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based on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find out how much influence the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on the empowerment. Data was collected by surveying the 400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ross the n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factors of the demographic systematics, there were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depending on how old they are, how long they have been married, how much educated they are, what kind of jobs they have and how many children they have. Secondly, for the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of the optimistic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ing, the self-acceptance,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a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uprising have an influence on the sense of self-efficiency among other things. Thirdly, he self-acceptance,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a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uprising also have an effect on the self-esteem. In addition,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coming from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n impact on the lethargy-power. Lastly, the self-acceptance, autonomy,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derived from the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the social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ir autonomy.
곽금주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2008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6.
김갑성 (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 교육대학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순 (2006).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도희, 이경은 (2010). 다문화가정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로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5(2), 5-25.
김명성 (2009).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8, 6-27.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민정 (2011).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가정폭력이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3), 1-28.
김은경 (2010). 다문화가정 모-자녀의 긍정심리성향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 개발. 명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은영 (2001). 사회적 지지가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 개발원.
김정수 (2008). 청소년의 낙관성과 비관성이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처와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청소년학연구, 15(1), 271-299.
김현실 (201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0(2), 188-198.
남윤주, 이 숙 (2009). 다문화가족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애착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자아개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9), 27-36.
노충래, 김설희 (2012).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불안에 대한 개인요인 및 사회적 지지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9, 39-68.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다문화가정 지역정착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지원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송미경, 지승희 (2007).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총서) 130. 1-89.
신현숙 (2005). 청소년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대처의 매개효과. 청소년학 연구, 12(3), 165-192.
안미숙 (2010). 직장인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관계에 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옥경, 김연수 (2007).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79-110
여성가족부 (2013).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3), 61-83.
오옥선 (201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오옥선, 김성봉 (2012).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경험 들여다보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2), 235-260.
오정영 (2010). 자활사업참여자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기영, 박영희, 엄태완, 김현경, 김현아 (2009). 이주난민의 정신건강과 상담. 서울: 나눔의 집
이선미, 이경아 (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71-105.
이정희 (2013).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 혁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4), 89-221
정숙희 (2010). 정신분열증 환자의 영적 안녕 정도에 따른 임파워먼트와 회복에 관한 연구. 신앙과 학문, 159(2), 199-224.
조은아, 이희경 (2011). 낙관성/비관성이 대학생활 적응 및 긍정/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12), 351-374.
조인주, 현안나 (2012).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177-206.
지은진․최지명․김교헌․권선중․박은진․이민규 (2012).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7(1), 243-252.
차경호 (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8, 575-595.
차경호, 김명소 (2002).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특성.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3-209.
최정숙, 오지영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미술활동활용 집단프로그램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9), 319-348.
통계청 (2011). <인구통계 연보>, 대전: 통계청.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Carver, C. S. & Scheier, M, F. (1994). Situational coping and coping dispositions in a stressful trans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1), 184-195.
Chou, W. J. (2010). Maternal mental health and child development in Asian immigrant mothers in Taiwan.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yion, 109, 293-302.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oo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East, J, F (2001). Training women for leadership development: An empowerment miodel. Regional develop dialogue, 22(1), 66-76.
Gable, S. L., H. T., Impett, E. A., & Asher, E. R. (2004). What do you when go right? The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benefits of sharing positive ev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ogy, 87, 228-245.
Gutierrez, L. M. (1990). Working with of color: An empowerment perspective. A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35(2), 149-153.
Hobfoll, S, E. (2002).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 and adapta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6, 307-324.
Parsons R. J. (1999). Empowerment pratice in social work. Canadian Scholars' Press Inc.
Patterson, G. (1982).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family interac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um Associates.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ogers, E. S., Chamberlin, J., Elloson, M. L., & Cream, T. (1997). A consumer constructed scale to measure empowerment among users of mental health services. Psychiatric Services, 48(8), 1042-1047.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Seligman, M, E, P. (2004).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Spireitzer, G, M. (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5), 1442-1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