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상담자의 위험회피 기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 상태불안과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ounselor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and Mindfulness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의 위험회피 기질이 상태불안의 매개변인을 통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과정 및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남녀 상담사, 사회복지사, 청소년지도사, 심리치료사 112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검사(TCI), 상태불안(STAI-Y)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MBI),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여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상담자의 위험회피 기질은 상태불안, 심리적 소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자의 위험회피 기질과 마음챙김, 상태불안과 마음챙김, 심리적 소진과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위험회피 기질이 심리적 소진 간의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회피 기질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태불안은 위험회피 기질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위험회피 기질이 상태불안을 매개로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위험회피 기질과 상태불안에 대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기질적 취약성으로 보고된 높은 위험회피 기질이 심리적 소진의 직접적 원인일 것이라 가정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위험회피 기질과 심리적 소진 사이에 상태불안이 작용한다는 점을 밝힌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위험회피 기질, 심리적 소진, 상태불안, 마음챙김, harm avoidance temperament, psychological burnout, state-trait anxiety, mindfulness

Abstract

This study the process of the counselor's harm avoidance on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a mediating variable of state anxiet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counselors, social workers, youth instructors, psychotherapis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ate anxiety and psychological burnout harm avoidance disposition of counselo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unselor's harm avoidance disposition and mindfulness, state anxiety and mindfulness, psychological burnout and mindfulness. Second, harm avoidance disposition of the counsel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tate anxiety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tate anxiet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controlling it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state anxiety between harm avoida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keywords
위험회피 기질, 심리적 소진, 상태불안, 마음챙김, harm avoidance temperament, psychological burnout, state-trait anxiety, mindfuln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