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nxiety: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를 살펴보는 한편,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생 491명의 부모 애착 척도, 한국청소년개체화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특성불안 척도 결과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첫째, 애착과 분리-개별화의 상관분석 결과, 두 변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애착, 분리-개별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의 불안 예측력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보았을 때, 남학생의 불안에 있어서는 애착, 분리-개별화, 정서적 지지가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여학생의 불안에 있어서는 분리-개별화, 평가적 지지가 불안을 가장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에서는 앞서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한다고 밝혀졌던 정서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고, 여학생에서는 앞서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한다고 밝혀졌던 평가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유의함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애착, 분리-개별화, 사회적 지지, 불안, 완충효과, 성차,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Social support, Anxiety, the interaction effect, Gender differenc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nxiety, and to compare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each gender. The sample comprised 491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measurements u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Korean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Questionnaire, Perceived Social Support Inventory,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paration-individuation. Second.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emotional suppor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nxiety. On the other hand. in female university stud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evaluative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to anxiety. Finally,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support was non-significant in male university student's. But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teraction effect of evaluative support was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more gender-specific, integrates approaches for anxiety prevention or intervention.

keywords
애착, 분리-개별화, 사회적 지지, 불안, 완충효과, 성차,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Social support, Anxiety, the interaction effect, Gender difference

참고문헌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건강보혐심사평가원 보도자료.

2.

곽민정 (2005). 초중등학생의 심리사회적 발달 수준 및 분리개별화 과정에 따른 발달의 분기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례 (2006).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상옥 (2010).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세영 (2004). 아동의 분리개별화가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용희 (2009). 아동의 부모 분리개별화와 애착이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07-124.

7.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의 한국표준화 연구. 최신의학, 21(11), 69-75.

8.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진아 (2001).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과 우울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

배성희 (1995).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애착 및 대인불안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백지숙, 도현심, 박성연 (1998). 한국청소년후기개체화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0), 89-102.

12.

사회적 지지 연구회(2002). 사회적 지지와 건강. 서울: 현문사.

13.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4.

송종용 (1988).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및 사회적 지지가 이중과제의 수행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노라 (2000). 성인 애착 유형과 대인불안 수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신 미 (2006). 부와 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 및 여대생의 성인애착.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안귀여루 (1988). 스트레스와 관련된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 완충효과의 성차.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엄태완, 강명진, 최정순 (2008). 청소년의 스트레스,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과 사회적 지지: 성차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22. 5-30.

20.

윤승경 (1989). 청년기 자녀의 애착과 독립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혜정 (1993).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관계망 지지 지각.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윤화정 (2004). 기혼여성의 가족분화 및 분리개별화 수준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경주 (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기숙, 박소영 (2000).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기학, 이경아, 이정화 (2008). 2008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연세상담연구, 24, 3-44.

26.

이선미 (2007).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전략 및 사회적 지지와 간질 환자의 삶의 질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신숙, 이경주 (2002).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 노년학, 22(1), 1-20.

28.

이영자 (1994).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9.

이영자 (1995).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역할. 논문집 3, 195-242.

30.

장영희 (2013). 청소년 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1.

장휘숙 (1997). 청년기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4(1), 88-106.

32.

장휘숙 (2002). 청년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분리-개별화 및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1), 101-121.

33.

정정숙 (1994). 자아 정체감과 독립성 및 애착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조아미 (2005).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취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43(3). 137-155.

35.

조화진 (2005). 부모와의 애착 및 분리-개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6.

조화진, 서영석 (2010).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411.

37.

한상희 (2005). 청소년의 애착유형과 대인불안 및 우울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청구논문.

38.

홍상욱, 엄경순, 배옥현 (2003). 현대가족에서의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 139-155.

39.

황수민, 방희정, 신지은 (2010). 애착과 대인관계: 남자 대학생의 부모애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1). 67- 86.

40.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41.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42.

Bal, S., Crombez, G., Van Oost, P., & Debourdeaudhui, I. (2003).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well-being and coping with self-reported stressful events in adolescents, Child Abuse & Neglect, 27(12), 1377-1395.

43.

Barnett R. C., Brauch G. K.., & Biener L. (1987). Gender and stress. New York: Free. Press.

44.

Bell, N. J., Avery, A. V., Jenkins, D., Feld, J., & Schoenrock, C. J. (1985).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competence during late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4(2), 109-115.

45.

Bloom, M. V. (1987). Leaving home: A family transition. The psychology of separation and loss.

46.

Blos, P. (1979). The adolescent passage.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7.

Bowlby, J. (1958).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 Analysis, 39. 350-373.

48.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49.

Bowlby, J. (198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Basic Books.

50.

Cassidy, J. (2001). Truth, lies and intimacy: An attachment perspective.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3, 121-155.

51.

Cohen, S., & Wills, T.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52.

Davis C., Cohen, R., & Apolinsky, F. (2005). Providing social support to cancer patients: A look at alternative methods. Jo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3(1), 75-84.

53.

Dweck, C. S., & Bush, E. S. (1976). Sex difference in learned helpless:Ⅰ. Defferential debilitation with peer and adult evaluators, Developmental Psychology, 12(2), 147-156.

54.

Dweck, C. S., Davidson, W., Nelson, S., & Enna, B. (1978). Sex difference in learned helpless:Ⅱ.The contingencies of evaluative feedback in the classroom and Ⅲ. An experiment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14(3), 268-276.

55.

Fagot, B. (1978). The influence of sex of child on parental reactions to toddler children. Child Development, 49, 459-465.

56.

Frank, S. J., Pirsch, L. A., & Wright, V. C. (1990). Late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Relationships among deidealization, autonomy, relatedness, and insecurity and implications for adolescent adjustment and ego identity statu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6), 571-588.

57.

Frazier, P., Tix, A., & Barron, K.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1), 115-134.

58.

Greenberg M. T, Sirgel J. M., & Leitch, C. J. (1983).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2(5), 373-386.

59.

Hamilton, C. E. (2000).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attachment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1, 690-694.

60.

Higgins, T. E.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3), 319-340.

61.

Himle, David P., Jayaratne, & Srinika. (1991). Buffering effects of four social support types on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Social Work Research & Abstracts. Mar91. 27(1). 22-28.

62.

Hoffman, J. A. (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of late adolescents their par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170-178.

63.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e: Addison-Wesley Publishing Co.,3.

64.

Lakey, B., & Orehek, E. (2011). Relational regulation theory: A new approach to exhe link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Psychological Review, 118(3), 481-495.

65.

Larose, S., & Boivin, M. (1998). Attachment to parents, social support expectations, and socio emotional adjustment during the high school college transition.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8, 1-27.

66.

Mattanah, J. F., Hancock, G. R., & Brand, B. L. (2004). Pareantal Attachment, Separation- Individuation,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Mediational Effec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2), 213-225.

67.

Mikulincer, M., Shaver, P. R., & Pereg, D. (2003). Attachment theory and affect regulation; The dynamics, development and cognitive consequence of attachment-related strategies. Motivation and Emotion, 27(2), 77-102.

68.

Moore, W. (1987). Parent-adolescent separation; The construction of adulthood by late adolesc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3, 298-307.

69.

Moretti, M. M., & Wiebe, V. J. (1999). Self discrepancy in adolescence: Own and parental standpoints on the self. Merrill-Palmer Quarterly, 45(4), 624-649.

70.

Pilkonis, P. A., & Zimbardo, P. G. (1979). The person and social dynamics of shyness. In C. E. Izard (Ed.), Emotions in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New York: Plenum.

71.

Quintana, S. M., & Kerr, J. (1993). Relational needs in late adolescent separation- individuat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1, 349-354.

72.

Rice, K. G., Cunningham, T. F., & Young, M. B. (1997). Attachment to parent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well-being; A comparison of Black and White late adolesc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 89-101.

73.

Rice, K. G. (1992).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203-213.

74.

Rice, K. G., Lopez, F G., & Vergara, D. (2005). Parental/Social influences on Perfectionism and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4), 580-605.

75.

Ryan, R. M., & Lynch, J. H. (1989). Emotional autonomy versus detachment: Revisiting the vicissitudes of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Child Development, 60, 340-356.

76.

Serbin, L. A., O'Leary, K. D., Kent, R. D., & Tonick, I. J. (1973). A comparison of teacher response to the preacademic and problem behavior of boys and girls. Child Development, 44, 796-804.

77.

Shaffer, D. R. (1993). The Psychology of Adjustment. Boston: Houghton Mifflin Co.

78.

Shek, L. P., & Ma, S. (2001). Parent adolescent conflict and adolescent antisocial and prosocial behavior: A longitudinal Study in a Chinese context. Adolescence, 36(143), 545-555.

79.

Sjolander, C., & Bertero, C. (2008). The significa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s among newly diagnosed lung cancer patients in swede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0(3), 182-187.

80.

Sullivan & Suliivan (1980). Adolescent-parent separation. Development psychology, 16, 93-99.

81.

Thoits, P. (1993).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gavior, Special Number, 53-79.

82.

Wei, M., Vogel, David. L., Ku, T. Y., & R. A. (2005).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negative 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d of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cuto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1), 14-2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