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남성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자대학생들의 직업결정과정: 근거이론 접근

A Study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Female Undergraduates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A Grounded Theory Based Approach

초록

우리나라는 여성의 교육참여율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은데 비해 인력활용율은 OECD국가 중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렇게 고학력 여성인력의 활용률이 저조한 원인으로 진로상담영역에서 ‘진로선택’과 관련된 원인에 주목하였다. 전통적으로 직업을 여성중심 또는 남성중심 직업으로 분류할 때 아직까지도 많은 여성들이 남성중심 직업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편중현상을 해소해야만 다양한 인력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성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대생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경험구조 및 직업결정 과정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부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들을 밝혀 여성 진로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남성중심적 직업을 선택하며 취업준비중인 대학교 3학년 이상 여학생 8명을 심층면접한 녹음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1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들을 토대로 핵심범주인 ‘특별한 삶을 위해 의지를 갖고 도전해 나가기’가 도출 되었다. 또한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결과를 구분하였다. 과정 분석을 통해 기질과 포부 인식 단계, 내적결의 단계, 지지와 수용 단계, 도전과 극복의 순환 단계, 긍정과 확신의 단계로 총 5 단계의 직업결정 과정이 밝혀졌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에 대해 언급하였다.

keywords
male-dominated job,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grounded theory, 남성중심적 직업, 직업결정과정, 근거이론

Abstract

In Korea, recent women's educational standard is more higher than any other period but rate of using human resources is the lowest level among the OECD nations. As the reason of this phenomenon, the career choice attract attention. Traditionally, job is classified female-dominated job from male-dominated job, and most women still avoid male-dominated job. If this unequal concentrated phenomenon is relieved, diversity using of human resource will be available. For the purpose, this study try to determine the experience structure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female undergraduate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and to determine factors that work negative or positive on the process to use for the career consult. Grounded theory based data analyses resulted in 61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from the recorded data of 8 female undergraduates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The core category was “For the special life, keeping challenging with the will”. A paradigm model consist of the casual condition, central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 intervening condition, actions/reactions and the result was proposed. And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five stages with time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stage of awareness about the trait and aspiration, the stage of internal determination, the stage of support and accept, the stage of challenge and overcome, and the stage of affirmation and confidenc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male-dominated job,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grounded theory, 남성중심적 직업, 직업결정과정, 근거이론

참고문헌

1.

김충기 (1999). 생활지도, 상담, 진로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2.

강영미, 유순화, 윤경미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애와 자아탄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 415-438.

3.

권태희, 조준모 (2007). 한국의 적극적 조치 제도평가와 개선과제: 기업인터넷 서베이를 활용한 이행도 실증분석. 여성연구, 73, 5-51.

4.

김민선, 서영석 (2009). 공과대학 학생들이 지각한 맥락적 지지와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4(4), 773-788.

5.

김요완 (2009).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혼소송과정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2), 559-583

6.

남경민, 유성경, 하정, 강혜원, 곽형선 (2010). 남자고등학생의 진로결정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11(2), 775-793.

7.

노동부 (2007). 남녀근로자현황분석.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8.

노동부 (2009). Jop Map.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9.

박세강 (2010). 고등학생의 성취동기, 자아존중감, 스트레스가 불확실성 회피 성향에 주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은혜 (2006).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직업포부수준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백은정, 유영권 (2004) 기독 남성동성애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825-842.

12.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 (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3.

신영주, 김유숙 (2009). 여성알코올 의존자의 중독과정-근거이론 접근 방법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683-710.

14.

유근준, 김봉환 (2010). 대상관계의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533-551.

15.

하 정, 유성경 (2007).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8(4), 1521-1540.

16.

윤혜경 (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의 직업 진로탐색경험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 (1), 83-112.

17.

이경순 (2008). 경험용서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237-252.

18.

이기학 (2003). 대학생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정체감 일치 여부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과 진로결정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353-366.

19.

이현림, 천미숙 (2003). 성인여성의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의식성숙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6(2), 1-34.

20.

이항심 (2007). 부모애착, 성역할정체감, 자존감 및 진로장벽의 구조모형 검증: 우수여자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임용자 (1994). 성역할 관련 요인이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전복희 (2009). 한국의 여성고용형태와 비전통적 직업의 여성고용확대에 대한 고찰: 항공관련직업들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7(1), 143-161.

23.

조윤경 (2003). 한국인의 나 의식-우리 의식과 개 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183-197.

24.

최윤진, 임현정 (2010). ‘알파걸’의 실재 및 진로발달 특성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1(2), 203-230.

25.

최지영 (2008). 여성과학자의 성장과정 연구: 전문성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 153-176.

26.

탁진국 (1995). 한국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8(1), 161-174.

27.

통계청 (2006). 이공계인력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

28.

하정 (2008).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유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31-454.

29.

황순택, 구형모, 김지혜 (2001).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3), 569-581.

30.

Anold, H. S. (1993). Undergraduate aspiration and career outcomes of academically talented women: A discriminant analysis. Roeper Review. 15(3), 169-176.

3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on theory. Englewood Clifs, NJ: Prentice Hall.

32.

Betz, N. E., & Hackertt, G. (1981).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399-410.

33.

Byrne, E. M. (1993). Women and science: The snark syndrome. London: The Falmer Press.

34.

Creswell, J. W. (2005). 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4에 출판)

35.

Gottfredson, L. S.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6), 545-579.

36.

Hilliard, L. J., & Liben, L. S. (2010). Differing levels of gender salience in preschool classrooms: effects on children's gender attitudes and intergroup bias. Child Development, 81(6), 1787-1798.

37.

Hofstede, G.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 Sage.

38.

Hofstede. G. (1995). Cultures and organization: Software of the mind. New York: Mcgraw-Hill Companies.

39.

Hofstede. G., & Hofstede. G. J. (2005).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New York: Mcgraw-Hill Companies.

40.

Kalleberg, A. L. (1977). Work values and job rewards: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2, 124-143.

41.

Kaufmann, F. (1981). The 1964-1968 presidential scholars: A follow-up study. Exceptional Children, 48(2), 164-169.

42.

Kindlon, D. (2007). 새로운 여자의 탄생 알파걸[Alpha girls: Understanding the new american girl and how she is changing the world]. (최정숙 역). 서울: 미래의 창. (원전은 2006에 출판)

43.

Mooij, M., & Hofstede, G. (2002) Convergence and divergence in consumer behavior: implications or international retailing, Journal of Retailing, 78, 61-69.

44.

Rhyne, L. C., Teagarden, M. B., & Panhuyzen. W. (2002). Technology-based competitive strategies: The relationship of cultural dimensions to new product innovation, Journal of High Technology Management Research, 13(2), 249-278.

45.

Schreiber, R. S., & Stern, P. N. (2003). 근거이론 연구방법론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신경림, 김미영 공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2001에 출판)

46.

Simpson, R. (2005). Men in non-traditional occupation: Career entry, career orientation and experience of role strain.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12(4), 363-380.

47.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98에 출판)

48.

Super, D. E. (1990). A life-span, li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s(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2n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49.

Tiedman, D. V., & O'Hara, R. P.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Prinston, NY: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d.

50.

Terman, L. M. (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1.

Turner, S. L., & Lapan, R. T. (2005). Evaluation of an intervention to increase non-traditional career interests and career-related self-efficacy among middle-school adolesc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 516-53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