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김희경(동신대학교) pp.535-558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탈북 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과 양육 죄책감,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자녀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탈북 여성 219명과 남한 여성 100명이었다. 공변량분석 결과, 탈북 여성은 남한 여성에 비해 우울감, 양육 죄책감, 양육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 긍정적인 양육 행동은 적게 하고, 부정적인 양육 행동은 많이 하였다. 탈북 여성의 우울감과 양육 죄책감, 양육 스트레스 수준 및 양육 행동은 정착 기간에 따라 달랐다. 우울감, 양육 죄책감은 지역사회 정착 기간이 1년에서 3년 사이에 해당하는 탈북 여성이 하나원의 탈북 여성에 비해 높았고, 양육 스트레스는 지역사회에 3년에서 5년 동안 정착한 탈북 여성이 가장 낮았다. 긍정적인 양육 행동은 하나원의 탈북 여성이 가장 적게 했다. 탈북 여성은 우울감이 심할수록 양육 스트레스가 많았고, 긍정적인 양육 행동은 적게 하였지만, 양육 죄책감이 심할수록 긍정적인 양육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남한 여성은 우울감과 양육 죄책감이 심할수록 양육 스트레스가 많고, 긍정적인 양육 행동은 적게, 부정적인 양육 행동은 많이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탈북 여성에서는 2.3%~36.6%였고, 남한 여성에서는 2.0%~19.0%였으며, 탈북 여성에서는 긍정적인 양육 행동에, 남한 여성에서는 부정적인 양육 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를 둔 탈북 여성에 대한 심리적 개입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depressed mood and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s between North Korean Women Refugees(219) and South Korean Women(100). ANCOVA showed that North Korean Women Refugees had higher depressed mood, parenting guilt,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than South Korean Women. Depressed mood, parenting guil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differed on their settlement period. The group settled in community from one to three years showed more depressed mood and parenting guilt than the group educated in Hanawon(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group of settlement period from three to five years had the lowest scores on parenting stress among refugees. Hanawon group had the lowest scores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depressed mood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stress, but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oo. In South Korean Women, depressed mo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guilt,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dictability of depressed mood,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stress with parenting behaviors were 2.3%~36.6% i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nd 2.0%~19.0% in South Korean Women. These predictive variables more a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han negative behaviors i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nd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tha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n South Korean Women. Based on these resul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Women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escribed.

여고생의 대인 성적 대상화 경험과 성형의도의 관계: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 신체감시,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
장지원(인천대학교) ; 장진이(이화여자대학교) ; 이지연(인천대학교) pp.559-577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대인 성적 대상화 경험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 신체감시, 신체수치심 등의 심리내적 변인들을 통해 어떻게 성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가설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여고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35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인 성적 대상화 경험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를 통하여 신체감시와 신체수치심에 영향을 미쳤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는 성형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뿐 아니라 신체감시와 신체수치심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여고생의 성형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신체감시는 성형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신체수치심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성형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인성적 대상화 경험보다는 이후 개인이 경험할 수 있는 선행 변인으로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와 근접변인으로서 신체감시와 신체수치심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른 성형 문화를 만들기 위한 예방교육과 병리적 성형 행동에 대한 상담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a multi-dimensional hypothetical model on important variables of the intension of plastic surgery among female high shool students. The survey included 357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om Metropolitan area. Results of testing the model showed that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standards of ideal apperance,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the intension of plastic surgery. The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standards of ideal apperance ful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the body surveillance.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standards of ideal apperance directly influenced on intension of plastic surgery or indirectly affected on intension of plastic surgery through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부부의 속박감과 복종 및 분노조절 방식이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
권호인(고려대학교) ; 이소영(삼성전자 열린상담센터) ; 권정혜(고려대학교) pp.579-595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분노 경험 및 분노 표현 방식이 남편과 부인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이 한국의 문화 관련 증후군인 화병의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부부 75쌍으로, 부부 각자에게 속박감과 복종, 분노 조절에 대한 자기보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인의 화병 증상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는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분노 억제가, 남편의 경우에는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특성 분노, 상태분노, 분노 표출이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상대 상호의존 모델을 사용하여 경로 모형을 분석한 결과, 외적 속박감은 화병 증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부인의 분노 억제, 남편의 분노 표출을 매개로 화병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종 행동은 외적 속박과 유의한 관련을 가지지만, 남편의 경우에만 화병 증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부부의 각기 다른 분노 조절 방식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외적 속박감을 어떻게 다루어 줄 것인가에 대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들을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wives and husbands in external entrapment, submissive behavior, anger and the anger expression and the roles these factors on Hwa-Byung symptoms. Seventy five married couples(75 wives and 75 husban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about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whereas external entrapment, submissive behavior, anger suppre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Hwa-Byung symptoms in the wives, external entrapment, submissive behavior, state and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Hwa-Byung symptoms in the husbands. For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he actor effects, for external entrapments and submissive behavior of both spouses were significant, the actor effect for the husband's anger-out, and the actor effect for the wive's anger-in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revealed that whereas husbands' external entrapment affected their Hwa-Byung symptoms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ir anger-out, The wives' external entrapment affected their Hwa-Byung symptoms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ir anger-in. Therefore,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on how to deal with entrapment and anger expres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부부의 속박감과 복종 및 분노조절 방식이 화병 증상에 미치는 영향
권호인(고려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이소영(삼성전자 열린상담센터) ; 권정혜(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579-5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분노 경험 및 분노 표현 방식이 남편과 부인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이 한국의 문화 관련 증후군인 화병의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부부 75쌍으로, 부부 각자에게 속박감과 복종, 분노 조절에 대한 자기보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인의 화병 증상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는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분노 억제가, 남편의 경우에는 외적 속박감, 복종 행동, 특성 분노, 상태분노, 분노 표출이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상대 상호의존 모델을 사용하여 경로 모형을 분석한 결과, 외적 속박감은 화병 증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부인의 분노 억제, 남편의 분노 표출을 매개로 화병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종 행동은 외적 속박과 유의한 관련을 가지지만, 남편의 경우에만 화병 증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부부의 각기 다른 분노 조절 방식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외적 속박감을 어떻게 다루어 줄 것인가에 대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들을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wives and husbands in external entrapment, submissive behavior, anger and the anger expression and the roles these factors on Hwa-Byung symptoms. Seventy five married couples(75 wives and 75 husban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about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whereas external entrapment, submissive behavior, anger suppre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Hwa-Byung symptoms in the wives, external entrapment, submissive behavior, state and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Hwa-Byung symptoms in the husbands. For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he actor effects, for external entrapments and submissive behavior of both spouses were significant, the actor effect for the husband's anger-out, and the actor effect for the wive's anger-in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revealed that whereas husbands' external entrapment affected their Hwa-Byung symptoms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ir anger-out, The wives' external entrapment affected their Hwa-Byung symptoms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ir anger-in. Therefore,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on how to deal with entrapment and anger expres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남녀 중학생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애착의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의 차이
김미주(이화여자대학교) ;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pp.597-621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애착과 암묵적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데 있어 어떠한 상대적 설명력을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인천 지역의 중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친밀 관계 경험 질문지(ECR), 암묵적 연합 검사(IAT), 삶의 만족도 척도(SWLS),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척도(PANAS)를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남녀 집단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애착, 명시적 애착,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들에 있어서의 성차는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도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암묵적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암묵적 연합 검사의 단어들은 범주에 따라 분류 가능하며,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타인보다는 자신과 어머니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암묵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명시적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들 사이에서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에 따른 성차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반면 암묵적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명시적 애착 변인들은 남녀 모두에게서 주관적 안녕감의 세 가지 하위 변인들을 예측하는 데 있어 유의미하게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반면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들에 대한 암묵적 애착 변인의 설명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1) how the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differ according to gender, and (2) the different contribution of implicit and explicit attachment to subjective well-be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4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while no gender difference in implicit, explicit attachment and negative affect. Second, the words used in the two sets of Implicit Association Test were classifiable and most students had more positive implicit attitudes of the self and their mother than of other peopl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xplicit attachment and three 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across gender,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Fourth, explicit attachment predicted three 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in both boys and girls. In contrast, implicit attachment explained subjective well-being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기혼 남녀의 성 의사소통 유형이 성생활의 질 및 사랑 요소에 미치는 영향
변금령(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623-652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남녀의 성 의사소통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들이 성생활의 질과 사랑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성별, 연령 및 결혼기간과 성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성생활의 질과 사랑 요소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대에서 40대 사이의 기혼 남녀 29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성적 자기노출, 긍정적․개방적 성태도, 성적 자기주장성, 성 주체성, 원하지 않는 성관계에 대한 합의, 성생활 만족도, 성행동, 성적 친밀감, 사랑요소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 의사소통의 유형을 밝히기 위한 군집분석 결과, 성 의사소통은 상호교류적 유형, 방관자적 유형, 자기중심적 유형, 수동적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네 가지 유형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성생활의 질 및 사랑을 나타낸 유형은 상호교류적 유형이었고, 가장 낮은 수준의 성생활의 질 및 사랑을 나타낸 유형은 방관자적 유형이었다. 그리고 자기중심적 유형과 수동적 유형은 긍정적․개방적 성태도, 원하지 않는 성관계에 대한 합의, 성 주체성 요인에서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성별, 연령 및 결혼기간에 따라서 각 성 의사소통 유형의 성생활의 질 및 사랑 요소가 달라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끝으로 성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탐색이 가져다주는 임상적 의의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married people's sexual communication style,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each sexual communication style on quality of sex life and components of love,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sex life and components of love according to sexual communication sty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rriage and sex life-relate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 from 295 married men and women aged from 20s to 40s of Seoul, Kyong-ki, and In-cheo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Measure of Sexual Self-Disclosure, Derogatis Sexual Function Inventory(DSFI), Sexual Attitude Scale, Sexual Assertiveness Scale, Dyadic Sexual Regulation Scale, Likelihood of Consenting to Unwanted Sex, Jewish General Hospital(JGH) Sexual Self-Monitoring Form, Sexual Intimacy Scale, and The Sternberg Triangular Lov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exual communication styl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reciprocal style, speculative style, self-centered style, passive style. Reciprocal style represented the highest levels of quality of sex life and love among four sexual communication styles. On the other hand, Speculative style represented the lowest levels of quality of sex life and love among four sexual communication sty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entered style and passive style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xual Attitude, Consenting to Unwanted Sex, and Sexual Regulation. Quality of sex life and love has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x, age, and period of marriage.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조절 효과
현경자(우리사회복지연구소) ; 김연수(백석대학교) pp.653-677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을 낮추는 중요한 외적자원이 될 수 있는 점에 주목하여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완충하여 우울을 낮추는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36개 복지관 또는 시민단체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민여성 558명의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자료가 사용되었다. 사회적 지지를 4가지 근원(남편, 시댁식구, 친구 및 사회복지사 지지)으로 나누어 각각의 회귀분석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각 유형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낮추는 직접효과만 유의미하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각 사회적 지지 유형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의 4가지 근원을 하나의 회귀분석모형에 넣고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남편의 지지가 우울을 낮추는 직접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시댁지지의 직접효과는 경계적 유의수준을 보였다. 이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가 남편, 시댁식구, 친구 및 사회복지사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기보다는 오히려 우울과 직접 부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사회적 지지에 대한 향후의 연구 방향과 임상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of four different sour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e., husband, in-laws, friend, and social worker), and explored the extent to which these support measures moderate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558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ed through the 36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distributed nationwide. As expecte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respondents with a high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expressed a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in all analyses. In separate analyses for each measur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ts interaction term with acculturative stress, each support measure show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depression, and none of the interaction terms was significant. In an analysis of the full model, including 4 types of social support measure, only two support measures,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in-laws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a positive direct link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n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may not moderate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se women’s depression. Finally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linical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첫 자녀 출산 전후 부부의 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적응 과정에 대한 탐색
최승미(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부부상담연구소) pp.679-704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 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근거이론적 접근에 기초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혼 기간 5년 미만, 첫 자녀 출산 후 3년 이내의 부부 13쌍에 대해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 자료를 대상으로 범주화 작업을 거쳐, 출산 후 부부관계 경험 및 적응에 대한 패러다임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 자녀를 출산한 부부들에게 관계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적 조건은 삼자적 가족구조로의 전환 및 결혼 적응 수준이었으며, 중심 현상으로는 양육 및 가사 부담, 출산 후 부부관계의 변화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남편의 지원과 관심, 원가족 지원의 중재 변인을 통해 그 강도가 완화 또는 악화되었다. 작용/상호작용적 전략에서 추출된 주요 범주는 새로운 역할 인식과 적극적인 수용, 가족에 대한 의미부여였으며 이러한 전략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완성체로서의 가족 구성과 공유된 가치 경험이 얻어질 수 있었다. 선택 코딩을 통해 이론화를 시도한 결과 ‘부부의 새로운 역할 인식과 수용 및 우리성(We-ness)의 추구’라는 핵심범주가 추출되었다. 임신과 출산, 양육 전 과정에 걸쳐 부부가 하나의 단위로 움직이며,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정의되는 ‘우리성’의 획득은 출산과 양육이라는 생애 전환기적 사건을 맞닥뜨린 부부가 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고 안정된 부부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in the marital relationship after the first baby is born. For this purpose, thirteen couples (marriage duration of less than five years; within three years of the child birth) were recruit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 the next step, we derived the marital relationship paradigm after the first baby arrived. The causal/situational conditions that caused changes in the marital relationship were the parenting burden and the marital adjustment level. The central phenomena were parenting and housework burden, which were moderated by the husbands' suppor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couple's high awareness and acceptance for their new role and pursuit of the shared meaning of the family. When the strategies were successful, a deeply satisfying feeling and shared values ​​could be obtained. Finally, we identified the core category to integrate of other categories into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at is 'the awareness and acceptance for their new role and the pursuit of a sense of We-ness'.

성매매 여성의 복합외상과 MMPI-2 프로파일 특성 연구
김수지(대구사이버대학교) pp.705-726 https://doi.org/10.18205/kpa.2012.17.4.008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성매매 여성 및 일반 여성 각 42명을 대상으로, 성매매 집단의 복합외상 논의를 MMPI-2를 중심으로 심화시켜 타당도, 임상 및 내용 척도의 패턴을 다른 유사 장애의 프로파일과 비교해보고, 성매매 여성 집단과 일반 집단의 복합외상과 아동기 학대 경험의 양상, 그리고 아동기 학대 경험과 성매매 중 일어난 외상 경험이 복합외상 증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매매 집단 중 복합외상 고위험으로 분류된 대상은 52.4%였고, 총점 및 하위 증상 요인 모두에서 일반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아 복합외상에 매우 취약했으며 특히 복합외상의 주요 특성인 자기지각의 변화, 대인관계에서의 변화 요인에서 차이가 컸다. 성매매 여성의 MMPI-2 프로파일은 F 관련 척도 및 Hs, D, Hy, Pd, Pa, Pt, Sc, Si 척도에서 일반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중 Pd 및 정신증 척도가 60T이상으로 상승하여 전형적 PTSD 집단의 프로파일과는 다르지만 복합외상에 취약한 아동기 외상이나 성폭력 피해 집단의 프로파일과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추가 분석 결과 자기 비하 및 소외의 문제가 두드러져 자기 가치와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및 단절된 느낌을 호소하고 있었다. 성매매 집단은 또한 일반인보다 아동기 외상 경험이 유의하게 높았고, 아동기 분리 경험과 성매매 중 고립/배신의 경험이 복합외상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유능감은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성매매 집단과 같이 복합외상에 취약한 집단에 있어 아동기 외상 중 대인 관계적 외상이라는 취약 요인 및 성인기 주변인 지지라는 보호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예방 차원에서 유능감 및 사회적 지지의 마련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MMPI-2 profiles and relative effect of childhood abuse and traumatic events during prostitution, in relation to complex PTSD(CPTSD) of 42 female sex workers.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target group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s in all of the CPTSD symptoms and 52.4% were assumed as the CPTSD high-risk group. Analysis of the content scales revealed that alterations in self-percep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especially significant. The MMPI-2 profiles of the target group showed F-related scale and Hs, D, Hy, Pd, Pt, Sc, Si scales, with Pd and psychotic scales elevated above 60T. This was different from the profiles of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while more similar to the profiles of childhood abused or sexually abused group. The sex workers also had experienced significantly more childhood abuse than the controls. The effect of the childhood separation and adulthood interpersonal severance/conflict in target group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childhood abuses or traumatic events during prostitution and the effect of childhood competence were significant in both group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