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오래된 미래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여기’에서 페미니즘과 퀴어라는 자연문화적 현상은 지속적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덧입히며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가르침의 일선에 선 대학교수자들의 페미니즘과 퀴어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과 퀴어에 관해 자발적 관심을 가진 대학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삶-쓰기적 아토그래피(A/r/tography) 연구를 실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페미니즘은 남성과 여성의 대결구도를 넘어서 인간존재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맥락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의 맥락에서는 여전한 갈등이 존재함이 나타났다. 둘째, 퀴어에 대한 인식은 AI시대에 기술발전에 따라 성이 변모될 수 있는 것으로 되며 더욱 심화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음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퀴어는 삶의 맥락에서 무관심하게 받아들여지기도 함을 이야기하였다. 끝으로 셋째, 페미니즘과 퀴어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대중매체를 통한 가십을 넘어서 논의가 심화되어야 하며, 그것이 전문적인 교육의 맥락에서 탐구되어야 함을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페미니즘과 퀴어링에 관한 맥락을 후기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깊게 숙고하고, 그 인식을 드러냄으로써 사회가 함께 지속가능하게 되어가기 위한 사유의 길을 열었음에 그 의미가 있다.
In the 'now-here', where we are living in a long future, the natural and cultural phenomena of feminism and queer are becoming more complex with the addition of various vo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feminism and queerness among university professors who have been at the forefront of teaching. To this end, five university professors who voluntarily took an interest in feminism and queer culture were subjected to life-writing atographic (A/r/tography)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feminism should be understood as a human being beyond the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that there is still a conflict in the context of one's own life. Second, the perception of queer people has emerged as a more serious social problem as it is possible to transform sexuality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AI era. He also talked about how queer people are often indifferently accepted in the context of life. Finally, third, the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feminism and queer should be deepened beyond gossip through mass media, and it should be explored in the context of professional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eply considers the context of feminism and queering, which have recently become a hot topic, through the method of post-qualitative research, and by revealing the awareness, it opens the way for thinking for society to become sustainable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