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Effects of Depression, The sense of crisis, Self-differentiation, Social Support, Internal Family Systems on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위기감, 자아분화, 사회적 지지, 내적가족체계(Internal Family Systems; IFS) 등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에 고려해야만 하는 주요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0-60세 여성 75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중다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주요예측변인으로는 IFS, 사회적 지지, 자아분화, 우울, 위기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우울, 위기감, 자아분화, 사회적 지지, IFS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직접,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울, 자아분화, 사회적 지지, IFS가 자아정체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사회적 지지와 IFS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IFS는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기감은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직접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중년여성의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고 그들의 내적가족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은 증진될 수 있다.

keywords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depression, the sense of crisis, self-differentiation, social support, internal family systems,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depression, the sense of crisis, self-differentiation, social support, internal family systems,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내적가족체계, 사회적 지지, 우울, 자아분화오늘날 산업화로 인한 생활의 향상은 생산층인 중년들을 더 이상 의식주의 기본욕구 충족만으로 만족시키지 못하고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추구하게 하였다. 나아가 인생주기의 각 단계마다 만족된 삶을 지향하고자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중년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중년기 이후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중년기에 관한 연구도 생애발달주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 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had effects on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The participants were 755 middle-aged women whose age was from 40 to 60 years old.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assessments of ego-identity, depression, the sense of crisis, self-differentiation, social support, internal family systems and the questionnaire of demographic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Path-Analysis. The findings of the first stage were as follows: 1)Predictors of ego-identity of the middle-aged women ordered internal family systems, social support, self-differentiation, depression, and the sense of crisis; 2)social support, internal family systems,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had direct effects on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The sense of crisis did not directly influence ego-ident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were discussed.

keywords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depression, the sense of crisis, self-differentiation, social support, internal family systems,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depression, the sense of crisis, self-differentiation, social support, internal family systems,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내적가족체계, 사회적 지지, 우울, 자아분화오늘날 산업화로 인한 생활의 향상은 생산층인 중년들을 더 이상 의식주의 기본욕구 충족만으로 만족시키지 못하고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추구하게 하였다. 나아가 인생주기의 각 단계마다 만족된 삶을 지향하고자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중년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중년기 이후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중년기에 관한 연구도 생애발달주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 되

참고문헌

1.

강정희 (1996).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 적응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고인균 (1987). 중년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증에 관한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명자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명자 (1991). 중년기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과 위기감. 대한가정학회지, 29(1), 203-216.

5.

김명자, 박성연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1), 97-118.

6.

김애순, 윤진 (1993). 중년기 위기감(1): 그 시기 확인 및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3(1), 1-16.

7.

김영애, 정문자, 송성자, 제석봉, 심혜숙, 김정택, 정석환, 김계현, 이관직 (2002).

8.

김은아 (1992). 중년기 부인의 자아정체감과 생의 의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주 (1994).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화 (1991).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현화, 조병은 (1992).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1), 207-228.

12.

김혜영, 고효정 (1998). 중년기 여성의 우울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3(2), 117-138.

13.

박경숙 (1991). 중년기 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폐경에 대한 태도와 성역할정체감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65-80.

14.

박아청 (1996a).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5(1), 140-162.

15.

박아청 (2003). 여성의 자아구조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1-17.

16.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서봉연 (1975).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심리적 일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송정아 (1996). 사회심리적 변인에 의한 중년기 부부의 위기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1), 79-92.

19.

신기영 (1991). 중년기주부의 위기감과 사회관계망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161-178.

20.

신기영, 옥선화 (1991). 중년기의 위기감과 사회관계망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 161-178

21.

신태수 (1986). 성인기의 자아정체감과 개인적 특성과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오명옥, 고효정, 박청자 (2000).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4(1), 17-31.

23.

윤기덕 (2004). 중년기에 나타나는 가정의 위기와 극복을 위한 방안연구.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경혜 (1996). 중년여성의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요인간의 인과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미간행).

25.

이경혜 (1997). 중년 기혼여성의 역할적응과 자아정체성 형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경희 (2005). 중년여성의 자아분화와 자아정체감과의 발달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상돈, 조숙행, 곽동일 (1990). 입원한 내과환자에서의 우울과 불안정도. 신경정신의학, 29(2).

28.

이정기 (1988). 청년의 자아정체감이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진욱, 김임, 이선미, 은헌정, 김동인(1997). 중년기 우울증 여성의 생활사건, 대처방식, 사회적지지 및 가족관계. 대한신경정신의학, 36(4), 620-629.

30.

임효영, 김경신 (2001).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 지원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12), 189-203.

31.

전정자, 권영은 (1994). 중년기 여성의 자아개념과 갱년기 증상과의 관계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6(1), 48-57.

32.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3.

차영남 (2001). 중년기 우울 여성을 위한 대처자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최광선 (1997). 중년기 여성이 보고하는 자아정체감의 변화-전업주부, 간호사, 교사에 대한 직종별 비교-. 사회과학, 9, 159-182.

35.

최애선 (2002).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홍무, 염태준, 신영우, 김교현, 윤도균, 정근재 (1986).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표준화연구. 신경정신의학, 25(3), 487-500.

37.

Brim, O. G. (1976). Theories of the mid-life crisis. The Counseling Psychology, 6, 2-9.

38.

Costa, P., & McCrae R. (1980).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3, New York: Academic Press.

39.

Farrell, M. P., & Rosenberg, S. D. (1981). Men at Midlife. New York: John & Sons.

40.

Jung, C. G. (1971). The Stage of life. in J. Campbell (ed.), The Portable Jung. New York: Viking(Original work published in 1933).

41.

Kaplan, B. H. (1977).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d. 15, 47-58.

42.

Kear, J. (1978). Marital satisfaction and attraction as a func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of psychology, Fresno Campus.

43.

Keyes, C. L. M. & Ryff, C. D. (1999).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In S. L. Willis & J. D. Reid(Eds.). San Diego: Academic Press, Life in the middle, 161-180.

44.

Levinson, D. J., Darrow, C. N., Klein, M. H., Levinson, M. H., & Mckee, B. (1978). The seasons of a men's life. New York: Altred Knopf, Inc.

45.

McCrae & Costa (1984).

46.

Moen, P., & Wethington, E. (1999). Midlife development in a life course context; Life in the middle. San Diego: Academic Press, 3-23.

47.

Neugarten, B. L. (1975). Middle age and ag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8.

Nichols, M. P., & Schwartz, R. C. (2004).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6th edition. Boston: Allyn and Bacon.

49.

O'Neil, L. F., Strongin, D. L., & Schwartz, R. C. (2004).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scale based on the internal family systems model. Journal of Self Leadership. 1(1), 1-32.

50.

Schwartz, R. C. (1995).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51.

Schwartz, R. C. (1999). The self-to-self connection: Intimacy and the internal family systems model. In J. Carlson & I. Sperry (Eds.), The intimate couple. Philadelphia, PA: Bruner- Mazel.

52.

Schwartz, R. C. (2001).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In J. Carlson & D. Kjos (Eds.), Theories and methods of family therapy. Boston, MA: Allyn & Bacon.

53.

Schwartz, R. C., & Johnson, S. M. (2000). Does couple and family therapy have emotional intelligence? Family Process, 39, 29-34.

54.

Thoits, P. (1983). Multiple identities and psychological welling: A reformulation and test of the social isolation hypothe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174-187.

55.

Vanderkooi. I., & Handelman. M. M. (1984). Toward an integration of jungian and Bowen perspectives on psychotherapy. Family Therapy. 6, 615-623.

56.

Wasaha, S., & Angelopoulos, F. M. (1996). What every women should know about menopaus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96(1), 25-32.

57.

Washington, O. (1999). Effects of cognitive and experimental group therapy 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employability of chemically dependent women. Issues Mental Health Nursing, 20, 181-198.

58.

Wilmoth, M. C. (1996). The middle years: women, sexuality and the self.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5(7), 615- 62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