health care' predicted negative-affect, somatization. For women over 40s, ‘reluctance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predicted negative-affect, ‘activity-constraints' predicted negative-affect, anxiety, ‘income-decreasing' predicted negative-affect, burnout, somatization, ‘social media-induced sleep problems' predicted negative-affect, anxiety, burnout, somatization, and ‘the need for mental health care' predicted negative-affect, anxiety, burnout, somatization. For men over 40s. ‘reluctance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predicted negative-affect, burnout, ‘parenting-difficulties’ predicted burnout, ‘social media-induced sleep problems' predicted negative-affect, anxiety, burnout, somatization, 'alcohol-assumption' predicted anxiety, burnout, somatization, and ‘the need for mental health care' predicted burnout, somatization.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뷰티샵 종사자들의 감사성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심재숙(가천대학교) pp.53-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성향이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는 감사성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감사성향, 사회적 지지, 자자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한 뷰티샵에 종사하는 20대 이상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로 수집된 388명의 표본자료를 가지고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감사성향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긍정적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감사성향과 사회적 지지에 의한 삶의 만족도 간의 매개관계를 조절하며, 그 매개관계는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들보다 높은 사람들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뷰티샵 종사자의 감사성향이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합하여 검증함으로써 감사성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포괄적인 메커니즘을 한층 더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the gratitude disposition leads to life satisfaction. To this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it also was to verify whether there ar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is regar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on gratitude dispositio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reviewed, an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views. In this study,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SPSS process macro with 388 sample data collected by a survey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or older working at beauty shop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gratitude dispos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moder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hen self-esteem was higher than when self-esteem was low,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as stronger. Finally, self-esteem moderated the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life satisfaction via social support, and those with higher self-esteem were found to be larger than those with lower self-esteem. This study showed that gratitude disposition of beauty shop worker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in this process, by integrating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comprehensive mechanism about the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life satisfaction can be further understoo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