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Psychological Environment, Typ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home and classroom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tudents and types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examine students' characteristics for each emotional intelligence typ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4 2nd, 5th and 6th graders(194 boys and 200 girls) who were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City. For the results, four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s were identified: Low emotional intelligence(Type 1) which showed low in all subsca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Low emotional which showed only low in emotional expression; Low empathy/low emotional regulation(Type 3) which showed emot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above the average but low in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High emotional intelligence (Type 4) which showed high in all subsca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ly, gender and grad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yp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lso, high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trong self-regulation efficac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class, while low emotional intelligence demonstrated low self-regulation efficacy and bad behavior in class. Thirdly, some psychological environment provided by home and classroom had strong effects on discriminating between four types of emotional intelligence. For example,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parent support, and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siblings had strong effects on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emotional intelligence types. In conclusion, necessity of a teaching-learning method customized for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ype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is discussed.

keywords
정서지능, 가정 및 교실의 심리적 환경, 자기조절효능감, 수업태도, 군집분석, emo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home and classroom, self-regulatory efficacy, attitude toward class, cluster analysis

Reference

1.

강은주, 김영주 (2006).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차이.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4), 113-133.

2.

강재원 (1994). 중학교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집단응집성 관계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금진 (2009).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교실의 사회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정서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초등교육학연구, 16(2), 21-40

4.

김경회, 김경희 (2000). 유아 정서지능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4), 21-34.

5.

김성연 (1998).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친밀감 및 신뢰감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순혜 (2003). 아동의 기질 및 양육태도와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4), 1-12.

7.

김아영 (1998). 동기이론의 교육현장 적용 연구와 과제: 자기효능감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2(1), 105-128.

8.

김의철, 박영신 (2001). IMF 시대 한국 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6(1), 77-105.

9.

김정원 (2002).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7), 247-261.

10.

김진태 (1999). 청소년의 감성지능 및 학급사회 환경지각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춘경, 한은수, 조민규 (2013).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구조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209-229.

12.

김혜래, 최승희 (2009). 가족건강성과 학교체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0, 159-182.

13.

문경숙, 김종백 (2010). 가정 경제의 변화에 대한 지각과 중간체계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2), 39-56.

14.

문용린 (1997a). 종합 진로․적성검사. 서울: 대교출판부.

15.

문용린 (1997b).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글이랑.

16.

문용린 (2003). MI 적성진로진단검사. 서울: 대교한국교육평가센터.

17.

문용린 (2011). 문용린 교수의 정서지능 강의. 서울: 북스넛.

18.

박상현, 손원숙 (2014).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정서 유형별 자기조절학습, 수학태도 및 수학성취도. 초등교육연구, 27(3), 49-73.

19.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200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5(2), 161-182.

20.

박정희 (2000). 초등학교 교실의 사회 심리적 환경과 소외수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현진, 양혜원 (2013).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5(1), 257-278.

22.

박화윤, 안라리 (2005). 유아의 형제 관계의 질과 또래유능성 및 정서능력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5(1), 91-109.

23.

송현정 (1998). 부부관계 및 부모 - 자녀관계가 장애자 형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이나, 손원숙 (2012). 영재와 일반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 분석: 개인-중심적 접근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1), 65-83.

25.

신재환 (2008). 초등학생의 가정환경 및 학업성적이 정서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7(2), 193-201.

26.

안계향 (2009). 중요한 타인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양명희, 권재기 (2013). 청소년들의 학업정서 지각 유형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련성. 한국청소년연구, 24(4), 203-229

28.

윤용숙 (2006).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형제관계와 정서지능의 관계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민영, 김광웅, 조유진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행동통제특성과 정서지능 및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아동학회지, 27(6), 149-165.

30.

이인학, 박지은, 김도진, 최성열 (2011).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사회성이 학교적응에 대한 상대적 예측력. 아동교육, 20(3), 21-31.

31.

이주리 (2002). 아동의 정서지능과 관련변인들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3), 65-77.

32.

이효정 (2004).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학급풍토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임수연, 권동택 (2014).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과 학급집단응집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초등교육학연구, 19(1), 67-90.

34.

장미선, 문혁준 (2006).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11-21.

35.

정윤정, 임선아 (2013).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의 상관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7(4), 853-873.

36.

정희선, 조민아 (2014).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2), 153-182.

37.

조안나 (2012).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의 관계: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유아의 성별을 중심으로.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0(2), 1-21.

38.

조한익 (2011).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희망, 우울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5(1), 153-174.

39.

차경림 (2002).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 및 정서지능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최용주, 이재연 (1993). 학령기아동의 친구관계에 따른 대체지지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4(1), 109-127.

41.

한국방정환재단 (2014). 2014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국제비교연구 조서결과 보고서. 한국방정환재단.

42.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한혜진 (2002).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Barnes, H., & Olson, D. (1982). Parent and 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45.

Bar-On, R. (2000). Emotional and social intelligence: Insights from the Emotional Quotient Inventory. In R. Bar-On & J. D. A. Parker(Eds.), The handbooks of emotional intelligence(pp. 363-3388). San Francisco: Jossey-Bass.

46.

Brody, L. R., & Hall, J. A. (1993). Gender and Emotion, Handbook of Emotions. New York: Guilford Press.

47.

Buhrmester, D., & Furman, W. (1987). Development of companionships and intimacy. Child Development 58, 1101-1113.

48.

Elias, M J. E., Weissberg, R. P., Frey, K .S., Greenberg, M. T., Haynes, N M., Kessler, R., Schwab-Stone, M. E., & Shriver, T. P. (1997). Promot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Guidelines for educator. Alexandria, VA: Aso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9.

Fabes, R. A., Eisenberg, N., Karbon, M., Bernzweig, J., Speer, A. L., & Carlo, G. (1994). Socialization of children's vicarious emotional responding and prosocial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30(1), 44-55.

50.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51.

Goleman, D.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4), 447.

52.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 & P. R. Yarnold(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147-205. Washington, DC: Psychological Association.

53.

Hardy, D. F., Power, T. G., & Jaedicke, S. (1993). Examining the relation of parenting to children's coping with everyday stress. Child Development, 64, 1829-1841.

54.

Martins, A., Ramalho, N., & Morin, E. (2010).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 554- 564.

55.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J. Sluyter(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New York: Basic Books.

56.

Moss, R. H. (1979). Educational Environment. San Francisco & Washington: Jossey-Bass Pub.

57.

Roberts, R. D., Zeidner, M., & Matthews, G. (2001). Does emotional intelligence meet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Some new data and conclusions. Emotions, 1, 196- 231.

58.

Pellegrino, J. W., & Hilton, M. L. (Eds.). (2012). Education for life and work: Developing transferable knowledge and skills in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National Research Council.

59.

Salovey, P. (1996). Emotional intelligence: Another way to be smart? 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삼성생명 사회정신건강연구소(Peter Salovey 교수 초청강연 자료), 3-34.

60.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ognition, & Personality, 9, 185-211.

61.

Salovey, P., Woolery, A., & Mayer, J. D. (2001). Emotional intelligenc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In G. Fletcher & M. S. Clark(Eds.), The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Interpersonal processes. Oxford, England: Blackwell Publishers.

62.

Schutte, N. S., Malouff, J. M., Thorsteinsson, E. B., Bhullar, N., & Rooke, S. E. (2007).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921- 933.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