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인여성의 노화불안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Aging Anxiety of Korean Adult women

초록

본 연구는 일부 지역 성인여성의 연령, 경제수준, 결혼상태 및 교육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노화불안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성의 연령과 노화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3년 U광역시 소재 종합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에 등록한 야간 강의 수강자 및 교양과목 수강 여대생, B광역시 소재 사회단체의 시민교육강좌 수강자 등 20세부터 59세까지 성인여성 총 46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노화불안 척도(Lasher & Faulkender, 1993)와 자기효능감 척도(홍혜영, 1995)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령, 결혼상태에 따라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노화불안은 차이가 있었으며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자기효능감과 노화불안의 하위요인인 노인접촉 불편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외 하위요인인 외모불안, 심리적 걱정 및 상실불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연령과 노인접촉 불편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노인접촉 불편감에 대해 연령과 자기효능감을 고, 저 두 집단으로 나누어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 본 결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노인접촉 불편감이 적고 연령에 따른 변화가 컸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연령에 따른 노인접촉 두려움의 변화를 조절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연구결과 나타난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aging anxiety, woman, age, self-efficacy, 여성, 노화불안, 연령, 자기효능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aging anxiety according to age, incom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age and aging anxiety in adult women in two citie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467 women who registered in the day care education center and civic education program in the social welfare institute in two big cities. Instruments included AAS(Anxiety about Aging Scale) by Lasher & Faulkender(1993) and Self-Efficacy Scale corrected by Hong(199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t by age and marital status but was no difference by income in self-efficacy and aging anxiety. According to edu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fear of old people that was one factor of aging anxiety. Self-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age and fear of old people, implying that the level of self-efficacy play an important role as a protective factor in fear of old people in Korean adult women.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aging anxiety, woman, age, self-efficacy, 여성, 노화불안, 연령, 자기효능감

참고문헌

1.

강해자 (2012).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 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7, 191-220.

2.

김순이 (2005). 일 지역 노인의 노화불안 에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7-15.

3.

김순이, 이정인 (2007).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4(1), 103-109.

4.

김신미, 김순이 (2008). 중년기 성인의 노 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3), 281-291.

5.

김신미, 김순이 (2009). 노인의 노화불안 과 삶의 질. 정신간호학회지, 18(2), 207-218.

6.

김 욱 (2010). 한국노인과 미국노인의 노화불안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47, 71-94.

7.

김 욱 (2011). 대학생의 노화불안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6, 27-56.

8.

김은하 (2007). 중년 이후 여성의 노화에 대한불안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3(2), 192-202.

9.

김중술 (2001).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43-46.

10.

박수미, 한성현 (2004). 기혼 여성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과 가족특성. 한국인구학, 27(2), 155-175.

11.

박현숙 (2009). 여고생의 노화지식 및 노화불안이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서순림, 최혜정 (2013).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과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5(4), 464-472.

13.

서영석 (2010). 상담심리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4.

이정희, 안영식, 윤소정 (2007). 노인과의 동거및 노인에 대한 교육 경험이 노화지식및 노후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7(2), 179-188.

15.

장휘숙 (2012). 대학생과 노인의 노화불안과특성불안 및 5요인 성격특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1), 1-18.

16.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희 (2008). 일부지역 성인의 노후불안. 한국노년학, 28(1), 19-32.

17.

홍혜영 (1995). 완벽주의성향, 자기효능 감, 우울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8.

Abramson, A., & Silverstein, M. (2006). Images of aging in America 2004: A summary of selected findings. Retrieved September 20, 2006, from http://assets.rp.org/rgcenter/general/images_aging.pdf.

19.

Allan, L. J., & Johnson, J. A. (2009). Undergraduat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The role of knowledge, contact and aging anxiety. Educational Gerontology, 35, 1-14.

20.

Bandura, A. (1977). Self 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21.

Bernard, J. (1972). The future of marriage, New York: Bantam Books.

22.

Davis, K. (2003). Surgical passing or why Michael Jackson's nose makes us uneasy. Feminist Theory, 4(1), 73-92.

23.

Giesen, C. B. (1989). Aging and attractiveness:Marriage makes a dif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29(2), 83-94.

24.

Harris, L. A., & Dollinger, S. M. C.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raits and anxiety about ag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187-194.

25.

Hurd, L. C. (2000). Older women's body image and embodied experiences: An exploration. Journal of Women & Aging, 12(3-4), 77-97.

26.

Lasher, K. P., & Faulkender, P. J. (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27.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y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8.

Lynch, S. M. (2000).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533-558.

29.

McConatha, J. T., Schnell, F., Volkwein, K., Riley, L., & Leach, E. (2003). Attitudes towards ag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young adults from the Unites States and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57(3), 203-215.

30.

McQuaide, S. (1998). Opening space for alternative images and narratives of midlife women.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26(1), 39-53.

31.

Rossi, A. (2004). The menopausal transition and aging process. In O. Brim, C. Ryff, & R. Kessler(Eds.). How healthy are we? A national study of well-being at midlife pp.153-201). Chicago: ChicagoUniv ersity of Chicago Press.

32.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 Jacobs, B.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33.

Watkins, R. E., Coates, R., & Ferroni, P. (1998).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in an Australia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46(4), 319-332.

34.

Wolf, N. (1992). The Beauty Myth: How images of beauty are used against women. New York:Anchor Books.

35.

Yun, R. J., & Lachman, M. G. (2006). Perceptions of aging in two cultures: Korean and American view on old age. Journal of Cross Cultural Gerontology, 21, 55-70.

36.

Zerbe, K. J. (2003). Eating disorders in middle and late life: A neglected problem. Primary Psychiatry, 10(6), 80-82.

logo