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집단 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지지프로그램의 효과
윤성우(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271-292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집단 따돌림의 방관자가 집단 따돌림에 관심을 가지고 피해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방관자를 대상으로 한 또래지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중학교에서 자기 보고에 의해 방관자로 선택된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다. 실험학급에서 방관자로 선정되어 또래지지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21명이었고, 통제학급에서 방관자로 선정되어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은 27명이었다. 또래지지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며, 초반부에는 학생들이 집단따돌림현상에 대해 인식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가지며 피해학생에 대한 공감능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였으며 후반부에는 피해 학생들에게 도움행위를 주거나 전체학급에서 시행될 수 있는 집단 따돌림의 개선방안에 대해 함께 모색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또래지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학생들이 따돌림상황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었으나 실제적으로 피해자를 도울 수 있는 도움행동 및 따돌림상황에 대한 변화는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과들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peer-support program for the outsiders of the bullying who can concern about the bullying and help the victims were completed and evaluated an effect on the program. This study was completed in 2 schools, and each school has an experimental class and a controled class. Experimental groups who completed the program from selecting as the outsiders in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21 members and controled groups from selecting as the outsiders in the controled classes were 27 members. The peer-support program was composed of 8 sessions. The first part of the program was focused on the awareness about the bullying, various perspectives about the bullying, and increasing the empathy about the victim. The last part of the program was focused on helping behavior to the victim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bullying which can be carried out in the class. The study effect was that experimental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the concern about bullying situations. However, experimental groups did not have significant changes in the bulling situation and the helping behavior to the victim. We discussed about the suggestion of the result, the meaning, the restriction of this study and the following study.

발표불안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중재변인과 매개변인
조용래(한림대학교) pp.293-322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발표불안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의 처치효과를 더욱 엄격하게 검증하고, 그 효과를 중재하는 변인들과 매개하는 변인들을 상정한 후 비디오 피드백이 어떤 사람들에게 더 효과적인지, 그리고 비디오 피드백의 변화기제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발표불안 수준이 높은 대학생 60명 중 30명은 인지적 준비와 비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에, 그리고 나머지 30명은 중립적 심상을 떠올리고 중립적 비디오를 시청한 비교집단에 무선 할당되었다. 연구 결과, 비디오 피드백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불안의 행동적/신체적 반응양상 평정치가 처치 직후 유의미하게 호전되었으며, 이러한 집단 간 차이는 두 번째 발표 직후까지 유지되었다. 발표수행에 대한 평정치의 경우, 처치 직후에 비디오 피드백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일시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달리, 주관적 불안 평정치와 전반적 수행 평정치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직전의 우울수준이 처치집단과 처치 전후의 발표수행에 대한 자기지각의 변화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중재하였다. 불안의 행동적/신체적 반응양상 평정치로 측정된 비디오 피드백의 처치효과는 불안관찰 발생확률 추정치의 변화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및 이론적 의의와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a more stringent test of the effects of video feedback on public speaking anxiety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e video feedback might be more effective for some individuals than for others, as well as the mechanism of change involved. Half of 60 speech-anxious undergradua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video feedback with cognitive preparation group, and the other half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group who engaged in neutral imagery task and watched a video with neutral scene. Participants in the video feedback group made lower ratings of their behavioral and somatic response aspects of public speaking anxiety following video feedback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and this effect generalized to a second speech. Video feedback tended to have transient effect on self-perception of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subjective ratings of neither anxiety nor overall performance were significant. The level of depression at pre-experimen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deo feedback and pre- to post-treatment change in self-perception of performance. Changes in estimated probability of anxiety appearance were a ful mediator of treatment change following video feedback as measured on ratings of behavioral and somatic response aspects of public speaking anxiety. Finally, clin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우울수준과 인지적 준비가 비디오 피드백 처치 후의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황경남(다사랑 중앙병원) ; 조용래(한림대학교) pp.323-344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3
초록보기
초록

비디오 피드백은 사회불안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며, 인지적 준비절차는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우울수준과 인지적 준비절차가 비디오 피드백으로 인한 발표불안 감소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발표불안수준이 높은 60명의 대학생들을 우울수준에 따라 고저로 나눈 후, 각 집단의 반은 인지적 준비절차를, 나머지 반은 중립적 준비절차를 제공받았다. 연구 결과, 모든 종속측정치들에서 비디오 피드백의 처치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예기불안, 불안관찰 가능성 및 불안관찰에 대한 부담 평정치 등 대부분의 종속측정치에서 우울수준에 따라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가 차별적이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우울수준은 준비절차의 유형에 상관없이 비디오 피드백 처치 후의 발표불안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발표불안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의 처치효과가 발표불안반응에 대한 다양한 종속측정치들에 확장되어 나타날 수 있음을 지지해 주며, 비디오 피드백이 일반적으로 우울수준이 낮은 발표불안 참가자들에게 더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Video feedback has been shown to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social anxiety disorder and cognitive preparation may enhance the beneficial effect of video feedback. The present study purpor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cognitive preparation on public speaking anxiety reduction following video feedback. 60 speech anxious undergraduate students with high and low depression were asked to present a speech before a video camera and received video feedback of their speech. Half of the participants received cognitive preparation prior to the video feedback, whereas the other half received neutral preparation prior to the video feedback. The effects of video feedback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n all dependent measures including ratings of behavioral and somatic response aspects of public speaking anxiety, self-perception of performance, anticipatory anxiety, and likelihood/cost estimate for anxiety appearance was supported. Also, as expected, video feedback produced less beneficial effects for participants with high depression than those with low depression on most of the measures including those of anticipatory anxiety and likelihood/cost estimates for anxiety appearance. However, the cognitive preparation condition was not different from the neutral preparation condition in the effects of depression. Th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conducting video feedback for public speaking anxiety in that they can extend the effects of video feedback by showing that these effects generalized to the measures of anticipatory anxiety and perceived social threat. Moreov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ideo feedback in general is more likely to be helpful to speech anxious participants with low depression.

문제해결기술 훈련의 비행 감소 효과-경미한 비행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현지(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 문경주((주)마음사랑) pp.345-364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미한 비행을 보이는 중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비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문제해결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고, 1개월 후 사후조사에서 비행의 감소여부를 검증하였다. 통제집단으로는 심성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되었다. 서울시 소재 중학교 선생님들로부터 경미한 비행 범주에 포함되는 부적응 행동으로 의뢰된 남녀 학생 총 58명(문제해결기술 훈련 집단 31명, 심성 훈련 집단 27명)에게 한 회기에 120분 씩 5일 연속으로 총 5회기의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문제해결기술 훈련 집단은 가설적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대안수를 생각해 내는 능력과 적절한 대안을 생각해 내는 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심성훈련 집단은 두 가지 항목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1개월 후에 측정한 자기보고식 청소년 비행 척도에서는 문제해결기술훈련 집단의 비행 감소량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고, 성별에서는 남학생 집단의 자기보고 비행 감소량(변화량)이 더 많았다. 교사의 문제행동 적발빈도에서는 집단 간이나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집단 및 성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문제해결기술훈련 집단에서 교사가 평가한 문제행동 적발빈도의 감소량은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보다 더 많았고, 심성훈련 집단에서는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보다 더 많았다. 교사의 문제행동 평가점수에서는 성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해서 여학생 집단의 문제행동평가 점수의 감소량이 더 많았다. 프로그램 자체의 효과,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비행 감소의 관계,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decrease delinquency of the light delinquent adolescent in middle school by performing the Problem Solving Skills Training Program(PSSTP). It was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solving skills training by measuring the degree of improving problem solving skills and decreasing delinquency with comparing the PSSTP to the Human Relations Training Program(HRTP). The data us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total 58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31 PSSTP, 27 HRTP). Programs were conducted five sessions for 5 days consecutively and one session was 120 minu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SSTP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solutions an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blem solving methods than the HRTP group. One month later, in self-report delinquency the PSSTP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elinquency decrease than the HRTP group, and boys'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elinquency decrease than girls'. In the dysfunctional behaviors' frequency of the Teacher's Child Rating Scale(T-CRS), only the interaction-effect between groups and sex was significant. In the PSSTP groups girls showed more decreases of dysfunctional behaviors in T-CRS than boys, in the HRTP groups boys showed more decreases of dysfunctional behaviors in T-CRS than girls. In the dysfunctional behaviors' score of the T-CRS girls showed more decreases than boy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decreasing delinquency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decreasing of delinquency were discussed.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rward study were described.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음성증상의 심도에 따른 관리기능(executive function) 비교
이민영(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 김홍근(대구대학교) pp.365-376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5
초록보기
초록

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성증상과 관리기능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관이 양자간의 특수한(specific) 상관을 반영하는지 아니면 음성증상과 인지기능 사이의 일반화된(generalized) 상관을 반영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 36명을 PANSS 음성증상척도를 사용하여 음성증상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양분하였다. 두 집단 간에 Executive IQ(EIQ)와 Full-scale IQ(FIQ)에서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각각 검증하였다. 음성증상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EIQ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그러나 두 집단 간에 FIQ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음성증상이 높은 환자들은 낮은 환자들에 비해 관리지능은 낮았지만 일반지능은 동등하였다. 이 결과는 음성증상과 관리기능 사이에 특수한 상관이 있음을 제시한다. 음성증상과 관리기능의 특수한 상관은 ‘전두엽이상’이라는 공통된 병리적 요인의 반영일 수 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향후 연구에서는 증상 측정, 신경심리적 측정, 신경영상적 측정의 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Abstract

Prior studies have repor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symptoms and execu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We investigated whether the correlation is specific to executive functioning or reflect a more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Based on PANSS Negative Scale, 36 schizophrenic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ith high negative symptoms (High NS group; n = 18) and the other group with low negative symptoms (Low NS group; n = 18). High NS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 Executive IQ (EIQ) relative to Low NS group. However, the two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Full-scale IQ (FIQ). Thus, High NS group had a selective deficit in executive functioning relative to Low NS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symptoms and executive functioning reflects a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specific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symptoms and executive functioning may reflect a common pathological process, namely, frontal dysfunction.

피학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이태준(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377-389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피학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해서 살펴보고, 학대 유형별로 부적 영향을 완화 시키는 보호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 5개 남녀공학 고등학생 7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학대경험을 가진 청소년 380명을 방임, 적대감 학대, 신체적 학대, 성적 학대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학교생활적응에 대하여 학대경험의 유무에 따른 차이를 검증 한 후 보호요인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학대유형별로 보호요인과 상호작용하여 학교생활적응의 중재효과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대 경험이 있는 집단이 학대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학교생활적응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대유형 중 방임만이 내적통제소재와 사회적지지가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임과 사회적지지의 상호작용, 방임과 내적통제소재의 상호작용, 방임, 사회적지지 그리고 내적통제소재의 상호작용 등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지지만으로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조절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회적지지는 내적 통제를 통해 학교적응을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chool adjustments of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 of 4 types of abuse (parental neglect, parental antipathy, physical abuse, sexual abuse) and explore protective factors which might alleviate negative effects for each abuse type. 785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Seoul and Kyoungki Province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assessing abuse experience (CECA-Q) and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380 adolescents reported that they had an abuse experience. It wa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 on school life adjustment than those with no abuse experi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n interaction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social support, an interaction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an interaction among parental neglect, social support,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explained significantly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 result showed that social support alone didn't moderate school life adjustment of adolescents who has abuse experienc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were shown to play a role as protective factors only in the parental neglect type among four abuse types.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몰두 성향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서승연(가천의과대학 길병원 정신과)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391-405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 이용자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몰두 성향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총 350명을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몰두 척도, 사회적 지지 질문지, 인터넷 중독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상관 분석 및 회귀 분석하였다. 또한, 부가적으로 인터넷 사용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성별, 주된 사용 영역, 사용 시간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주로 사용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별에서는 남성에게서 그리고 영역별로는 주로 상호작용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대화방, 온라인 게임, 동호회 영역에서 위험 및 중독 집단에 속하는 빈도가 높았다. 상관 분석 결과에서는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인터넷 중독과 스트레스 그리고 몰두 성향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용 영역별 상관 분석에서는 영역별로 각기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대화방의 경우는 연구 변인과 인터넷 중독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온라인 게임의 경우는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와 유사한 양상의 상관을 보였다. 동호회의 경우는 일상적 스트레스만이 인터넷 중독과 상관이 있었다. 회귀 분석에서는 일상적 스트레스, 몰두 성향의 순으로 인터넷 중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internet addiction. The Daily Hassles Scale(DHS), Tellegen's Absorption Scale(TAS),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ISEL), demographic data and internet us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35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For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internet addiction, a correlation and a regression are administered. Moreover, for searching internet using state, frequency analysis is administered through investigation into internet user's gender, main application, and using time of internet addiction groups which are composed of non-addictive group, risk group, and addictive group.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s searched by main applications. As a result, risk and addictive group frequently appeared male and applications which are characterized by interaction, such as chatting, on-line game, and community. In an analysis of all the participants, internet addiction significantly correlated hassles and absorption.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different applications, there is a different result by applications. In chatting group, there is not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internet addiction. However, in on-line game group, there are significantly results, which are similar to the result of all the participants. In community group,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hassles and internet addiction. In the regression analysis, hassles and absorption are predictable variables of internet addiction. Finall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included.

신체화 집단의 감정표현불능 증후군 및 대처 손상: 로샤의 인지, 정서, 행동 및 스트레스 관리 분석
박문규(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407-427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로샤 검사를 통하여 신체화 집단의 감정표현불능증과 대처손상 경향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인지, 정서, 행동 및 스트레스 관리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56명의 신체화 집단이 두 가지 규준 자료(한국 정상성인과 미국 정상성인의 규준)와 비교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신체화 집단은 비교집단들에 비하여 전체반응수(R), 인간 반응수(M)가 적었고, 색채반응 총점수(W Sum C)가 낮았다. 또한 신체화 집단은 비교집단들에 비하여 혼합반응수가 적었고, Lambda 점수가 높았으며, 경험실제(EA) 점수가 작았다. 아울러 신체화 집단은 미국 정상성인에 비하여 형태-색채(FC) 반응수가 적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신체화 집단의 감정표현불능증을 암시한다. 게다가 신체화 집단은 심한 대처손상을 나타냈다:(1) EA<6, (2) COP<2, AG<2, (3) W Sum C<2.5, Afr<.46, (4) Pure H<2가 신체화 집단에서 대부분 나타났고, (5) Isolation Index>.24도 신체화 집단 일부에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가 인지, 정서, 행동 및 스트레스 관리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치료에 대한 권고가 제안되었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a) to examine the alexithymic syndrome and coping deficits in somatization group through the Rorschach test and (b) to analyze the results in the aspects of the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stress management. For these purposes, we compared 56 somatization patients with the two normative data: Korean adult norms of Rorschach response provided by Kyung-Jin Shin and Ho-Teak Won(1991) and American those provided by Exner(1990). The results showed that somatization patients had smaller number of R, fewer M responses, lower W Sum C score, fewer blends responses, higher Lambda score and lower EA score than did comparison groups. Also, somatization group showed fewer FC responses than did American adults. These results indicated the alexithymic syndrome in somatizaion group. Besides, somatization patients had severe coping deficits: (1) EA<6, (2) COP<2, AG<2, (3) W Sum C<2.5, Afr<.46, (4) Pure H<2 were appeared in most of somatization patients and (5) Isolation Index>.24 in some of somatization patients. Finally, the results were analysed in the aspects of the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stress management. Based on these analyses, recommendations for treatment were suggeste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증상과 부적응: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명주(부산대학교) pp.429-448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DHD증상과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717명의 아동과 부모, 그리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ADHD증상과 내재화 문제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완전매개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DHD증상과 외현화 문제간의 관계에서도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완전매개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 있어서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ADHD증상이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후 부정적인 자기개념과 낮은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로 이어짐을 시사한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or effects of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the internalizing problem/externalizing problem in community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717 children, parent, and teacher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e equational modeling. The Structure equational modeling revealed tha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of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had superior fit indices to other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HD symptoms and the internalizing problem. In add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HD symptoms and the externalizing problem,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of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had superior fit indices to other model. Gender differences in mediating effect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However, the moderator effect of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DHD symptoms influenced on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negatively, and this influenced on the maladjustment of childre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bout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알코올 및 마약류 의존 집단의 성격적/인지적 특성 비교
최종옥(경기도립의료원 의정부병원) ; 김주희(성신여대 실리학과) ; 송은하(이화의료원 목동병원) pp.449-461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의존 집단과 마약류 의존 집단을 대상으로 MMPI를 통해 성격적 특성을, K-WAIS를 통해 인지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를 통한 임상적 함의를 논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MMPI 하위 척도 중 K척도는 마약류 의존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F, Hs, D, Hy, Pa, Pt, Sc, Si 척도가 모두 알코올 의존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두 집단을 구분하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척도를 알아보기 위한 판별분석결과, Sc, K, Pa, Ma 척도가 판별변인으로 선택되었으며, 이를 통한 전체 정확 판별율은 87.8% 였다. K-WAIS에서는 전체 지능과 언어성 지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마약류 의존 집단의 동작성 지능이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소검사 별 결과에서는 숫자외우기, 차례맞추기, 토막짜기, 모양맞추기, 바꿔쓰기가 마약류 의존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았으며, 바꿔쓰기 소검사가 판별변인으로 선택되었고, 이 판별함수에 의해 75.5%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ompare a trait of character between alcohol and drug dependence patients through MMPI and K-WAIS, and find out that what is the subscale and subtest discriminating between these two group.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e K scale on MMPI of drug patients than that of alcohol patients, and significantly higher F, Hs, D, Hy, Pa, Pt, Sc, Si scales in the alcohol patients than drug patients. As a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Sc, K, Pa, Ma scale that well discriminated these two group.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d that overall percentage of correct classification was 87.8%. Also, on K-WAIS, FSIQ, VIQ, PIQ and 11 subtest measures were used to analysis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Q and VIQ on K-WAIS, but the PIQ of the group of drug abuse patients is so significantly high in the level of p<.05. In the consequence of each subtest, Digit span, Picture Arrangement, Block Design, Object Assembly, Digit Symbol are significantly high in the group of drug abuse and 75.5% out of all the case is accurately classified by the discriminant function. The clinical implif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이준득(서울아산병원 정신과) ; 서수균(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 ; 이훈진(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463-477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 유형을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로 구분하고 두 하위유형의 부정적 정서를 비교하였다. 부정적 정서관련 측정치에는 우울, 분노, 공격성, 적대적 자동적 사고가 포함되었다. 그리고 자기애 성향자의 부정적 정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자기개념 명료성도 측정하였다. 대학생 356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집단과 외현적 자기애 집단, 통제집단을 선발한 후 자기개념 명료성 척도, 우울 질문지,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공격성 질문지, 적대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내현적 자기애 집단은 외현적 자기애 집단보다 더 우울하고 공격적이었으며 분노억제 수준도 높았다. 자기개념 명료성은 내현적 자기애 집단이 외현적 자기애 집단과 통제집단보다 현저히 낮았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자기개념 명료성에 따라 외현적 자기애 집단을 구분하여 공격성 점수의 차이를 검증해 보았을 때, 외현적 자기애 집단 중 자기개념 명료성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더 공격적이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wo narcissistic subtypes, overt and covert, in anger related emotions. The depression, anger, aggression, and hostile automatic thought were measured and compared. Also,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negative emotions was investigated.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cale, the Covert Narcissism Scale, the Self-Concept Clarity Scale, the Zung Depression Scale,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the Hostile Automatic Thought Scale,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356 college students. Then, the covert and overt narcissists were selected by using the NPDS and CNS sco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vert narcissistic group showed lower self-concept clarity, and higher depression, hostility, hostile automatic thought of derogation, trait anger, and anger-repression than the overt narcissistic group. The overt narcissistic group showed more aggression when they had low self-concept clarity. However, the control group showe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concept clarity, and almost all covert narcissists showed lower self-concept clarity.

교정시설내 살인범들의 MMPI 점수에 근거한 규율위반 예측
공정식(수원구치소 분류심사과) ; 이수정(경기대학교) ; 이민식(경기대학교) pp.479-496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살인범들의 교도소내 규율위반 행위를 예측함에 있어 MMPI의 효율성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처음 규율위반까지의 시간을 통제하고 Cox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Pd와 Ma 척도가 규율위반을 효과적으로 예측해내는 척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Pd 척도와 Ma 척도의 점수가 낮을수록 살인재소자들이 빠른 시간 안에 규율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와 같은 추세는 성별과 전과력에 관계없이 일관된 결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Pd 척도의 기능인데, 일반적으로 반사회성은 모든 종류의 위법행위와 연관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는 교정시설 내에서는 반사회적이지 않은 사람들이 초기 구금기간 동안 규율을 위반할 가능성이 오히려 더 높았음을 확인시켜 준다. 이는 초기 규율위반은 구금시설에 익숙하지 않은 부적응의 문제에 기인한 것일 수 있음을 추정하게 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spect that how much subscales of MMPI could predict rule violations in prison for inmates who committed homicide(s). As a result of Cox regression, Pd and Ma measures significantly predicted future rule violations. Inmates with low Pd score and Ma score were likely to violate prison rules when time was controlled. This trend was universal across sex and criminal career. The most interesting finding was prediction direction of Pd subscale. Generally, it is predicted that high level of Pd scale must be related to any kind of rule frictions. However, in correctional facilities, early rule violations are more likely to be observed for people who have low Pd scores. This means that rule violations in prison might not result from ‘antisocial thought’, instead, it must be expressions of maladjustment to the extremely limited living conditions of prisons.

ADHD 하위 유형의 평가에서 굼뜬 인지적 템포와 주의 과제의 진단적 유용성
진선영(부산대학교) ; 홍창희(부산대학교) ; 이명주(부산대학교) pp.497-510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13
초록보기
초록

ADHD 평가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검사들은 ADHD 하위 유형을 구분하지 않거나 복합형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것으로 ADHD 하위 유형의 변별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ADHD 하위 유형을 변별하기 위한 검사로 굼뜬 인지적 템포를 포함한 행동평정 척도와 주의 과제를 제안하고, 이들의 진단적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ADHD 집단은 ADHD 복합형과 ADHD 주의력 결핍 우세형으로 분류되었고, 통제집단으로 ADHD의 진단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아동들이 선발되었다. 이들의 부모 혹은 교사에게 DSM-IV의 ADHD 진단기준과 굼뜬 인지적 템포를 내용으로 하는 행동평정 척도를 평정하게 했다. 아동들에게는 실행기능 검사와 정향 주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행동평정 척도와 주의 과제를 이용한 판별 분석 결과, ADHD 복합형, ADHD 주의력 결핍 우세형, 정상아동의 세집단을 변별하는 진단 정확율이 93.8%였으며, 교차 타당화 집단에서의 진단 정확율도 86.15%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agnostic availability of Sluggish Cognitive Tempo(SCT) and attention task in discriminating ADHD subtypes. Children diagnosed as ADHD at a local hospital were recruited. ADHD was divided into two group, ADHD combined type and ADHD inattentive type. And children from a local elementary school who did not meet any of criteria for ADHD were also included in this study as the control group. Their Parents or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 behavior rating scale consisting of the DSM-IV criteria for ADHD and SCT. The executive inhibition task and the covert orienting task were administerd to children. In Multiple Discrimination analysis, two discriminant function were produced. Function I which differentiate control group and ADHD was characterized by hyperactive/impulsivity. And function II which differentiate combined type and inattentive type was characterized SCT, commission errors, and variable of covert orienting task. Three group demonstrated 93.8% of diagnostic precision rate in behavior rating scale, executive inhibition task & covert orienting task. In cross validation, three group demonstrated 86.15% of diagnostic precision rate in behavior rating scale, executive inhibition task & covert orienting task. This discriminant function effectively and consistently differentiated three group. Finally,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계 그리기 검사(CDT) 양상
이은경(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 이현수(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pp.511-532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시계 그리기 검사 수행양상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시계 그리기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정신분열병집단, 성인우울집단, 노인우울집단, 경도치매집단을 대상으로 CDT를 실시하였으며, 정신분열병집단과 성인우울집단에서는 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성인우울집단과 노인우울집단에서는 CDR, MMSE-K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네 집단은 CDT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오류유형을 분석해본 결과 정신분열병집단이 경도의 치매집단만큼이나 CDT의 수행이 빈약했으며, <너무 큰 시계><원밖에 숫자적기><경도수준의 그리기의 어려움><개념결함><불특정형 배열오류>등의 항목에서 높은 빈도의 오류를 보였다. 따라서 CDT 상으로도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현실검증력의 손상 및 시공간적 구성능력 저하, 경직성, 계획력 결여, 실행기능 약화와 같은 인지 및 사고기능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관분석결과, CDT 수행이 연령, 나이, 언어적 기능과는 유의미하지 않으나, 비언어적 기능과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CDT를 통해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사고혼란과 인지기능의 손상을 살펴봄으로써 CDT가 치매환자 뿐만 아니라 정신증적 환자들의 사고특성과 인지적 결함을 선별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clinical utility of CDT by analyzing aspects of CD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CDT was administered to seventy schizophrenics, fifty adult depression patients, thirty elderly depression patients, and thirty mild dementia patients. Additionally, K-WAIS(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was administered to schizophrenics and adult depression patients, and CDR(Clinical Dementia Rating), and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were administered to elderly depression patients and mild dementia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difference of CDT total scores among these four group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error type analysis of CDT,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higher frequency even than mild dementia patients in <big size figure><all numbers in closure figure><conceptual error><spatial and planing error>. It was thought that CDT has ability to measure schizophrenics' cognitive deficits in reality testing, visuo-spatial function, cognitive flexibility, planning, and executive funct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CDT has the clinical utility in differentiating schizophrenic patients as well as mild dementia patients. Additionally, the CDT score was no correlations with age, education, and verbal IQ; however,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CDT score and performance IQ and total IQ. Finally, the sugges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Brief Report>한국판 적대적 자동적 사고 척도의 타당화 연구
서수균(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 pp.533-544 https://doi.org/10.15842/kjcp.2007.26.2.015
초록보기
초록

적대적 자동적사고 척도(Hostile Automatic Thought Scale: HAT)는 타인에 대한 적대적인 생각을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된 척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척도의 한국판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서 대학생 419명에게 HAT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216명에게는 상관분석을 위해서 공격성질문지,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일차적/이차적 분노사고 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HAT의 3요인(신체적 공격성, 타인비하, 보복)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HAT는 높은 수준의 내적합치도를 보였으며, 분노표출/억제, 신체적/언어적 공격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에 분노통제와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보여 양호한 수렴/변별 타당도를 보였다. HAT가 타인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를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The Hostile Automatic Thought Scale(HAT) was developed to measure hostile thinking toward oth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HAT. The HAT was administrated to 419 undergraduate students for factor analysis, and 216 students among these students completed Aggression Questionnair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Primary/Secondary Anger Thought Scale with HAT for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3 factor(Physical aggression, Derogation, Revenge) model of HAT was supported satisfactorily. The HAT correlated moderately with Anger-Out/In and Physical/Verbal Aggression, but did not correlate with Anger-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satisfactor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T Scale. The HAT seems to be a useful scale that measures hostile attitude toward other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