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Longitudinal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attachment and suicidal ideation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and suicidal ideation was mediated through self-esteem and depression during childhood. To test the hypothesis,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s were applied to the data which were the part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i.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KCY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pecifically, the data in use were consisted of 2,844 early adolescents' responses to the scales measuring four variables of interest for three times at every year.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s of parent-child attachment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suicidal ideation. Moreover, self-esteem and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attachment and suicidal idea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e.g., consideration in designing the preventive program regarding suicidal ide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Submission Date
2014-07-15
Revised Date
2014-08-30
Accepted Date
2014-09-05

Reference

1.

권태연 (2012). 청소년의 자살생각 수준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생태학적 요인들과의 관련성 검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89-118.

2.

김가은, 남미희, 박지정, 이상미 (2012). [NECA 원탁회의] 청소년 사망원인 1위 자살, 각계 전문가가 바라보는 해결책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1-68.

3.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27-152.

4.

김도연 (2012). 청소년 자살 및 예방 프로그램. 명상심리상담, 8, 109-131.

5.

김수진, 김보영, 권영란, 김상숙, 김하강, 박민정 (2011). 우울중재 프로그램이 고위험청소년의 자의식,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인문과학연구, 30, 363-379.

6.

김영희, 안상미 (2008). 연구논문: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갈등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청소년학연구, 15(2), 1-30.

7.

김준호, 이동원 (1996). 청소년의 긴장과 비행. 서울: 형사정책연구원.

8.

김춘경, 이수연, 최웅용 (2005). 우울 및 자살개입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및 자살에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1(1), 169-191.

9.

김현순, 김병석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01-219.

10.

김현주 (2008). 청소년 자살위험성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27, 69-93.

11.

남윤주, 이 숙 (2008). 기초연구: 아동이 지각한 애착과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가우울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2(2), 1- 16.

12.

남은영 (2009). 초등학교 3학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 75-89.

13.

문경숙 (2006).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애착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27(5), 143-157.

14.

문동규, 김영희 (2012).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청소년학연구, 19(1), 59-83.

15.

박 선, 문수백 (2012). 학령기 아동의 자살생각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16.

민하영 (2012). 학령기 아동의 모애착과 우울관계에서 또래애착이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21(5), 915-927.

17.

박병금 (2009). 청소년 우울의 발달경로와 자살생각.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1, 207-235.

18.

박영애, 정옥분 (1996).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1), 321-340.

19.

박현숙 (2008). 청소년을 위한 통합적 자살폭력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8(4), 513-521.

20.

박현정, 이진실 (2013).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검증: 부모자녀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6(1), 83-106.

21.

신나나, 도현심, 최미경, 김민정 (2013).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적역할. 아동과 권리, 17(1), 109-135.

22.

신미지, 김태경 (2013). 부모의 거절과 통제행동 및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상담교육연구, 2(1), 89-109.

23.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1), 1-19.

24.

신은정, 김희숙 (2013). 또래지킴이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존감, 친구관계 및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2(3).

25.

심미영, 김교헌 (2005). 한국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성과 발달시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13-325.

26.

양유진, 정경미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피적 정서조절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을 매개요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669-688.

27.

연현진 (2010). 청소년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6, 265-293.

28.

우채영, 김판희 (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을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다차원적 구조 분석. 청소년학연구, 18(4), 219-240.

29.

원진희, 장문선 (2014). 애착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사회지향성 및 자율지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341-361.

30.

윤성림, 윤 진 (1993). 청소년기 자살생각과그 관련변인-고교생을 대상으로한 심리적특성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1), 107-120.

31.

윤정숙, 유성경, 홍세희 (2012). 상담 초기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4), 1903-1919.

32.

이근영, 최수찬, 공정석 (2011).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우울감의매개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5), 83-107.

33.

이선희 (2013). 한국사회에서 청소년 자살. 한국보건의료연구원, 56(2), 91-92.

34.

이정숙, 권영란, 김수진, 최봉실 (2007).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 자살생각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6(4), 337-347.

35.

이정윤 (2004). 자살생각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문제행동, 자기존중감, 사회성기술,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5(1), 163-175.

36.

이정윤, 허재홍 (2003). 아동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위험 요인. 청소년상담연구, 11(2), 85-95.

37.

이현만, 한성희 (1996).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7(2), 167-178.

38.

장은진 (2011). 한국에서의 청소년 자살연구개관과 향후방향성. 미래청소년학회지, 8(4), 171-195.

39.

장휘숙 (1998). 애착과 정신증의 관계에서 자기관련적 변인의 중재역할.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1(1), 110-121.

40.

장휘숙 (2000). 애착과 대학생의 정체감 발달(Ⅱ): 대처방식의 중재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3), 141-157.

41.

전영주 (2001). 우울증을 매개로 한 청소년의자살구상에 관한 가족 및 학교환경의 경로분석 모델. 대한가정학회지, 39(1), 151-167.

42.

정병삼 (2010). 부모-자녀애착과 부모지도감독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미치는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1(4), 5-30.

43.

정영주, 정영숙 (2007). 청소년의 자살생각과관련된 우울, 인지적 와해 및 친구지지간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 67-88.

44.

좌현숙, 변휘연 (2010).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의 전환과정에서 내재화 문제의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학교사회복지, 19, 1130-140.

45.

최소정 (2008). 부모와의 애착과 자살생각 간의관계: 역기능적 신념과 우울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46.

최소정, 배대석, 장문선 (2010). 상담일반: 자살생각과 관련된 부모와의 애착, 역기능적신념 및 우울간의 관계분석. 상담학연구, 11(2), 571-582.

47.

최수미, 김수현, 조영일 (2012). 초기 청소년의부모애착과 심리내적 증상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에 관한 5년 종단연구. 상담학연구, 13(3), 1277-1293.

48.

최수미, 조영일 (2013). 부정문항이 포함된 척도의 요인구조 및 방법효과 검증과 남녀간의 차이 비교: Rosenberg 자기존중감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71-589.

49.

최인재 (200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611-628.

50.

최인재 (2010). 연구논문: 청소년기 자녀의 자살 생각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9), 105-130.

51.

최정아, 이혜은 (2008). 청소년의 우울과 지각된 부모지지, 행동적 통제 및 통제 간의관계에 관한 연구: 자아통제력 및 자아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9(1), 295-326.

52.

최혜선, 이미경 (2012).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 및 자살 생각: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5(1), 85-94.

53.

최희철, 황매향, 김연진 (2009).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1(2), 537-558.

54.

통계청 (2011). 사망원인통계. http://kostat.go.kr.

55.

통계청 (2012). 한국복지패널조사. http://kostat. go. kr.

56.

통계청 (2014).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최근1년간 자살생각 여부. http://kostat.go.kr.

57.

하영희 (2004).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의 우울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2(2), 42-52.

58.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2). 청소년자살사망률보도자료. http://www.neca.re.kr.

5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Ⅰ: 2011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통계. http://www.nypi.re.kr.

60.

한기백 (2014). 아동기 모와의 정서적 유대와성인 애착의 관계: 자기 존중감과 타인신뢰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1), 159-178.

61.

한상희, 박 경 (2005). 청소년의 애착유형과대인불안 및 우울과의 관계: 고등학생을중심으로. 심리치료, 5(1), 43-61.

62.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합치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63.

홍세희, 유숙경 (2004).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을 적용한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8(1), 381-392.

64.

홍세희, 노언경, 정송 (2011). 부정문항이 포함된 검사의 요인구조: 자아존중감 검사의예. 교육평가연구. 24(3), 713-732.

65.

황순택, 최정훈 (1988). 우울한 사람들의 자기지각 왜곡.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7(1), 75-86.

6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6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68.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dea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7, 343-352.

69.

Bentall, R. P., Kinderman, P., & Kaney, S. (1994). The self, attributional processes and abnormal beliefs: Towards a model of persecutory delusion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2(3), 331-341.

70.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71.

Bowlby, J. (1973).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Vol. 39, p.175). New York: Mss Information Corporation.

72.

Bowlby, J. (1979).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London: Tavistock.

73.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 3 Loss:Sadness and depression, New York: Basic Books.

74.

Bretherton, I. (1985). Attachment theory:Retrospect and prospect.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 3-35.

75.

Brunstein Klomek, A., Marrocco, F., Kleinman, M., Schonfeld, I. S., & Gould, M. S. (2007). Bullying,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6(1), 40-49.

76.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EQS, and LISREL: Comparative approaches to testing for the factorial validity of a measuring instru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sting, 1(1), 55-86.

77.

Cassidy, J. (1988). Child-mother attachment and the self in six-year-olds. Child development, 121-134.

78.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79.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255.

80.

Cole, D. A. (1989). Psychopathology of adolescent suicide: Hopelessness, coping beliefs, an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8(3), 248-255.

81.

Cole, D. A., & Maxwell, S. E. (2003). Testing mediational models with longitudinal data:questions and tips in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2(4), 558.

82.

Downs, L. E. (2010). Modeling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Coping as a Mediator. Doctoral dissertation, Vanderbilt University.

83.

Dukes, R. L., & Lorch, B. D. (1989). The effects of school, family, self-concept, and deviant behaviour on adolescent suicide ideation. Journal of Adolescence, 12(3), 239-251.

84.

Eisenberg, N., Zhou, Q., Spinrad, T. L., Valiente, C., Fabes, R. A., & Liew, J. (2005). Relations Among Positive Parenti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xternalizing Problems: A Three Wave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6(5), 1055-1071.

85.

Enders, C. K., & Bandalos, D. L. (2001).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ation Modeling, 8(3), 430-457.

86.

Mash, E. J., & Barkley, R. A., (2002). 아동정신병리 (이현진, 박영신, 김혜리, 정명숙, 정현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1998년출판)

87.

Fergusson, D. M., Woodward, L. J., & Horwood, L. J. (2000). Risk factors and life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uicidal behaviour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Psychological medicine, 30(01), 23-39.

88.

Gould, M. S., Greenberg, T. E. d., Velting, D. M., & Shaffer, D. (2003). Youth suicide risk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2(2), 386-405.

89.

Hirschi, T.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0.

Holland, P. W. (1986). Statistics and causal in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1(396), 945-960.

91.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92.

Little, T. D. (1997). Mean and covariance structures (MACS) analyses of cross-cultural data: Practical and theoretical issu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2(1), 53-76.

93.

Little, T. D., Preacher, K. J., Selig, J. P., & Card, N. A. (2007). New developments in latent variable panel analyses of longitudinal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1(4), 357-365.

94.

Marcenko, M. O., Fishman, G., & Friedman, J. (1999). Reexamining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pplied to a diverse popul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8(1), 121-138.

95.

Maxwell, S. E., & Cole, D. A. (2007). Bias in cross-sectional analyses of longitudinal mediation. Psychological methods, 12(1), 23.

96.

Maxwell, S. E., Cole, D. A., & Mitchell, M. A. (2011). Bias in cross-sectional analyses of longitudinal mediation: Partial and complete mediation under an autoregressive model.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6(5), 816-841.

97.

Muthén, B. O., & Muthén, L. K. (1998-2011). Mplus user's guide. Sixth edition. Six edition. Los Angeles, CA: Muthén & Muthén.

98.

Perkins, D. F., & Jones, K. R. (2004). Risk behaviors and resiliency within physically abused adolescents. Child abuse & neglect, 28(5), 547-563.

99.

Pfeffer, C. R., Klerman, G. L., Hurt, S. W., Kakuma, T., Peskin, J. R., & Siefker, C. A. (1993). Suicidal children grow up: rate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during follow-up.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2(1), 106-113.

100.

Pietromonaco, P. R., & Barrett, L. F. (2000). The internal working models concept: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the self in relation to other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4(2), 155.

101.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731.

102.

Roberts, J. E., Gotlib, I. H., & Kassel, J. D. (1996). Adult attachment security and symptoms of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low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10-320.

10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chil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4.

Rosenberg, M. (198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Revised edition. Middletown, CT:Wesleyan University Press.

105.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

106.

Töero, K., Nagy, Á., Sawaguchi, T., Sawaguchi, A., & Sótonyi, P. (2001). Characteristics of suicid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udapes. Pediatrics International, 43(4), 368-731.

107.

Vandenberg, R. J., & Lance, C. E. (2000).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literature: Suggestions,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3(1), 4-70.

108.

Widaman, K. F., & Reise, S. P. (1997). Exploring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psychological instruments: Applications in the substance use domain. The science of prevention: Methodological advances from alcohol and substance abuse research, 281-324.

109.

Zigler, E., & Glick, M. (1988). Is paranoid schizophrenia really camouflaged dep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43(4), 28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