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Adjustment: The Mediator Effects of Depression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자아분화, 우울, 결혼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적응을 보다 잘한다는 선행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분화 수준이 우울을 매개로 하여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기혼여성 353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결혼적응 하위변인에 공통적으로 자아분화 하위변인인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아분화 하위변인인 가족투사,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은 우울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셋째, 자아분화와 결혼적응 간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아분화가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들의 효과적인 결혼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differentiation of self, depression, marital adjustment, 자아분화, 결혼적응, 우울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to inspect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iation of self, depression, marital adjustment, to find the mediational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adjustment. That is, if there is more differentiation of self, then depression might decrease, and hope would increase, which might be helpful to marital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353 married women.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revealed as belows : Firstly, we found that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a commonly identified sub dimens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fluences each sub‐variation of marital adjustment. Secondly, we found that, when another dimension is controlled, as sub varia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family projection, and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significantly predicts depression. Thirdly, we found that depression has a role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adjus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we examined the process that differentiation of self affect marital adjustment. Comprehension of this process has the potential to help the adjustment of people who have insufficient differentiation of self.

keywords
differentiation of self, depression, marital adjustment, 자아분화, 결혼적응, 우울

참고문헌

1.

김양희, 박정윤, 최유경 (2003). 기혼남녀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결혼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생활과학 논집, Vol. 18, 49-63.

2.

김영일 (2006). 성인 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용태 (2000). 가족치료 이론. 학지사.

4.

김유숙 (1998).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5.

김희수 (1993).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결혼 만족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권정혜ㆍ채규만 (2000). 부부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2), 207-218.

7.

박수선 (1996).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자아분화 수준과 결혼 만족도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민식, 김중술 (1995). 부부관계 적응 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 ‘95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91-299.

9.

이원옥 (2003). 가족체계 유형과 미혼성인의 자아분화, 우울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현주 (1997). 부부의 자아분화 정도와 갈등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165-176.

12.

전길량 (1988). 자기개발과 부부적응에 관한 상관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전춘애 (1993).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지각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정석희 (1992). 부부관계증진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이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적응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지혜정 (2002).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의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조은경 (2001).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갈등대처 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조은정, 정혜정 (2002). 기혼 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갈등대처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20(1), 1-16.

19.

최연실 역 (1995). 새로 보는 가족관계학. 하우.

20.

한미향 (2000). 부부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Adams, B. N. (1980). The family a socialogical interpretation(3rd ed). Chicago: Rand Mcnally Publishing Co.

22.

Benard, J. (1933). An instrument for measurement of success in marriage. Publication of American Sociological Society, 27, 94-106.

23.

Bowen, M. (1972).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 D. Jackson (Eds). In family interaction: A dialogue between family researchers and family therapist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24.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P. J. Guerin (Eds.). Family Therapy, New York: Gardner Press.

25.

Burgess, E. W., & Cottrell, L. S. (1939). Predicting success or failure in marriage. New York: Prentice-Hall.

26.

Burgess, E. W., & Wallin, P. (1953). Engagement and marriage, Lippinott(Chicago).

27.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28.

Elieson, M. V., & Rubin, L. J. (2001).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s: A test of Bowen theory. Family therapy, 28, 125-142.

29.

Garfinkel, H. N. (1980). Family system personality progile: An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Bowen theory. Unpu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30.

Goering, P. N., Lancee, W. J., & Freeman, S. J. (1992). Marital support and recovery from depressio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0, 76-82.

31.

Greene, G. J., Hamilton, N., & Rolling, M. (1986).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sychiatric diagnosis: An empirical study. Family Process, 13, 187-196.

32.

Kear, J. (1978). Marital satisfaction and attraction as a func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of Psychology, Fresno Campus.

33.

Kerr, M. E., & M. Bowen. (1988). Family Evaluation,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34.

Mee-Gaik, Ng. (1991).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healthy like, healthy unlike, unhealthy like, unhealthy unlik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35.

Mee-Gaik, Lim., & Jennings, G. H. (1996). Marital satisfaction of healthy differentiated and undifferentiated couples.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4(4), 308-315.

36.

Monore, S. M., Bromet, E. G., Connell, M. M., & Steiner, S. C. (1986). Social support,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A one year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903-908.

37.

Nolen-Hoeksema, S., & Rusting, C. L. (1999). Gender differences in well-being.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pp. 330-352).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38.

Reifman, A. (1986). Emotional cutoff and the qualities of intimate relation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ity.

39.

Rounsaville, B. J., Weissman, M. M., Prusoff, B. A., & Herceg-Baron, R. L. (1979). Marital disputes and treatment outcome in depressed women. Comprehensive Psychiatry, 20, 483-490.

40.

Skowron, E. A. (2000). The role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229-237.

41.

Spanier, G. B. (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15-28.

42.

Spanier, G. B., & Filsinger, E. E. (1983). The dyadic adjustment scale. In E. E. Filsinger (Eds.). Marriage and Family Assessment. Beverly Hills Sage Pub. Inc.

43.

Vander Kooi, I. K., & Handelsman, M. M. (1984). Toward an integration of Jungian and Bowen perspectives on psychotherapy, Family therapy, 6(3). 217-227.

44.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56-75. Newburry Park, CA: Sag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