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7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mpathic parenting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413 middle school students (247 boys and 166 girls) responded to question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empathic parenting, their own empathy, and school adjustment. First, empathic parenting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empathic parenting exhibited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Second, empathic parent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adolescents’ empathy.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empathic parenting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empathy, and adolescents who reported higher levels of empathy demonstrated better school adjustment. Finally, multi-group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from empathic parenting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to explain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강유진ㆍ문재우 (2005). 청소년의 학교적응에대한 가족요인의 영향: 가족배경요인과가족관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청소년연구, 16(1), 283-316.
강정희 (2008).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녀의 성격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창실 (2008).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과학기술부ㆍ한국교육개발원 (2012). 교육통계 분석 자료집. 교육통계서비스.
권주현ㆍ박영신 (2013). 마음이해와 공감이 독재자 게임에 나타난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3), 117-138.
김기순ㆍ신선순 (2011).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9(3), 94-111.
김복인ㆍ이인수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행복과의 관계: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6), 195-218.
김성일 (1998). 부모의 수용과 청소년의 공감발달. 청소년학연구, 5(1), 21-51.
김성은 (1997). 학생의 감정공명과 학업성적, 학급 내 사회성, 학교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정ㆍ곽금주 (2013). 3세부터 7세까지 어머니의 애정/온정적 양육태도의 변화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주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1-19.
김용희 (1988). 중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 과정과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경 (2009).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내적통제성과 공감능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1), 37-56.
김정미 (2009). 고교생의 공감, 또래영향력, 사회적 지지와 공격성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7(1), 49-72.
김정은ㆍ도현심ㆍ김민정ㆍ김재희 (2013). 부모에 대한 애착이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감 능력의 매개적역할. 아동학회지, 34(3), 129-150.
김지근ㆍ이기학 (2008). 지각된 부, 모의 양육태도 조합패턴과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9(3), 1183-1200.
김지은 (2006).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12(1), 53-78.
김지원 (2010). 초등학생의 인터넷 환경요인과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력 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철ㆍ김은정 (2007). 변화하는 가족과 청소년기 사회화과정: 국제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혜래ㆍ최승희 (2009). 가족건강성과 학교체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0, 159-182.
김혜원 (2009). 청소년의 부적응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련성 재조명. 미래청소년학회지, 6(3), 1-22.
김희성 (2011). 부모의 공감능력이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 및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영옥ㆍ이상준 (2008). 일반청소년과 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5(1), 1-18.
남영자ㆍ박태영 (2009).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6(4), 47-71.
문승미 (2006).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유아의문제행동 및 정서조절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호영ㆍ문성호 (2007).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2), 167-186.
박은민 (2010).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75-88.
박성희 (2002). 친사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정변인 탐색. 교육학연구, 40(1), 51-74.
박성희 (200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박재산ㆍ문재우 (2006). 청소년이 인지하는 가족 내 갈등과 건강보호행동으로서의 자아개념, 학교적응간의 인과관계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3(2), 91-107.
배은경 (2011). 청소년의 공감능력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3(1), 85-100.
서석남ㆍ이상구ㆍ임상호 (2012). 청소년이 느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10(8), 327-333.
성순옥ㆍ박미단ㆍ김영희 (2013).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8), 49-70.
송지준 (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신건호 (2003). 어머니와 자녀의 인간지향적관계가 자녀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논집, 12, 87-102.
이규미 (2005).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83-398.
이규미ㆍ김명식 (2008).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1), 27-40.
이경님 (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 논문집, 11, 197-214.
이경미 (2008). 아동의 공감적 특성과 학업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숙영 (2012).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학교적응관계에서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11), 117-145.
이승연 (2009).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연ㆍ김복미 (2012).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대상의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2), 245-263.
이재성ㆍ문영경ㆍ최형임 (2012).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아동교육, 21(2), 233-246.
이지선ㆍ이희경 (2011). 부모-자녀 갈등과 공감이 용서 및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7, 199-223.
이혜경ㆍ김현주 (2007).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청소년시설환경, 5(2), 29-42.
임정화ㆍ전종설 (2012). 부모의 양육태도 및의사소통이 남ㆍ여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8), 169-190.
장영애ㆍ박정희 (2008). 부모의 양육행동 및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2), 69-85.
정화니ㆍ조옥귀 (2011). 부모의 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 행동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존감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21, 87-114.
조용주 (2010a).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공감과 어머니가 보고한 공감의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23-1146.
조용주 (2010b).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공감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박사논문.
조용주ㆍ정남운 (2009). 부모 공감이 아동에게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915-941.
지소라 (2009).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양육태도와 공감능력의 관계. 한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명자 (2006).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용민ㆍ원상숙 (2013).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1), 199-216.
최인호ㆍ김진이 (2013). 어머니의 양육행동이남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남녀 청소년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1(1), 81-102.
황희정 (201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공감능력 및 공격성의 관계: 자기조절능력의 조절효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영숙 (2010). 초등학생의 공감하기, 체계화하기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기묵 (2004).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임상심리학회지, 19(1), 161-177.
홍애순ㆍ조규판 (2014).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이 학교행복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 45-68.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Barber, J. G., Bolitho, F., & Bertrand, L. (2001). Parent-child synchrony and adolescent adjustment.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18(1), 51-64.
Baker, J. A. (2006). Contribu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ositive school adjustment dur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4, 211-229.
Bronstein, P., Duncan, P., D'Ari, A., Pieniadz, J., Fitzgerald, M., Abrams, C. L., Frankowski, B., Franco, O., Hunt, C., & Cha, S. Y. O. (1996). Family and parenting behaviors predicting middle school adjustment: A longitudinal study. Family Relations, 45(4), 415-426.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Beverly Hills, CA: Sage.
Chase-Lansdale, P. L., Wakschlag, L. S., & Brooks-Gunn, J. (1995). A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caring in children and youth: The role of the family. Journal of Adolescence, 18, 515-556.
Clark, K. E., & Ladd, G. W. (2000). Connectedness and autonomy support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Links to children's socioemotional ori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36, 485-498.
Collins, W. A., & Russell, G. (1991). Mother-child and father-child relationships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A development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11(2), 99-136.
Chen, X., Liu, M., & Li, D. (2011). Parental warmth, control, and indulgence and their relations to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3), 401-419.
Chu, L., & Powers, P. A. (1995). Synchrony in adolescence. Adolescence, 30, 453-461.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de Kemp, R. A. T., Overbeek, G., de Wied, M., Engels, R. C. M. E., & Scholte, R. H. J. (2007). Early adolescent empathy, parental support, and antisocial behavior.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Research and Theory on Human Development, 168(1), 5-18.
Eisenberg, N., Spinrad, T. L., & Morris, A. (2006). Empathy-related responding in children. In M. Killen & J. Smetana (Eds.), Handbook of moral development (pp.517-549). New York, NY:Psychology Press.
Eisenberg, N., & Valiente, C. (2002). Parenting and children's prosocial and moral development.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Vol. 5, pp.111-14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Feshbach, N, D. (1987). Parental empathy and child adjustment/maladjustment. In N. Eisenberg & J. Strayer (Eds.), Empathy and its Development (pp.271-291). New York, NA:Cambridge University Press.
Finkenauer, C., Engels, R. C. M. E., & Baumeister, R. F. (2005).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1), 58-69.
Gecas, V., & Schwalbe, M. L. (1986). Parental behavior and adolescent self-esteem.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8, 37-46.
Guzick, D. T., Dorman, W. J., Groff, T. S., Altermatt, E. R,, & Forsyth, G. A. (2004). Fostering social interest in schools for long-term and short-term outcomes.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60(4). 361-378.
Hoffman, M. L. (2001). Toward a comprehensive empathy-based theory of prosocial moral development. In A. C. Bohart & D. J. Stipek (Eds.), Constructive and destructive behavior:Implications for family, school and society (pp. 61-86).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ilpatrick, K. L. (2005). The parental empathy measure: A new approach to assessing child maltreatment risk.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5(4), 608-620.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NY:Guilford Press.
Laible, D. J., Carlo, G., & Roesch, S. C. (2004). Pathways to self-esteem in late adolescence:The rol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empathy, and social behaviors. Journal of Adolescence, 27, 703-716.
Larson, R. W., & Richards, M. H. (1994). Family emotions: Do you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experience the same state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4(4), 567-583.
Milevsky, A., Schlechter, M., Netter, S., & Keehn, D. (2007).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in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satisfact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6(1), 39-47.
Parke, R. D., & Buriel, R. (1998). Socialization in the family: Ethnic and ecological perspectives. In N. Eisenberg, W. Damon, & R. M.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Vol. 3, pp. 429-504). New York, NY: Wiley.
Rohner, R. P., & Pettengill, S. M. (1985).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among Kore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6, 524-528.
Rutter, M. (1985). Resilience in th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 598-611.
Soenens, B., Duriez, B., Vansteenkiste, M., & Goossens, L. (2007).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empathy-related responding in adolescence: The role of maternal suppor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3(3), 299-311.
Strayer, J., & Roberts, W. (2004). Children's ang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pathy: Relations with parents'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practices. Social Development, 13, 229-254.
Trumpeter, N. N., Watson, P. J., O'Leary, B. J., & Weathington, B. L. (2008). Self-functioning and perceived parenting: Relations of parental empathy and love inconsistency with narcissism, depression, and self-esteem.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9(1), 51-71.
Walker, L. O., & Cheng, C. Y. (2007). Maternal empathy, self-confidence, and stress as antecedents of preschool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2(2), 93-104.
Zahn-Waxler, C., Radke-Yarrow, M., & King, R. A. (1979). Child rearing and children's prosocial initiations toward victims of distress. Child Development, 50, 319-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