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Factor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 adults: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achievement, success of children, emo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among Korean adults. To this end, we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monthly income, position in a company, type of occupation, occupational achievement, marital status, single or double income family, number of children, and the success of children. Second, we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gender in the experience of happiness, especially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uccess and success of children among employed men and women and housewives. A total of 313 adults (men=133, women=180) living in three different neighborhood differing in socio-economic statu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that includes Bandura's (1995) resiliency of efficacy, emotional support and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and background information(Cronbach a =.84~.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test and ANOVA analyses revealed that for both men and women, thos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monthly income, professional occupations, occupational achievement, and success of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happiness. Although marital status of men did not influence their level of happiness, the widowers had the highest level of happiness for women. Second, i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happines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monthly income, age, education, emotional support, resiliency of efficacy, occupational success and success of children as predictors, emotional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happiness for men, followed by occupational success. For housewives, the success of their children, followed by monthly income were predictive of their happiness. For employed women, resiliency of efficacy was predictive of their happiness.

keywords
행복, 성차,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 자기효능감, 월평균 수입, happiness, gender difference, occupational success, success of children, emotional support, self-efficacy, monthly income

Reference

1.

강혜련, 최서연 (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2.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3.

김명소, 김혜원 (2000).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념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4.

김명소, 성은현, 김혜원 (1999). 한국 기혼여성들의 성격 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41~55.

5.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 기혼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1~14.

6.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7.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8.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4), 1-36.

9.

김의철, 홍천수, 이정권, 박영신 (2005).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2), 143~181.

10.

김혜원, 김명소 (1998). 취업이 기혼여성에게 주는 심리적 영향: 성역할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3(1), 35~50.

11.

박수정 (2009). 스포츠와 행복 추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241~250.

12.

박영신, 김의철 (2002). 한국 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6(4), 325-351.

13.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문화심리학총서 제 5권. 서울: 교육과학사.

14.

박영신, 김의철 (2008).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71~101.

15.

박영신, 김의철 (2009).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95~132.

16.

박영신, 김의철, 박은실 (2009). 사회적 지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성취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사에 대한 단기 종단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3(3), 413~442.

17.

서경현, 김정호, 유제민 (2008). 성격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Big 5 성격요인과 BAS /BIS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169~186.

18.

서은국 (2005). 왜 한국인의 행복감은 낮은가? 2005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사회문제심리분과 심포지엄 자료집.

19.

조옥경 (2009). 요가심리학과 긍정적 정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227~239.

20.

유가효 (2008). 성인기의 사랑과 친밀감. 2008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21.

이명신, 이훈구 (1997). 주관적 삶의 질에 나타난 성차의 원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 89~101.

22.

이종구, 이해경, 김명소 (2003). 한국 여성의 자아개념의 요인구조와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2), 1~19.

23.

이혜성 (1998). 한국 여성의 심리적 특성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3(1), 103~116.

24.

정옥분 (2008). 성공적인 노화. 2008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25.

차영란, 김기범, 전경숙 (2007).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속의 사회적 역할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99~313.

26.

한덕웅 (2005). 한국문화에서 주관안녕과 관련된 사회심리 요인들. 2005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사회문제심리분과 심포지엄 자료집.

27.

한덕웅, 김금미 (2004). 성별에 따른 한국문화 인식과 공동사회 가치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1), 23~42.

28.

한 민, 한성열 (2008). 신명나는 삶: 한국 사람들의 행복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81~94.

29.

Bandura, A. (1995). Manual for the construction of self-efficacy scales. Unpublished manuscript, Dept. of Psychology, Stanford University, USA.

30.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31.

Diener, E. & Suh, E. M. (Eds.). (2000).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Cambridge: The MIT Press.

32.

House, J. S., Landis, K. R., & Umberson, D. (1988).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Science, 241, 540~545.

33.

Kim, U., & Park, Y. S. (2006).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in relational cultures: The role of self, relational and collective efficacy.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267~285.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34.

Kim, U., Yang, K. S., & Hwang, K. K. (2006).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New York: Springer.

35.

Lucas, R. E., & Gohm, C. L. (2000). Age and sex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across cultures. In E. Diener, & E. M. Suh (Eds.).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291~317. Cambridge: The MIT Press.

36.

Nolen-Hoeksema, S., & Rusting, C. L. (1999). Gender differences in well-being. In D. Kahneman,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330~352.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