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폭력에 대한 통념과 성관련 경험이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ape Myth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to the Sexual Assertiveness in College Women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여대생의 성적인 문제인 원하지 않은 성교나 임신, 강간, 성병을 예방할 수 있는 변인인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일차적으로 경험적인 요인인 성피해, 학대, 성교경험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이차적으로 경험적인 요인을 통제한 후에 심리적인 요인인 성폭력에 대한 통념, 데이트폭력 허용도가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피험자는 중부권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이 대상이었고, 최종적으로 24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은 성폭력에 대한 통념, 성교경험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데이트폭력 허용도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이전의 성적, 신체적 피해경험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성교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교경험이 있는 경우 성적 자기주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성폭력에 대한 통념은 성적 자기주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나타났다. 넷째, 성폭력에 대한 통념은 경험적인 요인인 여대생의 성교경험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성적 자기주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폭력에 대한 통념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이 고유한 변량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개입을 통해 성적인 자기주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성적인 문제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관련 논의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keywords
Sexual Assertiveness, Rape Myth,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Sexual Violence, Abuse, Sexual Assertiveness, Rape Myth,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Sexual Violence, Abuse, 성적 자기주장, 강간통념, 성폭력 통념, 성피해, 성폭력 예방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study factors of affecting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in order to prevent university students from sexual problems. The factors include empirical factors such as sexual damage, abuse, and sexual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among subordinate factors was carried out to study how a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affect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when empirical factors is under same control. For these studies, 240 data obtained by surveying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located in a middle region of South Kore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collected data. SPSS 15.0 Program was used for these analyses. There are five abridged consequences of this research. First of all, there i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and both a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and sexual experience, bu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Secondly, personality and physical damage in the past don't significantly affect sexual assertivenes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but sexual experiences do. Thus, The more sexual experiences are, the lower the level of sexual assertiveness is. Thirdly, a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significantly affects sexual assertiveness of them. Fourthly, when sexual experiences, which is the one of the empirical factors, of female students of universities is under same control, a common idea of sexual experience still affects sexual assertiveness of them. Finally, ‘misunderstanding of the opposite sex's behavior’ and ‘a false report of lechery and rape’ affect disallowance of sexual relations. That is, this common idea of sexual violence such as the misunderstanding and the false report makes it difficult to disallow sexual intercourse. Through these consequences, proposals for further discussion and study are included in this research.

keywords
Sexual Assertiveness, Rape Myth,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Sexual Violence, Abuse, Sexual Assertiveness, Rape Myth,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Sexual Violence, Abuse, 성적 자기주장, 강간통념, 성폭력 통념, 성피해, 성폭력 예방

참고문헌

1.

강둘순. (2005). 현실요법을 적용한 고교생의 성적 자기결정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

김금운, 윤가현 (2004) 대학생들의 연애관계에서 결별을 예측하는 관계적 요인. 인간발달연구, Vol.11, No.1,: 110-112

3.

김혜인. (2007).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성인기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 정서 인식의 어려움,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남현미. (2003). 대학생 데이트성폭력 실태와 가해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윤경․김은정. (2007).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갈등대처전략을 매개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6- 267.

6.

오혜정. (2004). 아동기 학대경험과 부부폭력노출경험이 성장 후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유외숙 (2004). 이성교제에서 원하지 않는 성관계 요구의 응낙에 대한 설명모형: 대학생 중심으로. 서울여대 특수심리치료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규은. (2006). 성폭력상담원 교육프로그램이 성폭력에 대한 지식, 성적 자율성 및 강간통념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2-4 301-307

9.

이석재. (1999). 강간통념 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 131-148

10.

이선경. (2000). 이성교제하는 십대 여학생의 성접촉과 자아존중감, 자기주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지연․이은설. (2005).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와 가해에 대한 설명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265- 282.

12.

임미순 (2009). 현실요법을 적용한 성적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내부-외부통제와 성적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장순복 외. (2000). 십대 소녀의 임신률, 예방대책. 청소년 보호위원회 보고서.

14.

장순복, (1998). 기혼여성의 성만족. 대한간호학회지. Vol.28 No.1: 201-209.

15.

장순복, 이선경, 김영란 (2003). 여고생의 성적 자기주장 프로그램 참여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3(5): 659-667

16.

장순복 외. (2002).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 측정도구 개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1): 106- 115.

17.

장화정. (1998). 아동학대 평가 척도 개발.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장희숙․조현각 (2001). 대학생 이성교제폭력의 실태와 위험 요인들. 한국가족복지학. 8: 177-202.

19.

최명숙, 하나선. (2004).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성경험, 성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4): 318-330.

20.

최명현. (2004).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황은수․성영혜. (2006). 아동의 학대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인식정서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치료연구 Vol. 9 No.2, 73-89.

22.

Emilio, C, U. & Monica, D, U. (2008). Sexual relationship power as a mediator between dating violence and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among colleg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7(9), 539-563.

23.

Foo, L., & Margolin, G. (1995) A multivariate investigation of dating aggression,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ume 10, Number 4: 351-377

24.

Harlow, L. L., Quinam K., Morokoff, P. J., & Grimleym D. M. (1993). HIV Risk in Women: A Multifaceted Model Journal of Applied Biobehavioral Research, 1: 3-38.

25.

Luthra, R,. & Gidycz, C, A. (2006).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men and women: Evaluation of a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1(6), 717-731.

26.

Mackenzie, C, & Stoljor, N. (2000). Relational autonomy, feminist perspectives on autonomy, agency, and the social self.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7.

Patricia. J. M., et al. (1997). Sexual Assertiveness Scale for Wom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4): 790-804.

28.

Rohini, L,. & Christine, A, G. (2005). A Prospective Analysis of Sexual Assault Perpetration: Risk Factors Related to Perpetrator Characteristic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0(10), 1325-1348.

29.

Straus, M. A. (1995). The Parent-Child Conflict Tactics Scales (PCCTS), Journal of Family Issu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