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성 알코올 의존자의 중독 과정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The process of addiction among alcohol dependent females -Focusing on Grounded Theory approach-

초록

본 연구는 ‘여성 알코올 의존자의 중독과정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DSM-Ⅳ-TR(2000)의 진단기준에 의하여 알코올 의존으로 진단받고 알코올 병동에 입원한 경력을 가진 여성 알코올 의존자 14명을 심층 면담하였고,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참여자의 면담내용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개방코딩 과정을 통하여 개념, 하위범주, 범주를 도출한 다음,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면서 다양한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축코딩을 하였다. 그리고 선택코딩을 통하여 여성 알코올 의존자 중독과정의 핵심범주를 파악하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각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근거이론으로 개발하였다. 핵심범주로 “잠시나마 과거와 현재의 심리적 고통을 잊는 과정”이 도출되었고 이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절제 안 되는 음주행동을 하며 점차 술에 의존하는 단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잠시나마 과거와 현재의 심리적 고통을 잊는 과정’은 여성 알코올 의존자들에게 중독과정 이론을 응용한 실제 프로그램 개발에 하나의 기틀을 제공해주며, 여성 알코올 의존자들을 치료하고 있는 병원, 알코올 상담센터 등의 여러 기관에서 적용하여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alcohol dependent females, grounded theory, in-depth interview, addiction process, 여성 알코올 의존, 근거이론, 심층면담, 중독과정

Abstract

For this study, I raised the question, “How is the addiction process manifested for an alcohol dependent female?” and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14 persons who were selected among those diagnosed alcohol dependent according to the diagnosis criteria DSM-IV-TR (2000) and those who hav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in alcohol war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grounded theory. The data analysis is based on the contents of interviews. An initial open coding was conducted to draw concepts,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followed by an axis coding to formulate the paradigm model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merous categories. Then, selective coding allowed the author to discover the core categories of addiction process among alcohol dependent females, on the basis of which relations between the core categories were developed into a grounded theory. The core categories represent ‘process of temporarily leaving behind psychological pain of the past and the present’. Over time this process was developed into drinking activity without self-restraint and gradual dependency upon alcohol. The process discussed in the study, that is, the process of temporarily leaving behind psychological pain of the past and the present, may provide a foundation on which a practical program can be developed by allowing to apply the addiction process theory among alcohol dependent females. This may be of use to hospitals and alcohol-related counseling agencies that provide treatment for alcohol dependency.

keywords
alcohol dependent females, grounded theory, in-depth interview, addiction process, 여성 알코올 의존, 근거이론, 심층면담, 중독과정

참고문헌

1.

김성재 (2006). 알코올중독여성의 음주경험: 여성 주의적 접근. 정신간호학회지, 15(4), 362-374.

2.

경남일보 (2005.11.11). 여성 알코올 중독 위험수위.

3.

권학선 (2002). 근거이론을 적용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동아일보 (2005.3.29). 여성 알코올 중독 느는데……. “어디, 여자가” 편견속에 방치.

5.

박두병, 남범우, 신광철, 나철 (1996). 가족력 유무에 따른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임상적 차이 연구. 신경정신의학. 35(6), 1195 -1202.

6.

성상경, 신동환, 송종호, 이규항 (1999). 여성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8(6), 1262-1272.

7.

송신희 (2003). 여성 알코올 중독자들의 도움요청과 사회적 편견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각원 (2005). 여성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자아상태와 우울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길홍, 이수일, 김종녕 (1973). 한국인 여성 습관성 음주자에 관한 임상적 연구. 한국의 과학, 5(12), 524-537.

10.

이만홍, 유상우, 이호영, 남궁기, 조은영 (1997). 한국인의 알코올 중독증의 개념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Ⅱ). 신경정신의학, 36, 1022-1032.

11.

이정숙 (2000).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음주경험. 정신간호학회지, 9(4), 409-427

12.

임선영 (2002). 여성 알코올 중독자들의 중독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선영 (2003). 여성 알코올 중독자와 정상여성의 성역할 정체감,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정원후, 김성부, 장기용, 손진욱, 박철수 (1997). 입원한 남성 및 여성 알코올리즘 환자의 인구학적, 임상적 및 인격적 특성비교. 신경정신의학, 36(4), 688-704.

15.

최진경 (2003). 여성 문제음주자에 대한 사정요인 탐색을 위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채숙희 (2005). 알코올 의존의 재발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한국음주문화센타 (2002). 알코올 백과. 서울: 한국음주문화센타

18.

Armor DJ, Polich JM, Stambul HB (1978). Alcoholism and treatment; New York, Wiley Bedi AR

19.

Beckman, L. J. (1978). Women alcoholics: A review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tudi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36, 797-824.

20.

Bischof, G., Rumpf, H.J., Hapke, U., Meyer, C., John, U. (2000). Gender difference in natural recovery from alcohol dependenc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1(6), 783-786.

21.

Brown.S (1995). Treating Alcoholism. San Francisco; Jossey Bass Publishers.

22.

Corrigan,E. M. (1980). Alcohol women in treat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3.

Cotton, N. (1979). The familial incidence of alcoholism.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0, 89-116.

24.

DSM-Ⅳ-TR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5.

Goodwin, D. W., Hill, B., Powell, B., & Viamonter, J. (1973). Effect of alcohol on short- term memory in alcoholic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22, 93-94.

26.

Hood, C. D. (2003). Women in recovery from alcoholism: The place of leisure. Leisure Science, 25, 51-79.

27.

Jellinek, E. M (1960). The disease concept of alcoholism, New Haven, CT; College and University Press.

28.

John W. Creswell (2006). 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8에 출판)

29.

Long, A., Mullen, B (1994). An Exploration of women's perceptions of the major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ir alcohol abus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 623-639.

30.

Lyn R., & Janice, M. M (2007). 질적연구방법[Readme First for a User's Guide to Qualitative Methods]. (신경림, 고성희, 조명옥, 이영희, 정승은 공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2007에 출판)

31.

McLellan, A. T., Woody, G. E., Luborsky, L., Brien, C. P., & Druley, K. A. (1983). Increased Effectiveness og Substance Abuse Treatment: A Prospective Study of Patient-Treatment Matching.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1(10), 597-605.

32.

McNally, E. B. (1989). Lesbian recovering alcoholics in A.A. Dictoral Dissertation of New York University.

33.

Moos, F. H, Moos, B. S. (1984). The process of Alcoholism Ⅲ: Comparing functioning in families of Alcoholics and matched control families, Journal of Studies Alcohol 45, 111∼118.

34.

Moos, R. H., Brennan, P. L., Fondacaro, M. R. & Moos, B. S. (1990). Approach and Avoidance coping responses among older problem and nonproblem drinkers. Psychology and Aging 5(1).

35.

Morse, J. M. & Field, P. A. (1997). 질적간호연구방법. (신경림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원전은 1995에 출판)

36.

Murphy, G .E. (1992). Multiple Risk Factors Predict Suicide in Alcoholism, Archieves of General Psychiatry, 49(6), 107∼124.

37.

Steinar, K. (1998). 인터뷰[InterViews]. (신경림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은 1994에 출판)

38.

Strauss, A. L.,& Corbin, J. M. (2005). 근거이론의 이해[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신경림 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원전은 1990에 출판)

39.

Turnbull, J. E. (1994). Early background variables as pregnanc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25. 143-148.

40.

Wilsnack R. W., Wilsnack S. C,, Klassen A.D. (1984). Women's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Patterns from a 1981 national survey. Am J Public Health, 74, 1231∼1238.

41.

Wilsnack, S. C., Vogeltanz, N. D., Klassen, A. D., & Harris, T. R. (1997). Childhood sexual abuse and women's substance abuse; National survey findings, Journal Studies on Alcohol, 59, 264-27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