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박아청(계명대학교) pp.1-17
성정체성, 자신의 성에 대한 만족, 그리고 집단 자존심이 남녀 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홍기원(호서대학교) ; 김명소(호서대학교) ; 한영석(호서대학교) pp.19-33
청소년 성피해자들의 성폭력 인식과자기손해적 성행동
권희경(고려대학교) ; 장재홍(중앙대학교) pp.35-47
여성의 효심에 관한 질적인 접근 분석
김지영(한국형사정책연구원) ; 최상진(중앙대학교) pp.49-67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정서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민정(계명대학교) ; 장은진(계명대학교) ; 정철호(계명대학교) ; 최상용(대구파티마병원) pp.69-81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명소(호서대학교 경상학부) ; 임지영(서울대 심리과학연구소) pp.83-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혹은 좋은 삶(good life)의 구성요인들을 탐색해 보고 이를 측정하는 검사를 제작한 후, 주관적인 안녕감(삶의 만족도, 정적 정서, 그리고 부적 정서)과의 관계를 성별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세 차례의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3개 도시의 대학생 425명이 참여하였다. 1차 조사에서 60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바람직한 삶의 특성들을 조사한 결과, 196개의 특성들이 도출되었다. 중복된 특성들을 제외한 후, 바람직한 삶의 특성들 132개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20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특성이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6점 척도 상에서 평정하도록 하였다. 평균 3점 이하의 중요도를 보이는 문항들을 제외한 최종 112 개의 특성들을 그 유사성에 따라서 14개의 바람직한 삶의 구성요인들로 분류하였다. 이 특성들을 바탕으로 각 요인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제작하고 이를 165명의 또 다른 대학생 집단에게 실시하여 그들 자신의 현재의 삶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검사와 함께 Diener 등(1985)의 삶의 만족도 척도와 정서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람직한 삶의 구성요인들과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기대한 바와 같이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삶의 만족도와 정적 정서와는 정적인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 정서와는 바람직한 삶의 구성요인들이 부적으로 관련되어 있었으나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또한 바람직한 삶의 특성들 중주관적 안녕감 요인들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의 연구들에서와 같이 자기수용 요인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남자 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 신념, 가족정체성, 경제력이, 여자 대학생의 경우 경제력이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bout what is a good life for them or what can make them happy and good. A total of 60 students participated in FGI(Focused Group Interview), and their responses were reviewed by the present investigators independently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content analysis. The list of 132 good life characteristics was administered to 200 college students in three geographic regions of Korea to assess the importance of each item in good life through 6-poing Likert scales. The 20 items below the average scale value 3.0 were deleted, and the Good Life Inventory for college students was constructed with 112 items in 14 factors. The Good Life Inventory and the Scale of Subjective Well-being were administered to another 165 students in order to assess their goodness and happiness through 6-point Likert scale.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most factors of good life were unidimensional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resulting in support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inventory.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lf acceptance was the b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For male college students,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s, will, family identity, and financial ability in addition to self acceptanc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while the financial ability factor was added in the group of female students. Limita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