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처벌 기준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효과: 남여차이

The Influence of Punishment Goal on Sentencing: Gender Differences

초록

본 연구는 범죄사건에 대한 사람들의 처벌 기준들이 양형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양형결정에 미치는 처벌 기준들의 영향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2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력범죄(살인, 폭행, 유괴)와 재산범죄(절도, 사기, 재물손괴)에 대한 간단한 사례를 제시하고 이 같은 범죄 행동에 대한 가치적 기준과 처벌 목적과 관련된 기준 즉, 진화적 기준, 도덕적 기준, 법률적 기준, 그리고 응보적 기준에서의 판단과 그 같은 범죄를 저지른 범죄자에게 부여할 양형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남자들에 비해 여자들이 범죄에 대해 진화적 기준, 도덕적 기준, 그리고 응보적 기준에서 더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양형 판단에서는 남여차이가 없었다. 양형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적 기준들과 응보 요인이 남여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범죄유형에서 남여 모두 응보적 기준이 유의미한 설명 변수이었다. 다만, 여자들은 여기에 더해 강력범죄의 경우, 도덕적 기준 역시 유의미한 영향 변수로 나타나 성차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 되었다.

keywords
양형판단의 성차, 처벌기준, 처벌철학, 성차, 양형, gender difference of sentencing, punishment goal, penal philosophy, gender difference, sentencing

Abstract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lue judgement and punishment goal on sentencing depending on gender. For this ai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students. They sentenced of felony cases(murder, assault, kidnapping) and property crime(larceny, fraud, destruction) and made judgments on their value and punishment goals of those cases. The result shows the strong gender effects in the judgments of the evolutional and moral value of crime and retribution goals. However,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in sentencing.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value judgement and punishment goal on sentencing depending on gender. As results, retribution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criterion variable both for men and women. Moreover, the moral value of crime was another significant criterion variable for women in sentencing felony.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양형판단의 성차, 처벌기준, 처벌철학, 성차, 양형, gender difference of sentencing, punishment goal, penal philosophy, gender difference, sentencing

참고문헌

1.

김지현 (1992). 법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선고목적 선호와 형량결정 과정에 미치는 선고맥락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재홍 (1991). 잘못, 책임 및 처벌 : 처벌판단에 관한 한 가상적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6, 1-21.

3.

고재홍 (1994). 가해자 외모와 형량판단간의 매개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8, 68-84.

4.

고재홍 (1995). 처벌크기 판단에 관여하는 정보들의 통합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9, 29-50.

5.

고재홍 (1996). 책임판단 연구의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10, 1-20.

6.

고재홍, 백상철 (1994). 범죄유형에 따른 처벌기준의 사용차이. 사회과학연구 6(경남대 사회과학연구소 편), 77-88.

7.

김범준 (2007). 강간범죄에 대한 위험도 인식과 가치판단에 관한 연구:남여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3). 1-17.

8.

문성우 (2007). 비슷한 범죄엔 비슷한 처벌...‘법 앞의 평등’ 구현. 국정브리핑. 2007년 5월 25일자.

9.

박은영 (2007). 범죄자 처벌의 심성모형이 형량판단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법무 연수원 (2006). 법무백서. 법무 연수원.

11.

손철우 (2008). 형벌의 목적과 양형기준의 목적. 양형위원회 전문위원보고서.

12.

이윤호 (2002). 범죄학 개론. 서울:박영사.

13.

이재상 (1994). 형벌목적과 양형. 형사정책연구소식, 26, 2-4.

14.

이천현 (2007). 형벌의 본질과 목적-양형기준과 관련하여. 양형위원회 전문위원보고서.

15.

전병재 (1996). 법, 도덕, 그리고 윤리. 형사정책연구소식, 36, 2-3.

16.

정영일 (2003). 형법총론. 서울: 박영사.

17.

조은경 (2003).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1-21.

18.

최석윤 (2007). 양형위원회와 양형이론. 형사정책연구, 18(3), 421-440.

19.

최종고 (2005). 법철학, 제2판. 서울: 박영사.

20.

황인정 (2007). 범죄 피해자와 범죄 판단자의 성별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2(2), 107-121.

21.

Bowker, L. H. (1978). Women, crime,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Lexington, MA: Health.

22.

Carlsmith, K. M. (2006). The roles of retribution and utility in determining punishmen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2, 437-451.

23.

Carlsmith, K. M., Darley, J. M., & Robinson, P. H. (2002). Why Do We Punish? Deterrence and Just Deserts as Motives for Punis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2), 284-299.

24.

Darley, J. M., Carlsmith, K. M., & Robinson, P. H. (2000). Incapacitation and Just Deserts as Motives for Punishment. Law and Human Behavior, 24(6), 659-683.

25.

Darwin, C. (1987). 종의 기원, 해설판 [The Origin of Species]. (소현수 역). 서울: 종로서적 (원전은 1859에 출판).

26.

Drout, C. E., & Gaertner, S. (1994). Gender differences in reactions to female victim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22, 267-278.

27.

Garofalo, J. (1977). Public opinion about crime: The attitudes of victims and non-victims in selected cities. National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and Statistics Service, Law Enforcement Assistance Adminstration, U. S. Department of Justice, Washington, D. C.

28.

Goodwin, C. J. (2005). 현대심리학사 [A History of Modern Psychology]. (박소현, 문양호, 김문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1999에 출판).

29.

Greenberg, M. S., & Ruback, R. B. (1982). Social psychology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Pacific Grove, CA: Brooks/Cole.

30.

Haskell, M. R., & Yablonsky, L. (1983). Criminology: Crime and criminality. Boston, MA: Houghton Mifflin Company.

31.

Hogarth, J. (1971). Sentencing as a human process.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2.

Hyde, J. S. (2007).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gend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 259-263.

33.

Kaplan, J. (1996). Criminal law. Boston: Little, Brown.

34.

Killias, M. (1990). Vulnerability: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a key variable in the genesis of fear of crime. Violence and Victims, 5, 97-108.

35.

Lapsley, D. K. (2000). 도덕 심리학 [Moral psychology]. (문용린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36.

Maxfield, M (1984). The limits of vulnerability in explaining fear of crime: A comparative neighborhood analysi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21, 233-250.

37.

McFatter, R. M. (1978). Sentencing strategies and justice: Effects of Punishment Philosophy on Sentencing Decis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12), 1490-1500.

38.

McFatter, R. M. (1982). Purposes of Punishment: Effects of Utilities of Criminal Sanctions on Perceived Appropriat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3), 255-267.

39.

Moulds, E. F. (1978). Chivalry and Paternalism: Disparities of treatmen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Western Political Science Quarterly, 31, 416-440.

40.

Newman, G. (1997). 서양형벌사 [The Punishment Response]. (이경재 역). 서울: 길안사 (원전은 1985에 출판).

41.

Siegel, L. J. (2008). 범죄학 이론과 유형 [Criminology: Theories, Patterns, and Typologies (9th ed.)]. (이민식, 김상원, 박정선, 신동준, 윤옥경, 이성식, 황성현 역). 서울: Cengage Learning Ltd (원전은 2007에 출판).

42.

Streng, F. (1994). 양형의 형벌이론적 기초 [Straftheoretische Grundlagen der Strafzumessung]. (정현미 역). 형사정책연구. 5(4)(통권 제20호), 5-2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