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awareness for the overall need of family counseling and aims at providing a direction of support for family counseling that is leveled at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families. To achieve thi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2010 National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equency, distribu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regression analyses on demographic variables, Korean language skills, social support,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 and experience of family counseling were conducted in view that these were factors that affected awareness for family counseling, with a total of 58,072 immigrant women who came to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language skills, social support,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subjects recognized the need for family counseling as moderate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were also moderate. Social supporters did not exceed more than two people including from both Koreans and their country natives, and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s to their spouse, children, and parents in-law.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the nationalitie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regarding the need for family counseling. Thir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family counseling based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Korean language ability, social support, satisfactory family relationships and previous experience of family counseling.
강기정, 강복정, 이무영 (2011). 다문화가족상담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2(3), 225-245.
강기정, 이무영, 한재희 (2010).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체계 활성화를 위한 운영매뉴얼 개발 연구보고서.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사업지원단 연구보고서.
김미옥 (200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과제 종류 및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승권, 김유경, 조애저, 김혜련, 이혜경, 설동훈, 정기선, 심인선 (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 법무부, 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연수 (2007).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30, 217-252.
김영옥, 임진숙, 정상녀 (2008).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지, 13(3), 143-164
김오남 (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8, 33-76.
김오남 (2008). 결혼이민자가족의 이해. 파주: 집문당.
김이선 (2007). 제자리를 찾아야 할 여성결혼이민자 정책. 젠더리뷰, 4(1), 22-31.
김희정 (2010).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에 대한 만족도 및 수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충래 (2011).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의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3(2), 7-231.
박명석 (1979). Communication styles in two different Cultures Korean and American. Seoul, Korea: Han Shin Pub.
박정윤 (2009).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지원서비스: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집, 7, 31-62.
박정숙, 박옥임, 김진희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1.
법무부 (2011). 국내체류외국인 및 불법체류 외국인 총괄현황. 서울: 법무부.
보건복지가족부 (2010). 2010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서해정, 김형모 (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의 질과 결혼안정성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지, 36(2), 359-389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송기범 (2010).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집, 29, 40-69.
송미경 (2008).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상담의 모색. 여성연구논총, 23, 41-51.
송복희 (2007).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및 가정생활교육 효과: 익산시 결혼이민자 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농촌사회학회지, 16(2), 151-179.
양순미, 정현숙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양승민 (2008).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지역 다문화가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오세걸 (2010). 다문화가정의 지원실태와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형숙 (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김성국․정근식․유명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pp.321-349). 서울: 한울.
이선주, 양애경, 장미혜, 최현미, 송성실 (2008).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사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구축(Ⅱ).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이윤정 (2010). 다문화가족 지원 법률과 정책, 제도에 기반한 사업 및 프로그램의 방향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0(5), 370-378.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 (2010). 결혼이주여성의 삶 그리고 인권: 2006~2009년 상담실적 분석. 서울: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
임은미, 정성진, 김은주 (2010). 국내 다문화 연구와 다문화 상담 연구의 현황. 상담학연구, 10(3), 1291-1304.
장명선, 장은애 (2010). 다문화가족지원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정책개발 보고서.
장영임 (1999). 문제의 심각도, 사회적 지지 및 상담자에 대한 신뢰가 상담요청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은선, 이현정 (2010).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 상담관련 종사자들의 현장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9(4), 817- 846.
최연실 (2011). 다문화가족의 복지욕구와 복지서비스의 현황 분석 및 통합적 개선방안 탐색: 가족상담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3), 61-93.
통계청 (2011). 2010년 혼인통계결과.
한재희 (2011). 한국적 다문화상담. 서울: 학지사.
Goodman, S. H., Sewell, D. R., & Jampol, R. C. (1984). Ongoing to the counselor: Contribution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s to the decision to seek psychological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3), 306-313.
Myers, R. (1990),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 applications(2nd ed..). Boston, MA.: Duxb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