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A Understandi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Adaption in Single Parent Famil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understanding the issues related to adolescents’ development and adaption in single-parent families. This study reviewed 117 academic articles for conceptu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adaption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major aspects related to the single-parent family's adolescen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verty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Second, the types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its characteristics, Thir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external and internal problems, school adaptation, parenting, long-term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their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y'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factors and familial structural defects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style, parent-adolescents relationship, family resilience, the role of co-parents, social support systems including teacher, peer, and community), Lastly intervention and helping programs for the single-parent family and their adolescent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r helping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keywords
한부모 가정, 청소년, 발달, 적응, 문헌고찰, single-parent family, adolescents, development, adaption, literature review

Reference

1.

강원희, 유순화, 윤경미 (2010).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8(3), 357-379.

2.

강지원 (2009). 국제비교를 통해서 본 한국의 한부모가족정책. 보건사회연구, 29(2), 30- 54.

3.

고은주, 김진욱 (2009). 한부모 가구의 빈곤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2), 219- 236.

4.

고정자 (2005). 부모의 감독정도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2), 1-17.

5.

공수연, 양성은 (2011). 성인 자녀의 부모 사별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5), 885-896.

6.

곽금주, 김정미, 유제민 (2007). 만 3세 아동에 대한 빈곤, 부모변인, 가정환경 및 아동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3), 83-98.

7.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

8.

권선영, 이미옥 (2011). 입체조형 활동을 중심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8(3), 1-20.

9.

권용신, 백경숙 (2004).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지, 9(2), 87-99.

10.

금명자 (2008).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299-317.

11.

김경미, 이하나, 정주리, 정현주, 이기학 (2006). 갈등적 독립수준, 자기주장성,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살펴본 부모화의 하위 집단별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1), 19-32.

12.

김경신 (2009), 이혼가정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향상과 우울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4(2), 35-54

13.

김경은, 최은희 (2010).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19(4), 641- 653.

14.

김경희 (2007). 효과적인 한부모 여성가장 집단을 위한 웹 커뮤니티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5(1), 10- 13.

15.

김광혁 (2010). 빈곤이 아동의 우울․불안에 미친 영향: 빈곤의 기간 및 시기, 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1(1), 5-31.

16.

김대동 (2004). 실존주의 상담에서의 죽음의 의미와 상담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김민강, 이희영, 최태진 (2012).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아동교육, 21(2), 75-90.

18.

김민경, 최은영 (2003). 집단미술활동이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7(2), 59-74.

19.

김상훈, 이재진, 강승묵, 김수아, 박선영, 박유리 (2010). 여성 한부모 가정의 경제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학술대회논문집, 2010(1), 260-260.

20.

김서현, 홍은주 (2008). 해결중심 가족치료를 적용한 집단 모자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모-자 관계,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5(2), 295-316.

21.

김선아 (2011). 이혼가정아동의 외현적 공격성과 내면문제 발달궤적과 초기 보호요인과의 관계: 결혼가정과의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16(3), 5-34.

22.

김수정 (2007).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원인과 빈곤위험의 젠더격차. 페미니즘연구, 7(1), 93-133.

23.

김수주 (2004). 미술활동을 통한 집단상담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존감 및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김순옥, 전주람, 김영숙 (2012). 한부모 가족의 자녀에 대한 연구고찰-가족학 전문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113-128.

25.

김승경, 강문희 (2005). 이혼가정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위험-보호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아동학회지, 26(1), 261-278.

26.

김승권, 김연우 (2012). 한부모가족정책의 실태와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186, 59-69.

27.

김연우 (2010). 가족구조의 변화가 성인이행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교육성취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1(4), 225-246.

28.

김연우 (2012). 한부모가족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7, 50-59.

29.

김영희, 한경혜 (2006). 이혼 후 비양육부모의 자녀와의 접촉 및 관계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4(8), 23-32.

30.

김오남 (2004). 모자가족 청소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11(3), 43-62.

31.

김은경 (2003).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김은경 (2011). 가정환경과 수치심, 죄책감이 남녀 청소년의 부모화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3), 77-90.

33.

김은아, 김정남 (2011), 놀이중심 자기표현 훈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불안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18(2), 134-150.

34.

김인숙, 김명숙 (2007). 노인-한부모․저소득 가정 아동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논문집, 8(1), 23-52.

35.

김재철, 성경주, 최원형 (2010). 초기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부모애착, 교사애착, 친구애착의 영향비교. 아동교육, 19(1), 97-113.

36.

김정미, 최외선 (2007). 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3(1), 61-82

37.

김정민, 유안진 (2005). 부모의 이혼과 청소년의 우울과 외로움. 인간발달연구, 12(4), 159-176.

38.

김정민, 이유리 (2010).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 정서지능 및 부모화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3-26.

39.

김정민, 장재홍 (2008). 일반가정 청소년과 이혼가정 청소년에서 부모애착과 이성애착간의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5(4), 151- 172.

40.

김정희, 정다운 (201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0(5), 967-981

41.

김진미 (2006).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 학교적응,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1(1), 105- 124.

42.

김진욱 (2010). 한부모 가구의 빈곤과 소득이전: 양부모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1), 101-125.

43.

김행섭, 김진숙 (2009). 자녀 스트레스가 여성 한부모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과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9(4), 1567-1584.

44.

김현주, 이성애 (2011).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한부모가족과 양부모 가족의 비교. 청소년복지연구, 13(3), 215-241.

45.

김혜영 (2012). 청소년 한부모 지원정책의 쟁점과 방향. 2012년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연구 콜로키움 자료집, 2-32.

46.

김희주, 권종희, 최형숙 (2012).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6(6), 121-155.

47.

남영옥 (2010). 이혼가정 자녀와 양부모가정 자녀의 학교적응 비교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1(3), 219-243.

48.

노정화 (2006).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동아일보 (2009. 10. 10). [인천/경기] 학업포기 중고생 작년 5만2524명… 인천은 3077명 [On-Line]. http://news.donga.com/3/all/2009 0930/8815804/1.

50.

류경희 (2003).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대한가정학회지, 41(12), 147-168.

51.

민하영 (1992).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3(1), 112-124.

52.

민하영, 이윤주, 김경화 (2008). 여성 한부모 및 양부모 가정의 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소외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3), 15-23.

53.

박복순 (2008). 한부모가족을 위한 외국의 법과 정책. 한국한부모가정학. 1(1), 41-73.

54.

박설미, 여인숙 (2009).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3(2), 29-44.

55.

박성미, 이지연, 장진이 (2012).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9(3), 565-581.

56.

박은민 (2010).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75-88.

57.

박정주 (2011). 교사애착이 학생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333-352.

58.

박주연 (2011).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한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9.

박찬인, 양정빈 (2010). 여성 한부모 가정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모교육연구, 7(2), 41-65.

60.

박태영 (2006). 이혼한 한부모 가정에 대한 가족치료. 사회과학논총, 9, 125-158.

61.

박한샘 (2003). 이혼가정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문헌적 고찰. 상명대학교 교수논문집(2차).

62.

박한샘, 연문희 (2004). 부모 이혼 후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1-29.

63.

박한샘, 전명희 (2003). 이혼부모의 자녀양육관련 상담분석; 사이버상담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1(1), 137-151.

64.

박현선 (2008). 빈곤지위가 아동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빈곤대리변수와 빈곤동반 위험요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6, 113-137.

65.

박현선, 이현주, 정익중 (2011). 학업성취와 학교만족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 빈곤 및 비빈곤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3), 183-206.

66.

박현선, 정익중, 구인회 (2006). 빈곤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동권리연구, 10(3), 269-295.

67.

박현주 (2011). 한부모 가족 아동의 심리적응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7(1), 207-235.

68.

방진희 (2004). 저소득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심리, 사회 적응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복지실천, 4, 113- 142

69.

배미경 (2010). 한부모가정 유형에 따른 자녀의 학교적응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교류분석학회, 7(2), 47-73.

70.

변호순, 최정균. (2011). 미국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6, 133-163.

71.

보건복지부 (2012). 보건복지부 (내부행정자료)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현황.

72.

서영숙, 황은숙 (2004). 한부모가정과 이혼 이해교육. 서울: 양서원.

73.

석소현, 신성희 (2010).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력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40(3), 367-377.

74.

석주영, 박인전 (2009). 빈곤가정 아동의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양부모가족과 여성한부모가족 아동의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14(2), 29-50.

75.

성미애, 진미정 (2009).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가족과 문화, 21(3), 1-28

76.

성정현, 송다영, 한정원 (2003). 한부모가족 아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2, 273-299.

77.

성지희 (2006). 이혼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학교 기반 집단개입 프로그램 연구. 학교사회복지, (11), 85-115

78.

송은주, 이지연 (2010).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우울과의 관계에서 부모화 경험의 매개효과검증. 상담학연구, 11(1), 335-354.

79.

송치호, 여유진 (2010). 한부모가구와 양부모가구 간 빈곤율 차이에 대한 요인분해: 미국과의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 17(3), 223 -255

80.

신애란 (2002).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1.

신인순 (2008). 비만한 빈곤 아동청소년 이야기. 청소년문화포럼, 18, 249-258.

82.

신현숙, 곽유미, 김선미 (2012). 청소년이 지각한 통제적 양육행동과 공격성의 관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2), 347-366.

83.

심창학 (2003). 프랑스의 한부모 및 가족 복지 정책의 특징. 한국가족복지학, (12), 125-154.

84.

양소영 (2002). 편부모 가족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해결 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5.

양숙경, 문혁준 (2012). 가족기능,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일반자녀와 직업군인자녀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9(2), 115-130.

86.

양한연 (2009). 싱글맘의 심리적 지원체계로서의 자조모임. 한국한부모가정학, 2(1), 39- 56.

87.

엄태영, 박은하, 주은수 (2011).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3), 197-222.

88.

여성가족부 (2006). 이혼 후 자녀양육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89.

연합뉴스 (2011. 08. 25). 양천구 한부모 가정 정신건강 조사 [On-Line]. http://news.naver. com /main/read.nhn?mode=LSD&mid=sec&sid1 =102&oid=001&aid=0005228749.

90.

오금조, 유영달 (2010).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성과 부모표상 지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5(1), 83-100.

91.

오미경, 이수희 (2010).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4), 237-259.

92.

오승환 (2001).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 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연구. 한국아동 복지학, 12, 109-133.

93.

왕혜옥, 김광웅 (2004).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애착안정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1(2), 77-88.

94.

유성경 (2002). 청소년 비행관련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의 남녀별 차이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2), 201-217.

95.

유순화 (2010).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안녕감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0), 233- 252.

96.

유안진, 이점숙, 서주현 (2005). 가족구조에 따른 청소년 비행. 대한가정학회지, 43(10), 91-102.

97.

유희정 (2005). 이혼 후 비양육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및 협력적 부모역할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 185-216.

98.

윤기영 (2002). 부모-자녀관계 관련연구의 최근 동향분석. 교육발전, 21(1), 169-197.

99.

윤명숙, 이묘숙, 김남희, 정향숙 (2012). 이혼가정 자녀의 상실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35, 73-104.

100.

이경상 (2011). 빈곤이 청소년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3), 261 -280.

101.

이경연, 박기환 (2010). 청소년의 부적응적 사고와 또래관계의 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8, 5-23.

102.

이경은, 이주리 (2008). 한부모 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관한 연구: 양부모 가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5(2), 1-16.

103.

이금, 박옥임, 이경주 (1994).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6-25.

104.

이봉주, 김선숙, 김낭희 (2010).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1, 107-141.

105.

이수림, 이자영 (2011). 저소득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부모교육 프로그램(유아기편) 개발 요구 분석: 드림스타트 현장전문가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9(1), 1-21.

106.

이 숙, 지선례 (2010).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아동의 개인적 변인과 가족 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5), 119-128.

107.

이순형, 이옥경, 김지현 (2005).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과 불안 판별 연구: 자기효능감, 또래애착,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99-111.

108.

이승미, 김선미 (2005). 저소득 한부모가정, 사례에 비추어 본 지원방안 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95-112

109.

이애재 (2000). 편부모가족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양부모가족 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청소년학연구, 7(1), 69-93.

110.

이용우 (2006). 여성 한부모 가구의 빈곤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가간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25, 53-80

111.

이윤주, 김경화, 민하영 (2008).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살생각 및 시도와 소외감 및 진로장벽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6(1), 69-85.

112.

이은희, 구정화 (2009). 가족탄력성이 한 부모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61-80.

113.

이정영 (2007). 저소득층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관계망이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소외감과 우울감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4.

이주리 (2008).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내면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조절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29(3), 115-125.

115.

이주리 (2010).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외현화 문제 간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123-130.

116.

이필금 (2001). 사별 편모 가정의 사회․심리적 자립방안에 관한 질적 접근. 경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17.

이혜경 (2011). 한부모가족 지원정책의 변천에 따른 수급대상자 변화에 관한 연구. 지역발전연구, 11(1), 61-84..

118.

이혜승 (2004). 부모의 이혼과 양육형태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학교적응. 청소년학연구, 11(1), 421-441.

119.

이혜승, 이순형 (2003). 부모효능감 및 부모역할수행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내면적 증세에 미치는 영향: 이혼가정과 양부모가정의 학령기 아동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0(1), 11-29.

120.

장경문 (2003). 연구논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4), 143-161.

121.

장덕희, 장경아 (2009).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족보호요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4(4), 5-24.

122.

장덕희, 황동섭 (2009). 가족보호요인이 이혼에 따른 한부모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모자가정자녀와 부자가정자녀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개발연구, 15(4), 413-431.

123.

장은옥, 이승희, 곽수란 (2010). 부부갈등과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을 매개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6(4), 23-42.

124.

전수정 (2003). 양육 및 비양육 부모와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5.

정묘순 (2011).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가정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교. 청소년문화포럼, 26, 192-229.

126.

정재원, 김갑숙 (2011). 협동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8(6), 1205-1224.

127.

정지연 (2007). 부자가정의 가족기능과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8.

정태연, 최상진, 김효창 (2002). 아동과 어른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 성격적 관계적 및 과업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51-76.

129.

정현숙 (1993). 부모의 이혼에 따른 자녀들의 적응. 아동학회지, 14(1), 59-75.

130.

정혜림 (2012). 빈곤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언어․사회성발달 간 관계: 한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3), 67-97.

131.

조성연 (2004). 여성 한부모가족의 모-자녀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2(1), 153-167.

132.

조성연 (2004). 이혼으로 인한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과 청소년의 문제실태와 지원방안. 미래청소년학회지, 1(1), 55-80.

133.

조은영 (2004). 부모화된 자녀의 심리적 특성 및 가족 내 영향력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4.

조은영, 정태연 (2005). 부모화된 자녀의 개인적 및 가족관계적 특성: 자기보고 및 상담을 통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33-853.

135.

조현철, 양재철 (2008). 유아체육편: 한부모 가정 아동의 운동프로그램이 자기표출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1), 553-562

136.

주소희 (2008). 누적적 위험요인과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6, 61-86.

137.

지은선, 조결자 (2002). 학령기 정상가정자녀와 이혼가정자녀의 건강상태와 학교생활적응정도 비교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4), 743-156.

138.

차유림 (2011).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심리적, 행동적, 학업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혼가족과 사별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1), 31-55.

139.

차유림 (2012). 부모사별 이후 발생하는 부정적 생활사건이 청소년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신앙과 학문, 17(2), 201-227.

140.

차지영, 천성문, 김세일, 이형미, 윤영숙 (2011). 한부모가정의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7(1), 181-205

141.

채선미, 이영순 (2011).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 자아강도 및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5(1), 1-16.

142.

천혜정, 임유미 (2007). 모자보호 시설에 거주하는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9(3), 123-152.

143.

최명선, 강지희 (2008).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1(1), 43-53.

144.

최윤영 (2010). 집단 무용치료가 부자 가정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학회지, 10(2), 35-47

145.

최연실 (2005). 한국에서의 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정책과 서비스의 현황과 방향. 사회과학연구, 20, 1-15.

146.

최윤정, 이시연 (2006). 빈곤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와 비행 -보호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1, 89-113.

147.

통계청 (2010). 인구통계자료. 인구주택총조사.

148.

통계청 (2012). 장래가구추계. 인구주택총조사.

149.

한국가족문화원 (2009). 새로 본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경문사.

15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한국 가족보건사업 현황과 정책과제.

151.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2). 2011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152.

허미영 (2006). 빈곤의 여성화: 빈곤의 계기와 가족의 역할-부산. 경남지역 심층면접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2(4), 235- 262.

153.

황은숙 (2007). 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의 고충 비교 연구. 한부모 가정연구, 2(1), 1-20.

154.

현은민 (2008).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여성 한부모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4), 59-84.

155.

홍순혜 (200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육 부모의 경제 수준 및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7, 151-177.

156.

Amato, P. R. (1993). Children's adjustment to divorce: Theories, hypotheses, and empiric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1), 23-38.

157.

Amato, P. R. (2000).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s and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4), 1269-1287.

158.

Amato, P. R., & Flower, F. (2002).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3), 703-716.

159.

Amato, P. R., & Keith, B. (1991). Rarental divorce and adult well-be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1), 43-58.

160.

Balk, D. E., & Corr, C. A. (2002). Bereavement during adolescence: A review of research. In M. S. Stroebe, R. O. Hansson, W. Stroebe, & H. Schut (Eds.), Handbook of bereavement research: consequences, coping, and care (pp.199-218).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61.

Baril, M. E., Crouter, A. C., & McHale, S. M. (2007). Processes linking adolescent well-being, marital love, and coparent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1(4), 645-54.

162.

Baris, G. (1994). Caught in the Middle: Protecting the children of high-conflict divorce, NY: Lexington Books.

163.

Becker, D. & Liddle, H. A. (2001). Family Therapy with Unmarried African American Mothers and Their Adolesents. Family Process, 40(4), 413-427.

164.

Bjarnason, T., Andersson, B., Choquet, M., Elekes, Z., Morgan, M., & Rapinett, G. (2003). Alcohol Culture, Family Structure and Adolescent Alcohol Use: Multilevel Modeling of Frequency of Heavy Drinking among 15-16 Year Old Students in 11 European Countri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4(2), 200-209.

165.

Billingsley, A., & Giovannoni, J. M. (1971). Family, one-parent.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6(1), 362-373.

166.

Bronte-Tinkew, J., Scott, M. E., & Lilja, E. (2010). Single Custodial Fathers' Involvement and Parenting: Implications for Outcomes in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2(5), 1107-1127.

167.

Brown, L. S., & Wright, J. (2001). Attachment theory in adolescence and its relevance to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8(1), 15-32.

168.

Buehler, C., & Welsh, D. P. (2009). A processmodel of adolescents’triangulation into parents’marital conflict: The role of emotional reactivit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3(2), 167-80.

169.

Byng-Hall, J. (2002). Relieving parentified children's burdens in families with insecure attachment patterns. Family Process, 41(3), 375-388.

170.

Chester, C., Jones, D. J., Zalot, A. & Sterrett, E. (2007).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frican American youth from single mother home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parents and peers,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6(3), 356-366.

171.

Christopher, K. (2000). The effects of family. work and welfare on mother's poverty in the U.S and across western nation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izona.

172.

Chong, W. H., Huan, V. S., Quek, C. L., Yeo, L. S., & An. (2010).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Influence of Teacher Interpersonal Behaviors and Perceived Beliefs about Teacher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Low Achieving Students in Asian Middle School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1(3), 312-327.

173.

Ciarrochi, J., & Heaven, P. C. (2009). A longitudinal study into the link between adolescent personality and peer-rated likeability and adjustment: Evidence of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3(6), 978-986.

174.

Coffino, B. (2009). The role of childhood parent figure loss in the etiology of adult depression: findings from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1(5), 445- 470.

175.

Crawford, L. A., & Novak, K. B. (2008). Parent-child relations and peer associations as mediators of the family structure - Substance use relationship. Journal of Family Issues, 29(2), 155-184.

176.

Davies, P. T. & Forman, E. M. (2002). Children's patterns of preserving emotional security in the interparental subsystem. Child Development, 32(6), 97-108.

177.

Davies, P. T. (2002). Commentary: Conceptual links between Byng-Hall's theory of parentification and the emotional security hypotheses. Family Process, 41(3), 551-555.

178.

Farrington, D. P. (1990). “Age, Period, Cohort and Offending” in Gottfredson, D. M and Clarke, R. V. (Eds) Policy and Theory in Criminal Justice, (pp.51-75), Aldershot: Avebury

179.

Hudson, D. B., Campbell-Grossman, C., Keating- Lefler, R., & Cline, P. (2008). New mothers network: The development of an Internet- based social support intervention for African American mothers.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31(1), 23-35.

180.

Doyle, A. C., McLean, C., Washington, B. N., & Grange, D. (2009). Are Single-Parent Families Different from Two-Parent Families in the Treatment of Adolescent Bulimia Nervosa Using Family-Based Trea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2(2), 153-157.

181.

Dumka, L. E., Roosa, N. W,. & Jackson, K. M. (1997). Risk, conflict, mo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adjustment in low income, Mexican immigrant, and Mexic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2), 309- 323.

182.

Ehrensaft, M. K., Cohen, P., Chen, H., & Berenson, K. (2007). Developmental transitions in youth behavioral opposition and maternal beliefs in social ecological contex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6(4). 577-588.

183.

Esmaeili, N. S., Yaacob, S. N., Juhari, R., & Mariani, M. (2011). Post-divorce Parental Conflict, Economic Hard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es. Asian Social Science, 7(12), 119-124.

184.

Fagan, P. F., & Churchill, A. (January 11, 2012). The effects of divorce on children. Washington, D, C.: Marriage and Religion Research Institute.

185.

Fagan, P. F., & Rector, R. (2000). The effects of divorce in America. (Heritage Foundation Backgrounder Executive Summary. No 1373). Washington, D, C.: The Heritage Foundation.

186.

Farndale, F., Burton-Smith, R., Montgomery, I. & Shute, R. (2003). Anxiety in adolescents: The contribution of parental divorce, parental conflict, and quality of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55), 226-226.

187.

Feinberg, M. E., Kan, M. L., & Hetherington, E. M. (2007).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coparenting conflict on parental negativity and adolescent mal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 687-702.

188.

Fleming, S. J., & Adolph, R. (1986). Helping bereaved adolescents: Needs and responses. In C. A. Corr & J. N. McNeil (Eds.), Adolescence and death (pp.151-166). New York: Springer.

189.

Gable, S., Belsky, J., & Crnic, K. (1995). Coparenting during the child‘s 2nd year: A descriptive accou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609-616.

190.

Garg, R., Melanson, S., & Levin, E. (2007). Educational aspiration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and two biological parent families: A comparison of influential fact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6(8), 1010-1023.

191.

Goosby, B. J. (2003). The impact of poverty duration on youth behavioral and cognitive outcomes. Ph. d. dis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192.

Greeff, A, P., & Fillis, Al. J. A. (2009). Resiliency in poor single-parent families. Families in Society, 90(3), 279-285.

193.

Guttmann, J., Geva, N., & Gefen, S. (1988). Teachers' and school children's stereotypic perception of The Children of Divorc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4), 555-571.

194.

Hamama, L., & Ronen-Shenhav, A. (2012). Self- control, social support, and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in divorced and two-parent families. Children & Youth Services Review, 34(5), 1042-1049.

195.

Hampden-Thompson, G. (2009). Are two better than one? A comparative study of achievement gaps and family structure. Compare: A journal of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39(4), 517-534.

196.

Hoffmann, J. P. (2006). Family structure, community context,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5(6). 867-880.

197.

Hooper, L. M. (2007). Expanding the discussion regarding parentification and its varied outcomes: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9(2), 322-337.

198.

Hsieh, M. O., & Leung, P. (2009). Protective factors for adolescents among divorced single-parent families from Taiwan. Social Work in Health Care, 48(3), 298-320.

199.

Jablonska, B., & Lindberg, L. (2007). Risk behaviours, victimisation and mental distress among adolescents in different family structure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2(8), 656-663.

200.

Jones, D. J., Forehand, R., Dorsey, S., Foster, S., & Brody, G. (2005). Coparent support and conflict in african american single mother- headed families: Associations with maternal and child psychosocial functioning. Journal of Family Violence, 20(3), 141-150.

201.

Jones, D. J., Shaffer, A., Forehand, R., Brody, G., & Armistead, L. P. (2003). Coparent conflict in single mother-headed African American families: Do parenting skills serve as a mediator or moderator of child psychosocial adjustment?. Behavior Therapy, 34(2), 259-272.

202.

Jurkovic, G. J. (2001). Parenrification of Adult Children of Divorce: A Multidimensional Analysis. Journal of Youth & Adolescence, 30(2), 245-258.

203.

Jurkovic, G. J., Thirkeild, A., & Morrell, R. (2001). Parentification in adult children of divorce: A multidimensional analysi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 245-258.

204.

Kalman, M. B. (2003). Adolescent girls, single- parent fathers, and menarche. Focus on Family Health. 17(1), 36-40.

205.

Kim, S., & Brody, G. H. (2005). Longitudinal pathways to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black youth living in single-parent household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9(2), 305-313.

206.

Kincaid, C., Jones, D., Cuellar, J., & Gonzalez, M. (2011). Psychological control associated with youth adjustment and risky behavior in african american single mother families.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20(1), 102-110.

207.

Kubler-Ross, E., & Kessler, D. (2000). Life lessons. New York, N. Y.: Scribner.

208.

Lichter, T. D. (2007). Family structure and poverty. In Ritzer, George (ed.),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ology. Blackwell Publishing, Blackwell Reference Online. 22 March 2011. http://www.blackwellreference.com.

209.

Lipman, E. L., & Boyle, M. H. (2005). Social support and education groups for single moth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community-based program. CMAJ.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3(12), 1451-1456.

210.

Luecken, L. J. (2000). Parental caring and loss during childhood and adult cortisol responses to stress. Psychology and Health, 15, 841-851.

211.

McCubbin, H. I., & McCubbin, M. A. (1988).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37, 247-254.

212.

McCubbin, H. I., & McCubbin, M. A. (1991). Family stress theory and assessment. In H. I. McCubbin & A. I. Thompson (Eds).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294-312).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213.

Magnuson, K., & Berger, L. M. (2009). Family Structure Satates and Transitions: Associations with Children's Well-Bing during Middle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1(3), 575-591.

214.

Maier, E. H., & Lachman, M. E. (2000). Consequences of early parental loss and separation for health and well-being in middle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4(2), 183-189.

215.

Mandara, J., Rogers, S. Y., & Zinbarg, R. (2011).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marijuana use. Journal of Marriage & Family, 73(3), 557-569.

216.

McHale, J. P., & Rasmussen, J. L. (1998). Coparental and family group-level dynamics during infancy: Early family precursors of child and family functioning during preschool.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0(1), 39-59.

217.

McLeod, J. D., & Shanahan, M. J. (1993). Poverty, parenting and children's mental healt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8(3), 351- 366.

218.

Mercer, D. L. & Evans, J. M. (2006). The impact of multiple losses on the grieving proces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n the grieving proces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Loss and Trauma, 11, 219-227.

219.

Milevsky, A., Schlechter, M., Nettter, S., & Keehn, D. (2007). Me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in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self- esteem, depression. Journal of Child Family Study, 16, 39-47.

220.

Mustonen, U., Huurre, T., Haukkala, A., Kiviruusu, O., & Aro, H. (2011). Long-Term Impact of Parental Divorce on Intimate Relationship Quality in Adulthood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social Resourc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5(4), 615-619.

221.

Rice, F. P., & Dolgin, K. G. (2009). 청소년 심리학[The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Culture]. (정영숙, 신민섭, 이승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1에 출판).

222.

Rodgers, K. B., & Rose, H. A. (2002). Risk and resiliency factors among adolescents who experience marital transitions.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4(4), 1024-1037.

223.

Shin, S. H., Choi, H., Kim M. J., & Kim, Y. H. (2010). Comparing adolescents’ adjustment and family resilience in divorced famil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primary caregiv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1695-1706.

224.

Sterrett, E. M., Jones, D. J., & Kincaid, C. (2009). Psychosocial adjustment of low-income African American youth from single mother homes: The role of the youth-coparent relationship.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8(3), 427-438.

225.

Thomas, B., Yiota, X., Christina, P., & Olympia, T. (2011). Preschool age children, divorce and adjustment a case study in greek kindergarten. Electronic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9(3), 1403-1426.

226.

Walsy, F., & McGoldric, M. (1991). Living Beyond Los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27.

Walsh, F. (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28.

Wang, M., & Ngai, S. S. (2011). The Effects of Single Parenthood on Educational Aspiration: A Comparative Study of Children in the United Kingdom and Hong Kong. Child & Youth Services, 32(2), 135-154.

229.

Wells, M., & Jones, R. A. (2000). Childhood parentification and shame-pronteness: A preliminary study.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8(1), 19-27.

230.

Werner, E., & Smith, R. (1982). Vulnerable but invincible: A longitudinal study of resilient children and youth. New York: McGraw-Hill.

231.

Wilkinson, R. B. (2010). Best friend attachment versus peer attachment in the prediction of adolescent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adolescence, 33(5), 709-717.

232.

Woodward, L., Ferguson, D. M., & Belsky, J. (2000). Timing of parental separation and attachment to parents in adolescence: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from birth to age 16.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2, 162-174.

233.

Zalot, A., Jones, D. J., Kincaid, C., & Smith, T. (2009). Hyperactivity, impulsivity, inattention (HIA) and conduct problems among African American youth: The roles of neighborhood and gende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7(4), 535-549.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