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Byung(HB)has been known as a form of psychogenic illness among lay people in Korea and recently been listed as a culture-bound syndrome of Korea in DSM-IV. HB patients have various psychological and somatic symptoms such as chest discomfort, a sensation of heat, and the sensation of having an epigastric mass. In the current study, we examin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B patients. Participants were 38 outpatients visiting the depression clinic and the Hwa-Byung clinic and 20 normal adults. The structured interviews(SCID-I, HBDIS) were first administered to determine the diagnosis of participants and MMPI-2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 code type was not found but HB patients showed elevated scores on the 2(D), 7(Pt) scales over 65T score. And other clinical scales like 3(Hy), 8(Sc), 4(Pd), 6(Pa) were elevated over 60T score. It indicated that HB is complex syndrome with wide variety of psychological disturbances other tha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s.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and clin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구병수, 김동일 (1997). 홧병 연구에 대한 검토와 전망. 동국논총 36. 265-283.
권석만 (1996). 임상심리학에서의 비교 문화적 연구: 정신병리에 나타난 한국문화와 한국인의특성. 한국심리학회 창립 50주년 동계 연구세미나.
권석만 (200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권정혜, 김종우, 박동건, 이민수, 민성길, 권호인 (2008). 화병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237-252.
김광일 (1977). 우울증의 증후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16(1), 46-60.
김종우, 전겸구, & 박훈기. (1998). 홧병 환자와 고혈압 환자의 질병표상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1), 114-128.
김종우 (2007). 화병으로부터의 해방. 서울: 여성신문사.
김종우, 권정혜, 이민수, 박동건 (2004). 화병면담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321-331.
김종우, 이조희, 이승기, 엄효진, 황의완 (1996). 홧병에 대한 임상적 연구-한의학적 홧병 모델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연구, 4(2), 23-32.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2005). 다면적 인성검사Ⅱ 매뉴얼. 서울: (주)마음사랑.
민성길 (1989). 홧병(火病)의 개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8(4), 604-616.
민성길, 남궁기, 이호형 (1990). 홧병에 대한 일 역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29(4). 867-874.
민성길, 박청산, 한정옥 (1993). 홧병에 있어서의 방어기제와 대응전략. 신경정신의학, 32(4), 506-515.
박애순 (1998). 홧병집단과 우울증 집단의 부부갈등, 인지적 평가 및 대처방식.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박지환, 민성길, 이만홍. (1997). 홧병에 대한 진단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6(3), 496-501.
이시형 (1977). 홧병에 대한 연구. 고려병원잡지 고의, 1(2), 63-69.
이시형, 조소연, 이성희 (1989). 울화병으로서의 화병 형성기전. 고려병원잡지 고의, 12, 151-156.
이정균 (1974). 한국인의 MMPI에 관한 연구-우울증의 MMPI. 신경정신의학, 13(1), 11-15.
전겸구, 황의완, 김종우, 박훈기 (1998). 홧병과 정서적 스트레스간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170-187.
최상진 (2000). 한국인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최정윤, 정진복 (1991). 우울증 환자의 MMPI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34-41.
한오수, 홍진표 (2000). DSM-IV의 제 1축 장애의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 SCID-1. 서울: 하나의학사.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Donnelly, E. R., Murphy, D. L., & Goodwin, R. K. (1976).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comparisons of bipolar and unipolar depressed groups on the MMPI.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 233-237.
Graham, J. R., Timbrook, R. E., Ben-Porath, Y. S., & Butcher, J. N. (1991). Code-type congruence between MMPI and MMPI-2: Seperating fact from artifac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7, 264-277.
Graham, J. R. (2007). MMPI-2 성격및 정신병리 평가 (이훈진, 문혜신, 박현진, 유성진, 김지영 역, Trans. 4th ed.).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5년에 출판)
Lin, K. M. (1983). Hwa-Byung: A Korean culture-bound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0(1), 105-107.
Lin, K. M., Lau, J. K., Yamamoto, J., Zheng, Y. P., Kim, H. S., Cho, K. H., et al. (1992). Hwa-Byung: A community study of Korean Americans. Journal of Nerve Mental Disorders, 180(6), 386-391.
Pang, K. Y. (1990). Hwa-Byung: The construction of a korean popular illness among Korean elderly immigrant women in the United States.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14, 495-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