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s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s Making Levels for North Korean females Refugees: Compared with South Korean femal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such as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s 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s Making Levels of North Korean females compared with those of South Korean females, and also to research the Career Decisions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s Making Levels affected by Career Barriers.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career variables to provide North Korean females Refugees with basic information services for career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s 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s Making Levels are analyzed for each of the groups, North Korean females Refugees and South Korean females. The overall Carrer Barriers makes no differences but the sub-factors, ‘the preparation lack of labor markets and the limits and low expectations of labor markets’ are significant. That is, North Korean females Refugees'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s Making Self-Efficacy are higher than those of South Korean females and their Career Decisions Making Levels are lower than those of South Korean females. Second, it is analyzed how much influence Career Barriers have on Career Decisions 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s Making Levels. The survey says, as Career Barriers, the 29.6% of North Korean females Refugees and 41.1% of South Korean females regarding the Career Decisions Making Self-Efficacy, and 20.9% of North Korean females Refugees and 38.7% of South Korean females regarding Career Decisions Making Levels. North Korean females Refugees' explanationablity of all of the variables is lower than that of South Korean females. The last part of the research is the meanings of the research and the suggestions.

keywords
North Korean females Refugees, South Korean females,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s Making Self- Efficacy, Career Decisions Making Levels, 탈북여성, 남한여성,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Reference

1.

강일규, 김종우 (2007). 새터민 직업훈련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강정은 (2008). 진로장벽, 심리적 독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고향자 (1992). 한국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경미 (2002).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미령 (2005). 북한이탈주민이 인지한 적응의 어려움과 극복자원이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 95-124.

6.

김봉환 (2007). 집단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지각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8(4), 1453-1465.

7.

김선중 (2005).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은영 (2001). 한국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영경 (2008). 대학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91-1210.

10.

김현아 (2004). 북한이탈주민의 품행장애 행동과 성격적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2(1). 105-168.

11.

노경란, 안혜영, 전연숙, 김임태, 김선화 (2008). 북한이탈주민 노동시장 진입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12.

노경란, 전연숙, 김임태, 손종욱, 편도인 (2007). 북한이탈주민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13.

노경란, 전연숙 (2009). 입국초기 북한이탈주민 대상 단기 진로개발교육 효과 연구: 학습자의 진로인식수준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8(1), 245-276.

14.

선한승, 강일규, 김영윤, 윤인진, 이영훈, 정성훈, 김화순 (2005).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15.

손은령 (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손은령, 손진희 (2005).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사회인지진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99-417.

17.

이기학, 이학주 (2000).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18.

이금순, 강신창, 김병로, 김수암, 안혜영, 오승렬, 윤여상, 이우영, 임순희, 최의철 (2003).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19.

이성식 (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성재 (2003).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지도 현황과 개선방안.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은진 (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양지윤 (2008). 여성 새터민의 노동시장에서의 차별과 배제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전연숙 (2003). 북한이탈주민 취업지원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정민, 노안영 (2008).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391 -405

25.

조성연, 문미란 (2006). 성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731-748

26.

황매향, 이은설, 유성경 (2005).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상담학연구. 6(4). 1205-1223

27.

허선행, 윤여상 (2008). 2008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실태조사. 서울: 북한인권정보센터.

28.

허은영 (2009).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진로지도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허은영, 강혜영 (2007). 탈북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비교. 상담학연구. 8(4). 1485-1500

30.

최영숙 (2004). 진로장벽에 직면한 직업복귀 여성의 진로타협유형 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통계청. http://www.kosis.kr/html/autoJipyo/jipyo_h_ view.jsp

32.

통일부 (2008). 내부자료

33.

Bandura (1977). Sei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4.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47-57.

35.

Brown, S. D., & Lent, R. W. (1996). A social cognitive framework for career choice counseling.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4, 354-366.

36.

Gottfredson, G. D.(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Hackette,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s, 18, 326-339.

38.

Luzzo, D. A., & Hutcheson, K. G. (1996). Casual attributions and sex differences associated with perceptions of occupational barrier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5, 124-130.

39.

Luzzo, D. A., & Jenkins, S. A. (1996). Perceived occupational barriers among mexican-american college students. TCA-Journal. 24(1). 1-8.

40.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s, 45, pp. 79-122.

41.

Osipow, S. H., Camey, C. G., & Barak, A. (1976).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2), 233-243.

42.

Swanson, J. L., Daniels, K. K., & Tokar, D. M. (1996) Measuring perceptions of career-related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pp. 219-244.

43.

Swanson, J. L., & Woitke, M. B. (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 443-462.

44.

Taylor, K. M., & Betz, N.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