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메뉴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Analysis of Male and Femal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of 424 male and female program participants from 36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nation-wide in Korea,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male group, age, debt, and family suppo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while depressed mood, professionals’ support, and family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in the female group. While males’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were found to be higher with older age, possessing no debt, and higher family support, femails’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were found to be higher when they felt less depressed, and received more support from professionals and their family.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support played an important role both i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and was found that differen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in male and female program participants. It was also discussed that policy and micro-level intervention need to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s in promoting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keywords
Self-sufficiency,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Gender differenc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Self-sufficiency,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Gender differenc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자활, 자활의지, 성별차이, 자활사업 참여자

Reference

1.

강남식, 신은주, 성정현 (2002). 여성 조건부 수급자들의 실태와 자활의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19, 23-50

2.

강민정 (2000). 사회적 지지가 가출 청소년의 일에 대한 태도, 자립의지, 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출 청소년 부랑 경험의 정도와 형태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용신 (2009). 자활서비스 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구인회 (2002).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 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8, 82-112.

5.

김교성, 강철희 (2003).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2, 5-32.

6.

김교성, 반정호 (2004). 고용상태와 빈곤경험이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8, 31-54.

7.

김선희 (2001). 쪽방거주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세원 (2005). 자활사업 대상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전광역시 자활후견기관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승의 (2007).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욕 및 취업 창업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수현 (2001). 저소득 여성가구주 자활촉진을 위한 지역사회의 실천과제. 토론회 자료집.

11.

김인숙 (1994). 빈곤여성의 사회적 환경 요인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영미 (2002). 자활지원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참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연정 (2006). 자활사업의 자활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자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은선 (2005). 빈곤여성가구주의 심리 사회적 요인이 자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지영 (2003).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자활사업 참여 지속자와 중단자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형용 (2010). 지역사회 건강불평등에 대한 고찰-사회자본 맥락효과에 대한 해석. 한국사회복지학, 44(2), 59-92.

17.

나구원 (2011). 자활사업 프로그램 유형이 참여자의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노희경 (2004). 자활사업 참여자의 근로의욕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활후견기관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9.

박경숙, 박능후 (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조사 및 자활프로그램 개발. 경기도.

20.

박병헌 (1997). 빈곤의 지속기간에 관한 연구: 자활보호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32, 45-67.

21.

박영란, 강철희 (199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 91-116.

22.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백지은 (2010).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사회적지지 경험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25-445.

24.

보건복지부 (2012). 2012년 자활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5.

보건복지부 (2010). 보건복지백서.

26.

손수진 (2004). 자활후견기관의 자활사업 효과성에 대한 연구Ⅰ: 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6, 210-235.

27.

신은주 (2004). 근로빈곤층의 가구유형과 근로능력에 따른 빈곤기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변규란, 이정은, 최수찬 (2007). 모자보호시설 가구주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1, 139-166.

29.

안종순 (2001).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자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동구 저소득 여성가구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엄태영 (2004). 자활공동체 참여자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엄태영, 김동기, 허미경 (2008). 자활사업 실무자에 대한 만족도와 동료지지가 여성 자활근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 1-24.

32.

엄태영 (2009). 자활사업 참여자의 취업에 대한 개인 및 지역자활센터 조직요인 연구-통합교육보조원 자활근로사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엄태영 (2010). 자활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자활장벽 요인에 대한 정서적 자활의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6(2), 229- 248.

34.

이래혁, 김승아, 노혜진 (2007).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사회 특성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자활후원기관협회 자활사업논문공모전 자료집, 6-39.

35.

이병하 (2003). 자활후견 프로그램 참여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상록 (2003). 자활사업에 대한 자활사업 참여자의 인식과 태도가 자활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21, 105-136.

37.

이상록, 진재문 (2003) 지역사회 탈빈곤정책의 효과분석: 경남, 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의 모색. 한국사회복지학, 52, 241-272.

38.

이인숙 (2001) 도시빈곤가족 여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사회스트레스 모델의 유용성. 사회복지연구, 4, 27-56.

39.

이형하, 조원탁 (2004). 한국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 217-244.

40.

정원오, 김진구 (2005). 자활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 사회복지연구, 28, 35-67.

41.

정재욱 (2011). 자활근로사업 참여자의 참여효과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발전연구, 11(1), 127-156.

42.

중앙자활센터 (2011). 자활사업안내(http://www. cssf.or.kr).

43.

최종희 (2010). 사회적지지가 자활대상자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홍경준 (2004). 빈곤에 대한 동태적 분석: 빈곤주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4, 187- 209.

45.

황정임 (2005). 빈곤여성의 자활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Amy, L. E. S. (2000). Situational and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uccessful Transitions from Welfare to Work.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47.

Bane, M., & D. Ellwood. (2001). Welfare Rearlities. in Linda M. Procino. Moving toward Self-Sufficiency in Conneticut: The Impact of Risk and Informal Social Support on Employment Adaptation for High-risk TANT Recipients. Ph. D. Dissertation, Fordham University.

48.

Belle, D. (1982). Lives in Stress: Women and Depression. Sage Publication.

49.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50.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51.

Danziger, S. K., Kalil, A. & Anderson, N. J. (2000). Human capital,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of welfare recipients; Co- occurrence and correlates. Journal of Social Issues, 56(4), 635-654.

52.

Edward, M. E., Plotnick, R. & Klawitter, M. (2001). Do attitud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ffect Social Economic Outcomes? The case of welfare by young women. Social Science Quarterly. 82(4), 817-827.

53.

Feingold. A. (1994). Gender Difference in Personality: A Meta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3), 429-456.

54.

Fiorentine, R. (1988). Increasing similarity in the values and life plan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vidence and implications, Sex Roles, 18, 143∼158.

55.

Greene, B. A. & Debacker, T. K. (2004). Gender and Orientations Toward the Future: Links to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6(2), 91-120.

56.

Harris, K. M. (1996). Life after Welfare: Woman, Work and Repeat Dependenc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9: 317-352.

57.

Hawkins, R. L. (2002). How Low-income Single Mothers Leave Welfare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The Rol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Ph. D. Dissertation. Brandeis University.

58.

Holahan, C. J., Moos, R. H. , Holahan, C. K. & Brennan, P. L. (1997). Social context,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An expanded model with cardiac pati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4), 918-928.

59.

House, J. S., Pauls, M. L. & Pamela, H. (2005).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Over the Life Course: Evidence from a Natioinally Representative Logitudianl Study form 1986 to 2002.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605B (Special Issue Ⅱ): 15-26.

60.

Kalil, A., Schweingruber, H. A. & Seefeldt K. S. (2001). Correlates of Employment Among Welfare Recipients: D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Matter?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5), 701-723.

61.

Kaplan, H. & Robbinson, C. & Maetin, S. (1983). Antecedent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Adult: Self-rejection, Deprivation of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 93-115.

62.

Kling, K. C., Hyde. J. S., Shower, C. J. & Buswell, B. N. (1999). Gender Difference in Self Esteem: A Meta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5(4), 470-500.

63.

Konrad, A. M., Ritchie, E. J., Lieb, P. & Corrigall, E. (2000). Sex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job attribute preferences: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6(4), 593-641.

64.

Kunz, J. & Kail, A. (1999). Self-esteem, self-efficacy, and welfare use. Social Work Research, 24(2), 119-124.

65.

Link, B. G. & Phelan, J (1995). Social Conditions as Fundamental Causes of Diseas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Extra Issue, 35, 80-94.

66.

Mizell, C. A. (1998). Rising Above Poverty; The Consequences of Poverty Statu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Earning; Research Summaries are published by North western University. University of Chicago Joint Center For Poverty Research. 6(2).

67.

Mirowsky, J. & Ross, C. E. (2003). Social Causes of Psychological Distress. (2nd ed.) NY: Aldine-de Gruyter.

68.

Peter A. & Dennis K. O. (1997). Predictors of Employment and Earnings among Jobs Participants. in Partical L. Ewalt, Ewalt M. Freeman, Stuart A. Kirt and Dennis L. Poole(eds.) Social Policy: Reform, Research and Practice, NASW Press.

69.

Rebbeca, K. Y. (2000). Factors associated with employment status of parents receiving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Social Work Research; Washington. 24, 211-222.

70.

Sandefur, D. & Cook, T. (1998). Permanent Exits from Public Assistance: The Impact of Duration, Family, and Work, Social Forces. 77(2), 763-787.

71.

Taylor, L. C. (2001). Work Attitudes, Employment Barriers, and Mental Health Symptoms in a Sample of Rural Welfare Recipien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3), 443-463.

72.

Worthley, R., MacNab, B., Brislin, R., Ito, K. & Rose, E. L. (2009). Workforce motivation in Japan: an examination of gender differences and management perception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0(7).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