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재미 기러기엄마의 경험과 성장: 관계문화적 상담의 관점에서

Korean Kirogi Mothers’ Experience and Growth From the Relational-Cultural Therapy Perspective

초록

본 연구는 기러기엄마의 경험과 심리사회적 성장을 관계문화적 상담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상담적 개입의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관계문화적 이론은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여성의 관계성을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는 틀을 제공했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 한인사회 근교에 거주하는 14명의 기독인 기러기엄마들을 심층 인터뷰하고, NVivo 10을 활용하여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러기엄마의 심리사회적 성장을 저해하는 도전적 요인과, 성장을 도와주는 긍정적 자원이라는 차원이라는 2개의 차원이 추출되었다. 도전적 요인 차원에는 3개의 범주, 1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4개의 개념이 추출되었다. 도전적 요인의 개인내적 요인으로 비자발적 선택, 역할유능감 저하, 관계 위축감이, 가족적 요인으로 부부갈등, 모자 갈등, 부자 갈등이, 그리고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한인사회의 편견, 신분유지의 필요성, 미국내 차별, 물리적 거리가 있었다. 긍정적 자원 차원에는 3개의 범주, 10개의 하위범주, 21개의 개념이 추출되었다. 긍정적 자원의 개인내적 요인으로 역할 유연성 등의 성격특성과 종교성이, 가족적 요인으로 부부요인, 자녀의 적응적 생활, 부모-자녀간 원만한 관계, 시집과의 분리가, 그리고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통신의 발달, 한인사회의 접근성, 교육환경의 혜택, 신분유지의 필요성이 있었다. 기러기 엄마들은 기러기 생활 속에서 많은 도전거리를 만나지만 이를 자기공감과 상호관계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극복하면 자아성장을 이루어갈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계문화 상담적 개입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기러기엄마, 관계문화적 상담, 심리사회적 성장, Kirogi mothers, Relational-cultural therapy, Psycho-social growth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psychosocial needs and growth of Korean Kirogi mothers, and provide clinical implications from the relational-cultural therapy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4 Christian Kirogi mothers who were staying in Los Angeles (LA), California. Data was transcribed, and coded utilizing an analysis program called NVivo 10. Two dimensions, challenges and positive sources. emerg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These two domains were each saturated into three sub-domains: intra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o-structural factors. The results demonstrated how Kirogi mothers faced and coped with lif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When they face difficulties,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growth through self-empathy and mutual empathy in growth-fostering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ir relationship with God helps them grow further. Finally, effective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clinical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기러기엄마, 관계문화적 상담, 심리사회적 성장, Kirogi mothers, Relational-cultural therapy, Psycho-social growth

참고문헌

1.

김경화 (2010). 재미 기러기 어머니의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 211-239.

2.

김기화, 양성은 (2012). 기러기가족의 분거 경험에 관한 사회교환이론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50, 11-23.

3.

김선미 (2007). 재미 국제 장기 분거가족 전업주부의 일상적 삶과 정체성 유지에 관한 연구: ’기러기 엄마’되기 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 171-189.

4.

김성숙 (2006). 기러기아빠의 생활 변화와 적응문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 141-158.

5.

김양호, 김태현 (2009). 장기분거가족에 대한 일 연구: 기러기 가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 297-326.

6.

김양희, 장온정 (2012). 장기분거가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러기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 1-23.

7.

김영희, 최명선, 이지항 (2005). 뉴질랜드 거주 조기 유학생의 생활실태와 사회적지원 방안. 청소년학 연구, 13, 55-84.

8.

김주현, 송민경, 이현주 (2010). 기러기아빠의 분거가족 결정과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1, 107-133.

9.

엄명용 (2002). 장기분거가족의 전문직 남성문제: ‘기러기아빠’.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0, 25-43.

10.

유희정, 김세서리아 (2005). 자녀 해외유학 “기러기가족”의 가족구조 분석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2965- 2986.

11.

이은진, 이지연 (2013). 관계-문화적 이론(RCT: Relational-Cultural Theory)의 이해와 국내 상담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고찰. 상담학 연구, 14, 2585-2620.

12.

조 은 (2004). 세계화의 최첨단에 선 한국의 가족-신글로벌 모자녀 가족사례연구. 경제와 사회, 64. 148-173.

13.

조은숙 (2010). 초국적 가족의 분거와 순차적 이민을 통한 재결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족체계 변화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 91-115.

14.

조은숙, 남영주 (2010). 초국적 분거부부의 섹슈얼리티와 친밀성: 기러기 가족현상을 통해 본 한국인의 부부관계 일 특성.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8, 135-160.

15.

조혜선 (2004). 조기교육과 어머니역할. 한국여성학, 20, 123-161.

16.

최양숙 (2005). 비동거 가족경험: ‘기러기아빠’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7.

최양숙 (2006). 부부분거경험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본 기러기가족 현상. 가족과 문화, 18, 37-65.

18.

최양숙 (2008). 자녀의 조기유학으로 인한 분거가족에서 나타나는 사회심리적 기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 67-97.

19.

Ahn, K. (2009). South Korean transnational mothers: familism, cultural criticism and education proje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axwell School of Syracuse University.

20.

Cha, C., & Kim, E. (2013). Assessing the role of culture in Korean Goose Mothers' live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 1-8.

21.

Choi, H. A. (2005). Korean women and God: Experiencing God in a multi-religious colonial context. Maryknoll, NY: Orbis Books.

22.

Chung, J. (2008). Our stories, our lives: Korean women, self esteem and practical the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mory University.

23.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Thousand Oaks: Sage.

24.

Duffey, T. (2007). Promoting relational competencies in counselor education through creativity and relational-cultural theory. Journal of Creativity in Mental Health, 2, 47-60.

25.

Gilligan, C. (1993).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6.

Jordan, J. (1997). Relational development: Therapeutic implications of empathy and shame In J. Jordan (Ed.), Women’s growth in diversity (pp.138-161). New York, NY: Guilford Press.

27.

Jordan, J. (2000). The role of mutual empathy in relational/cultural therap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Session, 56, 1006-1016.

28.

Jordan, J. (2004). Toward competence and connection. In J. Jordan et al. (ed.), The complexity of connection (pp.11-27). New York: Guilford Press.

29.

Jordan, J. (2010). Rel.ational–cultural therap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0.

Kim, T. (2012). Globalization, new technologies, and intercultural flexibility: Communication and culture of Korean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klahoma.

31.

Lee, H. (2010). ‘I am a Kirogi Mother’: Education exodus and life transformation among Korean transnational women. Journal of Language, Identity, and Education 9, 250-264.

32.

Miller, J. (1984). The development of women’s sense of self. Wellesley, MA: Wellesley College, Stone Center.

33.

Miller, J. (1991). The development of women’s sense of self. In J. Jordan et al. (eds.), Women’s growth in connection (pp.64-89).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4.

Miller, J., & Stiver, I. (1994). Movement in therapy: honoring the strategies of disconnection. Wellesley: The Stone Center, Wellesley College.

35.

Park, S., & Abelmann, N. (2004). Class and cosmopolitan striving: Mothers’ management of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Anthropological Quarterly, 77, 645-672.

36.

Shin, H. (2010). ‘Gireogi Gajok’: Transnationalism and language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37.

Slote, W. H. (1996). Koreans abroad in therapy. In A. Roland, Cultural pluralism and psychoanalysis (pp.187-198). New York, NY: Routledge.

38.

Stiver, I. P. (1991). Beyond the oedipus complex: Mothers and daughters. In J. D. Jordan et al. (ed.), Women’s growth in connection (pp.97-121).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39.

Tsuya, N. O., & Choe, M. K. (2004). Investments in children’s education, desired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N. O. Tsuya & L. L. Bumpass. Marriage, work, and family life in comparative perspective: Japa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p.75-94).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