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718
This study examined school dropout adolescents’ psychosocial trajectories across adolescence into emerging adulthood and whether these trajectories differed by adjustment status in emerging adulthood, as characterized by attainment of a high-school diploma and involvement in productive activities for the past 12 months. Using five waves’ of the School Dropout Panel data (n=295), latent growth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es were conducted. Overall, the study sample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perceived social stigma, academic elitism, parental maltreatment, and associations with delinquent peers over time. Additionally, 40.7% of the sample were classified in the positive adjustment group in emerging adulthood.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erceived social stigma, academic elitism, parental supports, and peer relationships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adjustment status in emerging adulthood. The results highlight that effective programs are needed to help these adolescents by addressing within group variabilities among school dropout adolescents.
교육부 (2019). 2019년 교육기본통계 결과 발표.
구본용, 신현숙, 유제민 (2002).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중퇴 모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2), 35-57.
김나연, 박동진 (2019).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연구, 5(3), 71-87.
김범구 (2012).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청소년학연구, 19(4), 315-337.
김범구, 조아미 (2013). 잠재계층분석 (LCA) 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24(3), 5-31.
김영희, 최보영 (2015).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한국청소년연구, 26(2), 145-175.
노기호 (2017).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법제의 정립 방안에 대한 연구. 한양법학, 28(2), 27-57.
노혜진, 박미희, 이봉주, 박호준 (2018). 청년니트(NEET) 지원 사업에 대한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경험: 희망플랜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9(2), 125-157.
명소연, 조진옥 (2016).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4(2), 75-98.
박종석 (2018). 고교 중퇴자들의 학교 밖 학력주의 경험과 그 추구: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진학과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8(2), 87-125.
백혜정, 송미경, 신정민 (2015).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안선영, 김희진, 박현준, 김태령 (2011). 청년기에 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Ⅱ: 총괄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윤철경, 서정아, 유성렬, 조아미 (2014).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중단 후 경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Ⅰ 데이터분석 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윤철경, 성윤숙, 최홍일, 김강호 (2017). 학교 밖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 연구 Ⅱ.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경상, 백혜정, 이종원, 김지영 (2011).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Ⅱ 사업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경상, 서정아, 배상률, 성은모, 김지영, 강현철, …, 이재연 (2012).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III 사업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경상, 유성렬 (2007). 한국청소년 패널조사 (KYPS) Ⅳ- 청소년 아르바이트 참여실태의 변화와 특성.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이경상, 조혜영 (2005).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진로 설정 및 준비실태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8(2), 41-64.
이화명, 김영미 (2016).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9), 127-154.
이현우, 양명숙 (2017).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기개념명확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2), 91-116.
전영실, 신동준 (201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 피해 및 가해에 관한 연구. 세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조성연, 이미리, 박은미 (2009). 학업중단 청소년. 한국아동학, 30(6), 391-403.
조혜영 (2019).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주요 이슈 고찰: 연구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0(2), 485-498.
주금옥 (2002). 정규교육 중도탈락 청소년의 진로 장애 지각에 관한 탐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인재, 모상현, 이선영 (201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Ⅱ: 총괄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최지연, 김현철 (2016).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청소년학연구, 23(3), 103-13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 유저가이드(1차-5차).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허묘연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Bynner, J., & Parsons, S. (2002). Social exclusion and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The case of young people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NEE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2), 289-309.
Child Trends (2020). High school droupout rates. Retrieved from http://www.chilwww.childtrends.org/?indicators=high-school-dropout-rates
De Witte, K., Cabus, S., Thyssen, G., Groot, W., & van Den Brink, H. M. (2013).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chool dropout. Educational Research Review, 10, 13-28.
Enders, C. K., & Bandalos, D. L. (2001).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3), 430-457.
Graham, A., Kim, H., & Fisher, P. (2012). Partner aggression in high-risk families from birth to age 3 years: Associations with harsh parenting and child maladjust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6(1), 105-114.
Harvey, R. D. (2001).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henomenological impact of social stigma.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2), 174-189.
Henry, K. L., Knight, K. E., & Thornberry, T. P. (2012). School disengagement as a predictor of dropout, delinquency, and problem substance use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1(2), 156-166.
Hickman, G. P., Bartholomew, M., Mathwig, J., & Heinrich, R. S. (2008). Differential developmental pathways of high school dropouts and graduat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2(1), 3-14.
Hu, L., & Bentler, P.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Kemple, J. J., & Willner, C. J. (2008). Career Academies: Long-Term Impacts on Labor Market Outcomes, Educational Attainment, and Transitions to Adulthood. NY: MDRC.
Liem, J. H., Lustig, K., & Dillon, C. (2010).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merging adults: A comparison of high school dropouts and graduates,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7, 33-43.
Muthén, L. K., & Muthén, B. O. (1998-2017). Mplus User’s Guide. CA: Muthén & Muthén.
Stoolmiller, M. (1995).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s to study developmental processes. In J. M. Gottman (Eds.), The Analysis of change (pp. 103-138).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Toivonen, T. (2011). ‘Don't let your child become a NEET!’ The strategic foundations of a Japanese youth scare. Japan Forum, 23(3), 407-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