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한국 여성의 일-가족 갈등 척도 타당화 연구
유성경(이화여자대학교) ; 홍세희(고려대학교) ; 박지아(이화여자대학교) ; 김수정(이화여자대학교) pp.1-29 https://doi.org/10.18205/kpa.2012.17.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Cinamon과 Rich(2002a)가 수정․개발한 일-가족 갈등 척도(WFC)를 한국의 기혼 직장 여성들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일-가족 갈등 척도는 일과 가족 영역에서의 다중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일에서 가족(work to family)으로 그리고 가족에서 일(family to work)로의 두 방향을 모두 고려한 검사이다. 한국 여성으로서 만 16세 이하의 자녀를 적어도 한 명 이상 둔 전국에 거주하는 기혼 직장인 305명을 대상으로 타당화 분석이 이루어졌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가족 갈등의 양방향성을 고려한 2요인 모형이 검증되었다. 일-가족 갈등 척도 14문항은 문항-전체 간 상관이 높고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신뢰도가 높게 나왔다. 또한 척도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 간 낮은 상관을 보여 일-가족 향상과 변별되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준타당도를 위한 일-가족 갈등과 일 만족도의 상관분석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공준타당도가 확인되었고, 일-가족 갈등이 우울을 예측하는지를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게 상관이 나타나 일-가족 갈등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입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Work-Family Conflict scale(WFC) which was modified and developed by Cinamon and Rich(2002a). The WFC scale considers both directions, such as work to family and family to work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women’s multiple roles in work and family. A sample survey targeted 305 married female workers who live and have more than one child under the age of 1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2-factor model considering of bidirectional work-family conflict. The K-WFC had high statistical figures of interitem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Discriminant validity test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reveal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so discriminant validity was supported. Concurrent validity test between WFC and the Work Satisfaction identified postulate validity, which means that the more work- family conflict increases, the more work satisfaction decreases. And predictive validity test between WFC and depression identified postulate validity. In conclus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한국 여성의 일-가족 갈등 척도 타당화 연구
유성경(이화여자대학교) ; 홍세희(고려대학교) ; 박지아(이화여자대학교) ; 김수정(이화여자대학교) pp.1-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Cinamon과 Rich(2002a)가 수정 · 개발한 일-가족 갈등 척도(WFC)를 한국의 기혼 직장 여성들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일-가족 갈등 척도는 일과 가족 영역에서의 다중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일에서 가족(work to family)으로 그리고 가족에서 일(family to work)로의 두 방향을 모두 고려한 검사이다. 한국 여성으로서 만 16세 이하의 자녀를 적어도 한 명 이상 둔 전국에 거주하는 기혼 직장인 305명을 대상으로 타당화 분석이 이루어졌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가족 갈등의 양방향성을 고려한 2요인 모형이 검증되었다. 일-가족 갈등 척도 14문항은 문항-전체 간 상관이 높고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신뢰도가 높게 나왔다. 또한 척도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 간 낮은 상관을 보여 일-가족 향상과 변별되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준타당도를 위한 일-가족 갈등과 일 만족도의 상관분석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공준타당도가 확인되었고, 일-가족 갈등이 우울을 예측하는지를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게 상관이 나타나 일-가족 갈등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입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Work-Family Conflict scale(WFC) which was modified and developed by Cinamon and Rich(2002a). The WFC scale considers both directions, such as work to family and family to work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women's multiple roles in work and family. A sample survey targeted 305 married female workers who live and have more than one child under the age of 1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2-factor model considering of bidirectional work-family conflict. The K-WFC had high statistical figures of interitem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Discriminant validity test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reveal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so discriminant validity was supported. Concurrent validity test between WFC and the Work Satisfaction identified postulate validity, which means that the more work­-family conflict increases, the more work satisfaction decreases. And predictive validity test between WFC and depression identified postulate validity. In conclus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기혼 여성의 오르가슴 장애유무와 유형에 따른 성태도 및 성행동의 차이
이윤미(가톨릭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31-51 https://doi.org/10.18205/kpa.2012.17.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오르가슴 장애 유무, 오르가슴 유형에 따라 성태도와 성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혼여성 206명을 대상으로 성 의사소통 척도(DSC), 성태도 척도(SAS), 성지식 척도, 성적 자기주장성 척도(SAS), 성행동 척도, 성만족도 척도(DSFI), 부부만족도 척도(KMSS), 여성 성기능장애 척도(FSFI) 등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오르가슴 장애가 있는 집단이 오르가슴을 잘 경험하는 정상집단에 비해 성 의사소통, 성적 자기주장, 성행동의 다양성과 즐거움, 성 만족도 그리고 부부만족도가 더 낮았다. 오르가슴을 경험하는 여성들을 경험한 오르가슴 유형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멀티 오르가슴, 성교 오르가슴, 배우자 오르가슴, 자위 오르가슴 순으로 성 의사소통, 성행동의 다양성과 즐거움 그리고 성만족도와 부부만족도가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exual attitudes and sexual behaviors based on the married women's type of orgasm and orgasmic disorder. For this end, 206 married women were asked to complete the Dyadic Sexual Communication Scale, the Sexual Attitude Scale, the Sexual Self-monitoring Form, the Derogatis Sexual Function Inventory, the Kansis Marital Satisfaction Scale,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and the Women's Sexuality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As compared to the orgasmic women, the anorgasmic women reported have lower level of sexual communication, sexual assertiveness, variety and pleasure of sexual behavior, sexu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sexual knowledge of partner. (2) When orgasmic women were divided into four orgasm types, there was high level of sexual communication, variety and pleasure of sexual behavior, sexu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sexual knowledge of partner in the order of multiorgasm, coitus orgasm, partner orgasm and masturbation orgasm.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여대생의 형제지위,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아분화의 관계
문예은(이화여자대학교) ;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pp.53-72 https://doi.org/10.18205/kpa.2012.17.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형제지위가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 및 자아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여대생의 출생 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서울시에 소재한 여대에 재학 중인 54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맏이가 둘째보다 어머니를 유의하게 더 애정적이라고 지각하였으며 둘째는 맏이보다 어머니를 유의하게 더 통제적이라고 지각하였다. 또한 맏이가 둘째보다 더 자아분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형제간 연령차가 5세 이상인 경우에만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를 지각함에 있어 출생 순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둘째가 맏이보다 어머니를 더 애정적으로 지각하였다. 또한 둘째일수록 어머니를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였으며, 형제 성별과 형제간 연령차는 각각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효과를 미치지는 않았지만 출생 순위와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출생 순위와 형제 연령차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자아분화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출생 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여 출생 순위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대한 지각을 거쳐 자아분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출생순위와 양육환경이 개인의 자아분화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sibling status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2) sibling status effects o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543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significant birth order difference in perceived mother's love, perceived mother's control, and differentiation of self. Firstborns perceived their mother more loving, and less controlling than second-born students, and firstborns showed higher degree of differentiaion of self. Second, as a result of 3-way ANOVA, Second-born students perceived their mother more loving than first-born students when the age spacing was more than five years. Also, Second-borns generally reported higher control of their mother, and when the age spacing was between 1 and 5 years, second-borns having older sister perceived their mother more controlling than second-borns having older brother. When the age spacing was less than 1 year or between 1 and 5 years, firstborns showed higher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self than second-borns. Third, perceived mother's contro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eing second-born and reporting mother's higher control predicted lower differentiation of self, and birth order had an indirect effect on differentiation of self through the perception of mother's control.

여대생의 형제지위,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아분화의 관계
문예은(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53-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형제지위가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 및 자아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여대생의 출생 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서울시에 소재한 여대에 재학 중인 54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맏이가 둘째보다 어머니를 유의하게 더 애정적이라고 지각하였으며 둘째는 맏이보다 어머니를 유의하게 더 통제적이라고 지각하였다. 또한 맏이가 둘째보다 더 자아분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형제간 연령차가 5세 이상인 경우에만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를 지각함에 있어 출생 순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둘째가 맏이보다 어머니를 더 애정적으로 지각하였다. 또한 둘째일수록 어머니를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였으며, 형제 성별과 형제간 연령차는 각각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효과를 미치지는 않았지만 출생 순위와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출생 순위와 형제 연령차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자아분화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출생 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여 출생 순위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대한 지각을 거쳐 자아분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출생순위와 양육환경이 개인의 자아분화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sibling status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2) sibling status effects o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543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significant birth order difference in perceived mother's love, perceived mother's control, and differentiation of self. Firstborns perceived their mother more loving, and less controlling than second-born students, and firstborns showed higher degree of differentiaion of self. Second, as a result of 3-way ANOVA, Second-born students perceived their mother more loving than first-born students when the age spacing was more than five years. Also, Second-borns generally reported higher control of their mother, and when the age spacing was between 1 and 5 years, second-borns having older sister perceived their mother more controlling than second-borns having older brother. When the age spacing was less than 1 year or between 1 and 5 years, firstborns showed higher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self than second-borns. Third, perceived mother's contro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eing second-born and reporting mother's higher control predicted lower differentiation of self, and birth order had an indirect effect on differentiation of self through the perception of mother's control.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 경험의 질에 따른 군집별 심리적 및 환경적 특징의 차이
김신희(고려대학교) ; 양은주(고려대학교) pp.73-94 https://doi.org/10.18205/kpa.2012.17.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자녀 직장여성이 다중역할을 경험하는데 경험의 질(긴장감과 이득)에 따라 어떤 하위집단들이 존재하는지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하위집단들의 심리적인 특성(우울, 삶의 만족도, 일-가정 균형감) 및 가정환경, 근로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대부분 전일제로 근무를 하는 동시에 막내 자녀의 나이가 초등학생 이하인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군집1은 ‘다중역할 갈등형’으로 다중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긴장감을 많이 느끼는 집단이었다. 심리적 특성을 보면, 삶의 만족도가 낮고 우울감은 높으며 일-가정 균형감은 낮았다. 가정 환경적 특성 중 가사와 양육에 대한 본인 부담 비율이 세 군집 중 가장 높은 집단이었다. 군집2는 ‘다중 역할 강화형’으로 다중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득을 느끼는 집단이었다. 심리적 특성을 보면, 삶의 만족도가 높고 우울감은 낮으며 일-가정 균형감에 대한 평가는 높았다. 가정 환경적 특성 중 가사 일에 대한 본인 부담 비율은 세 집단 중 가장 낮았다. 군집3은 다중역할에 대해 이득이나 긴장감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집단으로 ‘다중역할 중립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군집에 대한 특성에 대한 해석과 함께 시사점,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ubgroups of working mothers divided by work-family gains, work-family strains, work-parenting gains and work-parenting strains.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with a sample of married and employed women with the youngest children under 12 years old (N=196) indicated the presence of three clusters. Cluster 1 was characterized by greater multiple role strains, lower satisfaction with life, a higher depression score, and more difficulties in work-family balance. This group also reported taking more responsibilities for household chores and parenting. Therefore, this group was named ‘multiple role conflicts type’. By contrast, Cluster 2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greater multiple role gains, more satisfaction with life, a lower depression score, and more balance in work-family roles. Individuals in this cluster also reported less responsibilities for household chores and parenting.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Cluster 2 was named ‘multiple role enrichment type’. Finally, Cluster 3 showed an average level of multiple role gains and strain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Cluster 3 was named ‘multiple role neutral typ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